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Integrated Mathematics-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Natural Objects for Young Children

김순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Integrated Mathematics-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Natural Objects for Young Childre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과학적 태도
  • 수학적 태도
  • 자연물
  • 자연물을 활용한 수과학통합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7 0

0.0%

'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과학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Integrated Mathematics-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Natural Objects for Young Children' 의 참고문헌

  • 협동적 유아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박윤자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세루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김경미 김현주 송연숙 서울: 창지사 [2012]
  • 한국유아교육학회유아교육사전(용어편)
    서울: 한국사전 연구사 [1996]
  •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숲유치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은숙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 플로러닝에 따른 자연친화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 과학적 탐구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차명애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0]
  • 표현생활중심의 숲유치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신지연 유아교육학논집, 16(1) [2012]
  •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한종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 탐구적 과학교수-학습법이 소리에 대한 유아의 개념 형성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은정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 탐구-표상 중심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정효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 치유의 숲
    신원섭 서울: 지성사 [2005]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문제의 비구조성에 관한 연구
    김민경 김은경 이지영 홍지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 [2011]
  • 초등수학 교육론
    이용률 서울: 동명사 [1998]
  •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임귀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 지식정보사회의 인력정책
    김세종 이종훈 IT의 사회 문화적 영향 연구, 94, 1-98 [2005]
  • 지식정보사회의 이론과 실제
    서이종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중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인지갈등 정도에 따른 과학 개념변화. 석사학위 논문
    이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강충열 초등교육연구, 12(1), 5∼29 [1988]
  • 조작 경험중심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과 수학접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말순 한국교원대학교 [1999]
  • 제6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김숙령 서울: 창지사 [2000]
  • 자연환경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탐색. 박사학위논문
    홍은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이미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 자연친화적 유아과학 탐구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박사학위논문
    박영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 자연친화적 수학놀이 구성하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정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 자연친화교육. 유아교육 27
    조형숙 한국유아교육협회 자료집 [2004]
  •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탐구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인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2008]
  • 자연체험활동을 통한 유아 과학프로그램 구안 및 효과연구. 박사학위논문
    박은경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탐색
    곽노의 한국초등교육, 20(2), 173-196 [2010]
  • 자연의 미적요소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선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 자연을 통한 유아교육. 어린이와 자연. 창립20주년기념 유아교육 학술대회
    양옥승 한국어린이육영회. 43-59 [2001]
  • 자연물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활동 경험
    김숙자 ( Suk Ja Kim ) 김지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년 춘계학술대회. 333-352 [2007]
  • 자연물을 활용한 몬테소리 교구의 변형 및 응용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 수학적 태도,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수학, 감각, 우주교구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정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 자연물 주제중심통합 유아 숲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영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 유치원 생활에서 발생하는 유아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박사학위 논문
    서동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 유치원 교육 활동지도 자료 1 총론
    교육부 서울:교육부 [2000]
  • 유아의 이야기능력이 수학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정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 유아의 수학학습 잠재력에 따른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박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 유아의 수학, 과학, 미술 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장웅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지각력, 언어능력 및 또래상호작용 질과의 관계
    지성애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35-254 [2007]
  • 유아와 과학, 그리고 세상에 대한 관심
    조형숙 아이코리아연수원 교원 워크숍과정. 5-17 [2009]
  • 유아수학학습에 아동문학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탐색
    홍혜경 교육학연구, 33(1), 399-424 [1995]
  • 유아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구체물 조작에 의한 활동중심과학 습지에 의한 교사중심 교수 방법의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황정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7]
  • 유아수학교육
    이정욱 고양 : 정민사 [2006]
  • 유아수학교육
    권영례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10]
  • 유아수학교육
    권영례 서울: 창지사 [1997]
  •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수학영역 중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이은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 유아기 자연친화교육의 의의 및 미래지향방향 탐색
    지옥정 논문집, 42, 531-540 [2007]
  • 유아기 자연친화교육
    지옥정 서울: 창지사 [2009]
  • 유아교육에서의 자연과 자연친화교육
    홍은주 한국유아교육연구, 3(1), 85-102 [2006]
  •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중지능 프로그램 적용과 통합: 이해를 위한 교수모형의 실제와 유아 수행평가
    김명희 신화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집 [2007]
  • 유아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형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 유아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전명남, 이혜주, 정정희 역)
    Harlan, J. D. Rivkin, M. S. 서울: 창지사 [2004]
  • 유아과학교육: 과학개념발달과 적용
    최석란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총론, 6, 17-34 [2009]
  • 유아과학교육 워크북
    권영례 서울: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8]
  • 유아과학교육
    한유미 서울: 문음사 [2010]
  • 유아과학교육
    김헤라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1]
  • 유아과학교육
    유연화 서울: 학지사 [2015]
  • 유아과학교육
    이경우 서울: 양서원 [1999]
  • 유아과학 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태도,탐구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박사학위논문
    안경숙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 유아 수학 탐구지도 척도개발
  • 유아 수학 교육
    한유미 서울: 창지사 [2003]
  • 유아 수 과학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승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유아 과학교육
    이경민 서울: 정민사 [2004]
  • 원단체총연합회(http://lib
    kfta.or.kr)교육 자료실
  •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과 미국(NCTM, 2000)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경희 나귀옥 서울: 학지사 [2004]
  • 영유아를 위한 녹색성장 교육의 방향
    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10]
  • 얘들아 숲에서 놀자: 숲 체험 교육의 모든 것
    남효창 서울: 수수밭 [2006]
  • 아동기의 자연체험- 삶을 위한 영감: 숲유치원에서의 발도로프 교육학
    Tschan, M. 2012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학술집, 63-106 [2012]
  • 아 이 들 과 함 께 만 드 는 자 연 놀 이 터 :유아 를 위 한 자 연 친 화 교 육 프 로 그 램
    김선월 김현주 조형숙 서울: 다음세대 [2007]
  •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박경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 숲유치원의 다양한 운영형태에 관한 연구
    이명환 생태유아교육연구, 7(3), 47-74 [2008]
  • 숲유치원의 교육학적 원리와 실제
    이명환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125-152 [2006]
  • 숲유치원 교사의 업무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
    Huppertz, M. 2011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학술집, 95-133 [2011]
  • 숲에서의 놀이를 통한 유아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안명숙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7]
  • 수학과 과학의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은정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수학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소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 수학-과학 통합교육의 적용효과. 석사학위 논문
    한진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수학 관련 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정주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 수업유형, 집단구성 및 성별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최미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 수·과학 통합 직접 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권영례 한국방송대학교 논문집, 23, 349-363 [1997]
  • 수 과학지도
    김영선 서울: 양서원 [1997]
  • 수 과학 통합교육 활동 안에서 분석되는 교수-학습 방법과 유아 수 과학 탐구 능력과의 관계
    김숙자 홍희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17(1),19-42 [2001]
  • 생활주변 산책프로그램의 구안 적용을 통한 유아의 기초탐구 능력신장. 경남 창원북면초등학교 승산분교장 병설유치원 연구보고서
    손옥경 한국교 [2001]
  • 생태학적 접근의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김용님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3]
  • 생태중심 유아교육 모형의 탐색. 영유아보육연구, 10, 1-22. 자연주의 유아교육 실천연구회(2011). 자연주의 유아교육프로그램
    임재택 경기: 공동체 [2005]
  • 생태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연구. 박사학위논문
    권미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 생태그램책 이야기에 기초한 협동적 자연탐구활동이 만5세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윤옥 유아교육학논집. 15(1), 395-416 [2011]
  •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경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 삶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유아과학교육
  • 산책을 통한 자연탐구활동의 세계. 석사학위논문
    박언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 산책을 통한 수학적 탐구 활동을 통해 유아의 수학개념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김성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산림청 산림 임업용어사전
    서울: 한국임학회 [2011]
  •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성취, 수학적 과정 기술,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순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서울: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13]
  • 보건복지부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2
    서울: 경성문화사 [2012]
  • 배움터로서의 숲: 상 갈렌 숲유치원의 경험과 방법
    Helg, E. 2009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학술집, 109-129 [2009]
  • 발생적 탐구중심 과학 활동을 통한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태도변화. 석사학위논문
    김경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남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 만3세 하늘반의 수학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석사학위논문
    김미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선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 동화를 통한 통합교육의 실제
    양승지 오영희 서울: 양서원 [2001]
  • 독일의 숲 유치원
    이명환 서울: 교육아카데미 [2007]
  • 독일 숲유치원의 현장상황에 관한 연구
    이명환 열린유아교육연구, 8(3), 71-97 [2003]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윤은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 나무와 숲
    남효창 서울: 도서출판 계명사 [2008]
  • 구체물을 활용한 큰 수에 관련된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십진법과 자릿수 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미래유아학회지. 3, 37-58 [2006]
  •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 태도의 차이분석. 박사학위논문
    유경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9]
  • 교육과학기술부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중앙보육정보센터 [2013]
  • 교육과학기술부 유아 과학창의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 교육과학기술부 연구성과 사례집: 교육과학기술부 연구개발사업
    서울:교육과학기술부 [2010]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5세 누리과정.서울: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 교육과학기술부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Ⅲ). 탐구생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 가정연계 자연탐구중심 유아과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연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나타난 수학 관련 활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금혜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바퀴’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문연심 이화영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집, 54( ) [2008]
  • ‘꽃과 나무’ 관련 활동 중심의 자연친화 교육과정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의미
    오영희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47-70 [2011]
  • [개정] 유아수학교육
    한유미 서울: 창지사 [2009]
  • Wolfinger, D, M., Stockard, J, W. , Elementary methods: An integrated curriculum. 강현석, 박영무, 조영남, 허영식, 이종원 역(2003),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1997]
  • Wohlwill, J. F., & Hefr, H. (1987).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the child. In D. Stokols & I. Altman (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 New York: John Wiley.
  • Wilson, Naturalist
    Island Press. 이병훈, 김희백 역(1996). 자연주의자. 서울: 민음사 [1994]
  • Ward, C, S. (1993). Development versus academic mathematic education: Effects 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Doctoral Dissertation,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f Vanderbilt University.
  • Titman, W. (1994). Special places, special people. The hidden curriculum of school grounds. London: WWF UK (World Wide Fund for Nature)/ Learning through a Landscapes).
  • Sharing nature with children, 장상욱 역(2002),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자연체험
    Cornell, J. B. 서울 : 우리교육 [2002]
  • Seo, K., & Ginsburg, H. P.(2004). What i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Lessons from new research. In D. H, Clements, J. Sarama, & A. M. DiBoase (Eds.). Engaging young chindren in mathematics: Standard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pp.91-104). Mahwah. NJ: Lawrence Erlbaum.
  • Schede, H-G. (2000). De r Waldkinde rgar ten auf e inen Bl ick , K sel Verlag, M nchen, 7-77.
  • Sawyer, W. & Corner, D. E., (1991), Growing up with literature. Albany, NY: Delmar Publishers, Inc.
  • Sandman. R. (1974). The mathematics attitude inventory: Instrument and User's Manual. J 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 Education, 11(2). 148-149.
  • Sandhof, K.(1998). Mit Kindern in den Wald, kotopia Verlag, M nster, 17-22.
  • STS 접근법을 활용한 통합적 유아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인재천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 Rosenow, N. (2008). Learning to Love the Earth.... and Each Other. Young Children, 63(1), 10-13.
  • Robertson, J. (2008). “Rain or Shine”: Swedish forest schools. Creative Star.
  • Patton, M., & Kohoski, T. (1996). How good is your early childhood science, math, and technology program? Young Children, 51(5), 38-44.
  • Nimmo, J., & Hallett, B. (2008). A Place to Encounter Natural and Social Diversity. Beyond the J ournal. Young Children on the Web. January 2008.
  • NCTM(2000). P rincip and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 NAEYC. Dacey, L. S., & Eston, R. (1999). Growing mathematical ideas in kindergarten. Math Solutions Publication.
  • NAEYC & NCTM(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Promoting good beginnings. Washington DC: NAEYC.
  • Moore, R. C. (1986). Children's domain play and space in child development. London: Croom, Helm.
  • McAfee,O.,& Leong,D.J.(2002).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andlearning.Boston,MA:Allyn& Bacon.
  • McAfee, O., & Leong, D. (1997).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 Martin, R., Sexton, C., & Gerlovich, J. (2001).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3nd). Boston: Allyn and Bacon.
  • Martin, M.(2003). Guidance of young children. New Jersey: Merrill Prentice Hall.
  • Martin, D. J. (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Albany, NY: Delmar Thomson Learnong.
  • Martin, D. J. (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Albany, NY: Delmar.
  • Louv, R. (2005). Last child in the wood's: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 deficit disorder. Chapel Hill, NC: Algonquin.
  • Little, M. E. (2009). Teaching mathematics: Issues and solution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Plus, 6(1), Article 1. Retrieved March, 20, 2012 from the World Wide Web. http://journals.cec.sped.org/tecplus/vo16/iss1/art1.
  • Lind, K. K. (2005).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mson/ Delmar Learning.
  • Lind, K. K. (1996).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A developmental approach. Delmar Publishers.
  • Koran, J. Jr., & Longion, S. T. (1982). Curiosity and children’s science learning. Science and Children, 20(2), 18-19.
  • Koch, J. (2010). Science stories: Science method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Cengage Learing.
  • Knight, S. (2013). Forest school and outdoor learning in the early year(2nd ed.). Los Angeles, CA: Sage.
  • Knight, S. (2011). Forest school for all . Los Angeles, CA: Sage.
  • Klein, A., Starkey, W., Deflorio. L., & Brown, E. T. (2011). Scaling up and effective pre-K mathematics intervention; mediators and child outcomes. SREE conference abstract template. Retrieved March, 18, 2012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sree.org/conferences/2011/program/downloads/abstracts/186.pdf
  • Kilmer, S J., & Hofman, H. (1992). Transforming science curriculum In S, Bredcamp & T. Rosegrant(Eds.), Reaching potentials: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and assessment. 2(pp 43-64). Washington, DC: NEAYC.
  • Kennedy, L, M. & Tipps, S.(2000), Guiding children's learning of mathematics. Blmont, CA: Wadsworth.
  • Kelly, K. P. (1987). Science for girls?(Eds.). Milton Keynes, UK: Open University Press.
  • Johnsen, S. (1996). Figuring ou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Gifted Child Today, 37-39.
  • Ingram, J. B.(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NY: Pergaman Press.
  • Holt, B. G.(1991). Science with young children. Washington. D. C. : NEAYC.
  • Hills, T. W. (1992). Reaching potentials though appropriate assessment. In S. Bredekamp, & T. Rosegrant(Eds.), Reaching potentials: Appropriate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 Harlan, J. (1992).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N.Y.: Macmilan Publishing Company.
  • Ginsburg, H. P., Lee, J. S., & Boyd, J. S. (2008).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at It is and How to Promote It. Social policy report Giving Child and Youth Development Knowledge Away, 12(1), 3-22.
  • Ginsburg, H. P., Greenes, C., & Balfanz, R.(2003). Big math for little kids. Parsippany. NJ: Dale Seymour Publications.
  • Ginsburg, H. P., Cannon, J., Eisenband, J. G., & Pappas, S. (2006).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In K. McCartney & D. Phillios (Eds.), Handbook of early child Development, Oxford, England: Blackwell.
  • Gauld,C.F.(1982).The Science attitude and science education :Acriticalreappraisal.ScienceEducation,66(1),109-121.
  • Foster, G. W. (1999). J ourney to the past: Mathematics and science images and attitudes : Elementary mathematics and science methods. Belmont, CA: Wadworth Publishing Company.
  • Fleer, M. (1991). Why won't my torch work? Resource Booklet No. 1. Watson ACT: Australian Early Childhood Association Inc.
  • Fleege, P. (1997). Assessment in an integrated curriculum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Birth to age eight. State University th New York Press.
  • Fjortoft, I., & Sageie, J. (2000).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play-ground for children. Landscap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a natural playscape. Landscape and Urban P lanning, 48, 83-97.
  • Czerniak, D. M., Weber, W. B., Sandmann, J. A., & Ahen, J.(1999). A literature review of science mathematics integr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9(8), 421-437.
  • Cutler, K. M., Gilkerson, S. P., Parrott, S., & Brown, M. T.(2003). Developing math games based on children's literature. Young Chi ldren, 22-27.
  • Copley, J. (2000). Mathematics in the early years. Reston, VA : NCTM.
  • Cobb,E.(1977).Theecology ofimagination in childhood.New York:ColumbiaUniversityPress.
  • Chaille, C, & Britain, L. (1997), The young children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2nd Edition). NY: Long-man.
  • Catron, Carol E., & Allen, Jan(1999). Early Childhood Curriculum, 2nd. Merrill/Prentice Hall; N. J.
  • Carin, A. A., & Sund, R. B.(1985).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5th ed). OH: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 A bell & Howell Company.
  • Bybee, Yager (김남연 (Biddulph & Osborne, 1983; Biddulph & Roger, 1984; Fleer
    1991; Kelly, 1987) [2012]
  • Biddulph, F. & Roger, J. (1984). Exploring and alternative science teaching approach. learning in science project (primary). Working paper No. 109. Hamilton, New Zeal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Unit.
  • Biddulph, F. & Osborne, R. (1983). Floating and sinking: Some teaching suggestions. Learning in science project (primary). Hamilton, NewZealand: University of Waikato.
  • Bickel, K. (2001). Der Waldkindergarten, Norden Media, o.O., 11-68
  • Berlin, D. F., & HIllen, J. A. (1994). Making connection in math and scinence identifying student outcom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4(6), 283-290.
  • Baroody, A. J., Lai, M., & Mix, K. S. (2006).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early number and operation sense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Spodek & O. Saracho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 ldren(Vol.2, pp.187-221). Mahwah, NY: Erlbaum.
  • Abruscato, J. (2000). Teaching children science: A discovery approach (5th ed.). Boston: Allyn and Bacon.Akgul, 2004; Chaille & Britain, 2003; Lind, 2005; Martin, 2003).
  • AAA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A project 2061 report on literacy goals in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Author.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ED 309059).
  • (유아를 위한)자연친화교육
    홍은주 서울: 태영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