박사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집단적,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교직경력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최권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집단적,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교직경력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개인적 교사효능감
  • 교수효과성
  • 직무환경
  • 집단적 교사효능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1 0

0.0%

'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집단적,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교직경력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의 참고문헌

  •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과정변인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정윤득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 현직교사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 분석
    송경오 정지선 한국교육, 35(4), 81-105 [2008]
  • 현장교사론
    이병진 서울: 양서원 [1998]
  • 한국어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교사의 배경 변인과 직무환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정지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Ⅲ) 조사개요보고서
  •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김아영 서울: 학지사 [2010]
  • 학교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김종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 학교조직풍토와 수업효과성간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진곤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학교조직풍토와 교수효과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김혜련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학교조직풍토와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아영 이혜란 차정은 교육심리연구, 25(3), 671-691 [2011]
  •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효신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주영효 교육행정학연구, 24(1), 1-24 [2006]
  •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종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 수행 및 수업과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편(2006)
    박상완 윤미숙 제1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논문집, 469-491 [2006]
  • 학교의 사회심리학
    김병성 서울: 양서원 [1991]
  • 학교 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석경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교 환경
    진위교 서울: 교육과학사 [1987]
  •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 수준과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조윤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평가 결과의 피드백 방법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최종학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미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 한국심리학회지, 19(1), 161-177 [2000]
  • 통합적 교수행동 평가 기준 개발 및 홀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연구소
    김수천 안범희 이종각 교육연구, (5), 189-218 [1991]
  • 초등학교장의 수업 지도성과 교사효능감 및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심영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초등학교장의 교사에 대한 결합기제애 관한 연구
    진동섭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8-46 [1989]
  • 초등학교 직무환경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성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초등학교 영어 수행 평가 피드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남화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남영지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 및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송인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초등학교 교사의 발달 단계와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유수정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건강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최동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6]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수효과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련변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조현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초등학교 교감의 수업지도성과 교수효과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지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초등교사의 동료장학에 대한 지각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옥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박정주 교육행정학연구, 28(4), 21-41 [2010]
  •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교사몰입 간 관계에 대한 구조적 분석
    박정주 직업교육연구, 29(4), 285-303 [2010]
  • 중학교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의 현장 적용성에 대한 연구
    조인진 한국교원교육연구, 22(2), 335-351 [2005]
  •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사 효능감 유형과 관련 변인. 박사학위논문
    김유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 중등교사의 연수에 대한 지각과 연수 효과 분석: 사회적지원, 교사효능감, 직무성취도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허회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 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최혜영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중등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 연구. 석사학위논문
    최재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조직 구조와 환경의 관련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창신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2]
  • 장학론 논고
    이윤식 서울: 과학과 예술 [1993]
  •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석사학위논문
    차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 유치원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금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분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임명희 한석실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07-240 [2003]
  •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 석사학위논문
    김신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관계
    안선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47-163 [2005]
  • 수업의 효율화를 위한 교사수업행동 분석 모형 연구. 박사학위논문
    황선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5]
  • 수업관찰과 분석
    주삼환 서울: 성원사 [1999]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저) 교육학용어사전(정정판)
    서울: 삼성출판사 [1994]
  •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박성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진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동학년 협의회 중심 동료장학의 활성화 정도와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미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기간제 체육교과전담교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박수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2]
  •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배병렬 서울: 청람 [2009]
  •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의 교수 학습풍토 및 교사의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윤창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 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수효과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최충묵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조직건강, 교사의 교수효과성, 학습효과 간의 구조관계. 박사학위논문
    김정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 교장의 도덕적 리더십,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헌신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진영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 교육환경이 유발하는 교사의 행동유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순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김종철 서울: 교육과학사 [1982]
  • 교육행정연구
    주삼환 서울: 성원사 [1985]
  • 교육행정: 이론, 연구, 실제[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오영재ㆍ신형석ㆍ양성관ㆍ박종필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Hoy, W. K. Miskel, C. G. (원전은 2007에 출판) [2009]
  • 교육연구 및 통계분석
    백순근 서울: 교육과학사 [2004]
  •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시행 기본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3]
  • 교육과 사회
    김영우 서울: 학지사 [1994]
  • 교원의 잡무경감 방안
    김정순 김태수 신상명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07]
  • 교원의 물리적 근무환경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강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1]
  • 교수효과성 평가를 위한 준거체제 탐색연구
    배호순 교육학연구, 30(4), 157-172 [1992]
  • 교수 행동과 학습의 효율화. 율산 이용걸 교수 정년 기념 논총. 학교 학습 탐구
    허경철 서울: 교육과학사 [1988]
  •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사의 인적 환경요인들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박진호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교사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인 학교생활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김남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교사효능감과 교수효과성 및 학생의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정옥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학생통제관의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임성택 강원대학교 대학원 [1993]
  • 교사효능감 척도타당화. 석사학위논문
    김미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 교사효능감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관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김미진 김아영 교육심리연구, 18(1), 37-58 [2004]
  • 교사효과성에 대한 요인분석
    강현석 주동범 한국교사연구, 17(1), 207-224 [2000]
  •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김아영 교육심리연구, 26(1), 63-84 [2012]
  • 교사의 환경적, 행정적 요인이 교수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병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 교사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와 직무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성필 강원대학교 대학원 [1998]
  • 교사의 수업행동 진단 척도 개발과 그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손충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1994]
  •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박균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 교사의 셀프리더십, 팀웍, 교수효과성, 업무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정하보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2]
  • 교사의 반성적 수업분석이 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태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 교사의 근무시간 내ㆍ외 직무부담 비교 분석 연구
    김미정 김이경 유수정 교육행정학연구, 27(4), 87-108 [2009]
  • 교사와 학교 수준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희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 교사발달을 저해하는 조직적ㆍ개인적 요인에 관한 연구
    박안수 이윤식 교육행정학연구, 18(1), 97-126 [2000]
  • 교사리더십, 교사효능감, 팀-구성원의 교환관계(TMX) 및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인관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진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교사리더십과 교사효능감,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최상균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 교사 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 교사 효능감
    임성택 서울: 강현출판사 [2011]
  • 교사 배려 및 자기 배려가 초등학생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정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교사 간 소통방식이 교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어성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 공과대학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과 교수역량,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강의평가 간의 관계규명. 박사학위논문
    이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의 수준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혜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 개인 특성에 따른 정보ㆍ컴퓨터 교사효능감 분석
    서영민 이수진 이영준 중등교육연구, 58(3), 113-132 [2010]
  • Zambo, R., & Zambo, D. (2008). The impa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individual and collective efficacy: The stigma of underperforming. Teacher Education Quarterly, 35(1). 159.
  • Woolfolk, A. E. & Hoy, W. K.(1990).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Beliefs about Control.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82(1). 81-91.
  • Wolters, C. A., & Daugherty, S. G.(2007). Goals structures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eir relation and association to teaching experience and academic leve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1), 181-193.
  • Weick, K.(1976). Educational organizations as loosely coupled syste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1, 1-19.
  • Ware, H., & Kitsantas, A.(2007). Teacher and collective efficacy beliefs as predictors of profess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0(5), 303-310.
  • Wang, M. C., Haertel, G. D., & Walberg, H. J.(1993). What helps students learn? Educational Leadership, 51(4), 74-79.
  • Walberg, H. J., Schiller, D., & Haertel, G. D.(1979). The quiet revolution in educational research. Phi Delta Kappan, November, 61(3), 179-183.
  • Tschannen-Moran, M., Woolfolk, H. A., & Hoy, W. K.(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 Tschannen-Moran, M., & Woolfolk-Hoy, A.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783-805.
  • Tschannen-Moran, M. & Barr, M.(2004). Fostering student learning: The relationship of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eadership and Policy in Schools, 3(3), 189-209.
  • Taylor, D. L., & Tashakkori, A.(1995). Decision participation and school climate as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sense of efficacy,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63(3), 217-231.
  • Steiger, J. H. (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 173.180.
  • Soodak, L., & Podell, D.(1993). Teacher efficacy and student problem as factorsin special education referr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7, 66-81.
  • Soh, Kay-cheng(1987). Teaching behavior scal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283 834)
  • Skaalvik, E. M., & Skaalvik, S.(2007). Dimensions of teacher self-efficacy and relations with strain factors, perceive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3). 611-625.
  • Shahid, J., & Thompson, D.(2001). Teacher efficacy: A Research Synthes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Sarason, S.(1982). Problems of change and the culture of the school. New York: Allyn and Bacon.
  • Sandholtz, J. H.(2011).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effective and ineffective teaching practice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38(3), 27-47.
  • Ryan, R. M., & Deci, E. L.(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9.
  • Ryan, R. M.(1982). Control and information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s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450-461.
  • Rubeck, M., & Enochs, L.(1991). A path analytic model of variables that influence science and chemistry teach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i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Lake Geneva, WI.
  • Rotter, J. B.(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80, 1-28.
  • Ross, J. A., & Gray, P.(2006). School leadership and student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beliefs.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29(3), 798-822.
  • Ross, J. A.(1998).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acher efficacy. In J. Brophy (Ed.), Research on Teaching. Vol. 7. (pp. 49-74). Greenwich, CT: JAI Press.
  • Rosenshine, B., & Stevens, R.(1986). Teaching functions. In M. C. Wittro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3rd ed., pp. 376-391). New York: Macmillan.
  • Rosenholtz, S. J.(1989). Teachers' Workplace: The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Raudenbush, S., Rowen, B., & Cheong, Y.(1992). Contextual effects on the self-perceived efficacy of high school teachers. Sociology of Education, 65, 150-167.
  • Raschke, D., Dedrick, C., Strathe, M., & Hawkes, R.(1985). Teacher stress: Th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 Elementary School Journal, 85(4), 559-564.
  • Poole, M. G., & Okeafor, K. R.(1989, Winter).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interactions among educators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Journal of Curriculum and Supervision, 4(2), 146-161.
  • Poole, M. G.(1987). Implementing change: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interactions among educators (curriculum guid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Orleans, 1987).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2/03-A, AAD91-21469.
  • Myers, M. B., Calantone, R. J., Page, T. J., & Taylor, C. R.(2000). Academic insights: an application of multiple-group causal models in assessing cross-cultural measurement equivalenc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8(4), 108-121.
  • Mullen, M. R. (1995). Diagnosing measurement equivalence in cross-national research.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6, 573-596.
  • Moore, W. P., & Esselman, M. E.(1994. April). Exploring the context of teacher efficacy: The role of achievement and climat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rns, LA, April, 1994.
  • Moore, W. P., & Esselman, M. E.(1992). Teacher efficacy, empowerment, and a focused instructional climate: Does student achievement benefi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 Miskel. C. G.(2001).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Boston: McGraw-Hill.
  • Miskel, C., McDonald, D., & Bloom, S.(1983). Structural and expectancy linkages within school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19(1), 49-82.
  • Marsh, H. W.(1987). Students’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Research findings, methodological issu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 253-388. (Whole Issue No. 3)
  • Lunenburg, F. C., & Irby, B. J.(2011).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Leadership Preparation, 6(4).
  • Lortie, D. C.(1975). Social teacher: A social stud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Lightfoot, S. L.(1987). Worlds apart: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and schools. New York: Basic Books.
  • Leithwood, K., & Jantzi, D.(2008). Linking leadership to student learning: The contributions of leader efficacy.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4, 496-528.
  • Kyriacou, C., & Sutcliffe, J.(1977). Teacher stress: A review. Educational Review, 29(4), 299-306.
  • Kurz, T. B., & Knight, S. L.(2004).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goal consensus.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7, 111-128.
  • Knoblauch, D., & Hoy, A. W.(2007). "Maybe I can teach those kids."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on student teachers' efficacy belief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2008), 166-179.
  • Kline, R. B.(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ition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Klassen, R. M., & Chiu, M. M.(2010). Effects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eacher gender, years of experience, and job 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2(3), 741-756.
  • Jennifer, R.(2005).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ppalachia Educational Laboratory at Edvantia.
  • Ingenkamp, K.(1986). The possible effects of various reporting methods on learning outcome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12, 341-350.
  • Hu, L. T., & Bentler, P. M.(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 Hu, L. T., & Bentler, P. M.(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 424-453.
  • Hoy, W. K., & Woolfolk, A. E.(1993, March).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3(4). 355-372.
  • Heweitt, P. M., Pijanowski, J. C. & Denny, G. S.(2009). Why teacher leaders don’t want to be principals: Evidence from Arkaneas. Education Working Paper Archive, March 11, 2009.
  • Hall, L. D.(1997). Predictors of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locus of control of Ohio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 Guskey, T. R., & Passaro, P. D.(1994). Teacher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 627-643.
  • Grafton, L. G.(1987). The mediating influence of efficacy on conflict strategics used in educational organization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88 215).
  • Goddard R. D., Hoy, W. K., & Woolfolk Hoy, A.(2004). Collective efficacy: Theoretical developments, empirical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Educational Researcher, 33(3), 3-13.
  • Goddard R. D., Hoy, W. K., & Woolfolk Hoy, A.(2000).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measure, and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 Research Journal, 37(2), 479-507.
  • Goddard R. D.(2002).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measurement of collective efficacy: The development of a short form.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2(1). 97-110.
  • Goddard R. D.(2001). Collective efficacy: A neglected construct in the study of schools and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3), 467-476.
  • Gibson, S., & Dembo, M.(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 Gibson, S., & Brown, R.(1982). Teacher' sense of efficacy: Change due to experi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Californi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cramento.
  •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 Fives, H., & Looney, L.(2009). College instructors' sense of teaching and collective 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20(2), 182-191.
  • Enochs, L. G., Scharmann, L. C., & Riggs, I. M.(1995). The relationship of pupil control to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ience Education, 79, 63-75.
  • Elawar, M. C., & Corno, L.(1985). A factorial experiment in teachers’ written feedback on student homework: Changing teacher behavior a little rather than a lo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2), 162-173.
  • Edwards, J. L., Green, K. E., & Lyons, C. A.(1996, April). Teacher efficacy and school and Teacher Characteristic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NY.
  • Dusek, J., & Joseph, G.(1983). The bases of teacher expectanc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3), 327-346.
  • Doyle, W.(1985). Recent Research on Classroom Management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3), 31-35.
  • Demir, K.(2008).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llective efficacy: The moderating roles of collaborative culture and teachers' self-efficacy. Euras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 93-112.
  • Dembo, M., & Gibson, S.(1985).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achie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173-184.
  • D 박승배ㆍ부재율ㆍ설양환ㆍ이미자ㆍ조주연ㆍ최욱(역).(2004). 효과적인 교수법
    Borich, G.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02]
  • Cruickshank, D. R.(1990). Research that inform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 Bloomington, Indiana: Phi Delta Kappan Foundation.
  • Coleman, J. S., Campbell, E., Hobson, C., McPartland, J., Mood, A., Weinfeld, F., & York, R.(1966). 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y.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 Coladarci, T.(1992).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commitment to teaching.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60, 323-337.
  • Ciani, K. D., Summers, J. J., & Easter, M. A.(2008). A “top-down” analysis of high school teacher motiv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3, 533-560.
  • Chong, W. H., Klassen, R. M., Huan, V. S., Wong, I., & Kates, A.(2010). The relationships among school types, teacher efficacy beliefs and academic climate: Perspective from Asian middle school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3, 183-190.
  • Chen, F.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 Chan, W., Lau, S., Nie, Y., Lim, S., & Hogan, D.(2008). Organizational and personal predictors of teacher commitment: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 efficacy and identification with schoo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5(3), 597-630.
  • Carmeron, J., & Pierce, D. P.(1994). Reinforcement,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 Research, 64, 363-367.
  • Caprara, G. V., Barbaranelli, C., Borgogni, L., & Steca, P.(2003). 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4), 821-832.
  • Browne, M. W., &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 Brophy, J. E., & Evertson, C. M.(1981).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New York: Longman.
  • Brophy, J. E., & Evertson, C. M.(1976). Learning from Teaching: A Developmental Perspective. Boston: Allyn & Bacon.
  • Bloom, B.(1978). New views of the learner: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and curriculum. Educational Leadership, 35, 563-576.
  • Benz, C. R., Alderman, L. B., & Flowers, M.(1992). Personal teaching efficacy: Developmental relationship 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5(5), 274-285.
  • Bentler, P. M.(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46.
  • Basom, M. R., & Frase, L.(2004). Creating optimal work environments: exploring teacher flow experiences. Mentoring and Tutoring, 12(2), 241-258.
  • Barnes, S.(1981). Synthesis of Selected Research on Teaching Findings. Report No. 9009. Austin, TX: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Bandura,A.(1993).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andfunctioning.EducationalPsychologist,28(2),117-148.
  •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 Ashton, P. T.(1985). Motivation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C. Ames & R. Ames (Eds.),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Vol. 2. The classroom meliu (pp. 141-174). Orlando, FL: Academic Press.
  •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 Ashton, P. T. & Webb, R. B. & Dona, N. N.(1983). A study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Final Report, Executive Summary.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Contact.
  • Andrews, J.(1965).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Some Validity Studies. Canadian Education and Research Digest. 5. 310-334.
  • Anderson, L. W.(1982). Teachers Teaching & Educational Effectiveness. Philadelphia: Research for Better School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241-523.
  • Anderson, D. P.(1964). Organizational climate of elementary schools. Minneapolis: Educ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uncil.
  • Amos 20 통계분석 따라 하기
    신건권 서울: 청람 [2013]
  • Allinder, R. M.(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17(2), 86-95.
  • Adams, C. M., & Forsyth, P. B.(2006). Exploring the influence of school conditions on collective efficacy belief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Francisco, CA.
  • (역) 수업 효율성 평가
    이재분 이희수 임연기 서울: 배영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