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성취도 및 향상도 결정 요인 분석

논문상세정보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성취도 및 향상도 결정 요인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학
  • academicindex
  • multinomial logit model
  •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schoolprogressindex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 학교 향상도
  • 학력지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600 1

0.0%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성취도 및 향상도 결정 요인 분석' 의 참고문헌

  •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김아영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 (1) : 111 ~ 134 [2008]
  • 학생 종단자료를 이용한 학교 부가가치지수 산출의 적용 타당성
    김준엽 교육평가연구 25 (2) : 213 ~ 239 [2012]
  • 학교별 연간 성취수준 향상에 기초한 수행지수 산출 및 학교특성 비교
    김준엽 교육평가연구 24 (1) : 149 ~ 173 [2011]
  • 학교 향상도에 근거한 학교유형 분류 및 특성 탐색: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손원숙 교육평가연구 24 (4) : 943 ~ 962 [2011]
  • 학교 향상도 유형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교 특성 분석
    손원숙 교육과정평가연구 16 (2) : 175 ~ 196 [2013]
  • 학교 특성, 과정 변인, 학업 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현숙 교육평가연구 24 (2) : 317 ~ 344 [2011]
  •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변인탐색: 유능감, 가정의 심리적 환경 및 학교환경 특성을 중심으로
    안도희 교육심리연구 19 (4) : 1199 ~ 1217 [2005]
  •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의 학업성취 특성 분석: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 결과 중심
    김성숙 [2010]
  •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 다층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교육 맥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이현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학력향상 지원 방안 탐색. <2012년 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평가학회 공동 학술세미나 > : 151 ~ 181 [2012]
  • 국외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와 교육정보 공시를 위한 학교 향상도 지표 개발
    김경희 [2011]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력 향상의 특성 분석
    김경희 [2011]
  •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련 특례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119호, 2008.11.17, 제정]
    [2008]
  • 박사
  •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김아영 교육심리연구 17 (2) : 25 ~ 43 [2003]
  • 고등학교 학력향상 특성 및 예측 변인 탐색
    신진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학교교육의 성과와 변화 <2013년 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평가학회 공동 학술세미나 > [2013]
  • “교육살리기, 과학기술 강국 건설”로 선진일류국가 도약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향상도’에 기반한 학력향상 특성과 향상 능력 분석
    김경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학력향상 지원 방안 탐색 <2012년 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평가학회 공동 학술세미나 > : 201 ~ 230 [2012]
  • School Value Added Measures in England : A Paper for the OECD Project on the Development of Value-Added Models in Education Systems
    Ray, A.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006]
  • Controlling for student background in value-added assessment of teachers
    Ballou, D.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29 (1) : 37 ~ 65 [2004]
  • A longitudinal hierarchical model for estimating school effects and their stability
    Willms, D.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6 (3) : 209 ~ 232 [1989]
  •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 학교교육의 성과와 변화
    김경희 [2013]
  •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학업 성취 및 학력 향상 특성 분석
    김경희 [2012]
  •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 200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지표
    조지민 [2007]
  • 2005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지표
    박 정 [2006]
  • 2004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지표
    이양락 [2005]
  • 200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교육지표
    정구향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