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고등학생용 수용 기반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n Acceptance-Based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of High School Students

류미경 2016년
논문상세정보
' 고등학생용 수용 기반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n Acceptance-Based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of High School Stu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긍정적 불확실성
  • 수용전념치료
  • 진로 의사결정
  • 진로프로그램. 고등학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6 0

0.0%

' 고등학생용 수용 기반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n Acceptance-Based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of High School Students' 의 참고문헌

  • 현실요법을 적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일반계 남자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권기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 현대 청소년의 정체와 인간상
    이재창 한국교육학회 [1992]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Ⅳ -청소년 진로ㆍ직업 지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 한국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고향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 한국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 학습문제의 진단과 이해
    박동혁 상담과 지도, 46, 96-97 [2011]
  • 학급단위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이 공업계 남자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조준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 학교진로상담
    김봉환 서울: 학지사 [2006]
  • 학교진로상담
    김병석 김봉환 정철영 서울: 학지사 [2001]
  • 프로그램 개발
    변창진 대구: 홍익출판사 [1994]
  •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김진화 서울: 교육과학사 [2008]
  • 커리어상담〔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 (김완석, 김선희 역)
    Zunker, V. G.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2 출판) [2004]
  • 청소년의 진로탐색과 결정
    문승태 서울 : 한국학술정보(주) [2006]
  •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박사학위논문
    김현옥 건국대학교 대학원 [1989]
  • 청소년의 성별과 성 역할 정체감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조아미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4(1), 91-108 [2002]
  •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절차. 이혜성 편저,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개발론(pp. 16-61)
    이숙영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01]
  • 청소년 진로상황의 불확실성에 대한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탐색
    유제민 임희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 청소년 진로불안감소 프로그램 개발연구
    박정민 유정이 이영선 청소년상담연구‧ 101, 한국청소년상담원. [2003]
  • 청소년 진로발달과 의사결정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송재홍 천성문 인간이해, 17, 43-108 [1996]
  • 청소년 문제유형 분류체계 사용자 지침서 Ⅳ: 종합판
    김진숙 송수민 이명우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999]
  •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손영자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4]
  • 진로탐색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 석사학위논문
    류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장애,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최숙경 영남대학교대학원 [2006]
  •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변화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은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석사학위논문
    배소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04]
  • 진로집단상담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박준화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0]
  • 진로장애와 진로수준 간의 관계: 진로정체감과 자아강도의 조절효과
    노안영 정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3), 213-227 [2008]
  • 진로의사결정프로그램. 학생지도연구, 23(1)
    김창수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0]
  • 진로의사결정의 방법, 단계, 유형이 대학생 진로의사결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황윤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 진로의사결정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해수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2]
  •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지영 영남대학교 [2001]
  • 진로상담의 이해
    김옥희 양종국 지용근 서울 : 동문사 [2005]
  • 진로상담과 진로교육
    임두순 서울 : 원미사 [2000]
  •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일반계 여고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신재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3]
  •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실시방법과 불안 및 자존감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판환 영남대학교 대학원 [1997]
  • 진로상담
    이현림 파주: 양서원 [2007]
  • 진로상담
    김충기 장선철 서울: 태영출판사 [2011]
  • 진로사고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박미진 이재창 최인화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5(3), 529-550 [2003]
  • 진로사고검사를 활용한 진로상담의 효과 연구
    박미진 이재창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육연구, 18(1), 187-205 [2005]
  • 진로불확실성에 내포된 부정적 결과에 대한 수용-회피 기반 처치가 한국 대학생의 진로탐색과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아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김충기 한국학술정보 [2005]
  •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이혜성 홍혜경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0(1), 143-166 [1998]
  •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오태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경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조순형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6]
  • 인터넷 활용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여상고생의 직업 가치관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장경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 인지행동치료의 제 3동향
    문현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2005]
  • 인지행동치료와의 통합을 위한 수용전념치료(수용전념치료 임상 가이드) (인경, 김수인 공역).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Bailey, A. Ciarrochi, J. (원저 2008 출판) [2009]
  • 인지행동 치료를 사용한 문제해결적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김희수 박경애 상담학연구, 2, 231-250 [2001]
  • 인지적 탈융합 처치가 발표불안의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불안반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김기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 인지적 정보처리접근 중심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이형국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에 기반한 대학생 진로개발 프로그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의 적용. 석사학위논문
    최태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7]
  • 우울에 대한 수용전념치료 과정 및 연구 동향
    김혜은 박경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13(1), 99-112 [2013]
  •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박미진 이재창 최인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401-414 [2002]
  • 여고생의 진로성숙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박영남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0]
  • 심리적 수용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문현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 실업계 고교생을 위한 진로집단상담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양미란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수용전념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분노, 문제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손정락 장서윤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1(4), 1059-1076 [2012]
  • 수용전념치료가 문제 음주 대학생의 문제 음주 행동, 알코올 기대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조연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 수용전념치료 핵심과 적용[ACT made simple]. (김동구, 송향주 역)
    Harris, R.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원전 2009 출판) [2014]
  • 수용전념집단상담이 저소득층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조현아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수용전념 및 인지행동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증, 심리적 수용 및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채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 수용이 사회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수용 기반 노출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박사학위논문
    김기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 수용-전념 치료에서 과정변인이 불안에 미치는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이선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 수용-전념 치료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진용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알코올중독 입원환자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경험회피 및 인지적 융합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정화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분노, 스트레스 및 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송혜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 수용 전념 치료가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적 회피와 자기-초점적 주의에 미치는 효과
    김진미 손정락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8(2), 267-286 [2013]
  • 수용 전념 치료(ACT)가 신체화 증상이 있는 대학생의 신체화 증상, 신체 감각 증폭, 자기몰입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홍미나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 서울시교육청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
    서울 :서울시교육청 [2002]
  • 생애단계별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 : 진로지도와 노동시장 이행
    최동선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 상담과정에서 정서의 활성화 및 반복적 수용의 역할. 박사학위논문
    김영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 상담 및 심리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사회불안증의 인지행동치료: 사회불안 다스리기 [Managing social anxiety: A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pproach]. (최병휘역). 서울:시그마프레스
  • 사회불안장애 여자대학생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비교. 박사학위 논문
    고윤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 비합리적 신념과 상태불안이 진로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 진로교육연구, 22(2), 101-116 [2009]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부적 정서가 걱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송수정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검증. 석사학위 논문
    오영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의 관계
    오영아 정남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671-691 [2011]
  •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치료의 치료과정 변인과 치료 효과
    안창일 이선영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23-254 [2012]
  •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비치는 영향
    김수리 이재창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93-407 [2007]
  • 명상집단치료가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불안민감성 및 불안통제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수용-전념치료와 알아차림 명상을 중심으로
    김수경 명상심리상담, 9, 67-77 [2013]
  • 마음챙김으로 분노 다스리기
    주혜명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5(05), 101-108 [2015]
  • 마음챙김 명상 및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도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 마음챙김 [MINDFULNESS, 25th Anniversary Edition]
    Langer, E. J. (이양원 역) 서울 : 더퀘스트 (원전은 2014 출판) [2015]
  •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 속으로 들어가라[Get out of your mind and in to your life: The new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문현미, 민병배 공역). 서울: 학지사
    Hayes S. C. Smith, S. (원전은 2005 출판) [2010]
  • 독서를 통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배은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수용과 전념행동의 조절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김경희 전 남 대 학 교 대 학 원 [2014]
  •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마리아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4]
  •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별 특성과 진로효능감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최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석사힉위논문
    홍소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 대학생의 진로결정 유형화와 개인, 인지 변인과의 관계분석. 박사학위논문
    장선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 대학생의 진로결정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장순정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통제소재 및 불안에 따른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석사학위논문
    이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효과
    김수인 백지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19-40 [2013]
  • 대학생용 진로정체감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 논문
    김신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노선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기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 고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오영동 관동대학교대학원 [1998]
  •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유형에 관한 연구
    박미진 이재창 최인화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25-146 [2001]
  •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과 심리적 변인간의 인과관계. 박사학위논문
    문승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2]
  •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안세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 고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여윤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고등학생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공업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유현숙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1]
  • 고등학생용 진로자기효능감 향상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박명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 고등학생용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박사학위논문
    공경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5]
  •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과 관련변인. 박사학위논문
    서우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 결정장애세대 [Generation Maybe]. (강희진 역)
    Jeges, O. 서울 : 미래의 창(원전 2012 출판) [2014]
  • 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윤태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 靑少年 進路發達 프로그램의 開發 및 效果. 박사학위논문
    이민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 自我槪念, 自我正體感 및 內 外統制性이 進路決定에 미치는 影響. 박사학위논문
    정채기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1]
  • Zey, M. (1992). Criticisms of Rational Choice Models. In M. Zey, Decision Making: Alternatives to Rational Choice Models.(pp. 9-31).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 Zettle, R. D., & Rains, J. C. (1989). Group cognitive and contextual therapies in treat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5, 438-445.
  • Zettle, R. D. (2003).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vs. systematic desensitization in treatment of mathematic anxiety. Psychological Record, 53, 197-215.
  • Zettle, R. D. & Hayes, S. C. (2002). Brief ACT treatment of depression. In F. W. Bond., & W. Dryden(Eds.), Handbook of Brief Cognitive Behaviour Therapy(pp.35-53). John Wiley & Sons, Ltd.
  • Wenzlaff, R. M. ,& Wegner, D. M.(2000). Thought suppress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1(1), 59-91.
  • Twohig, M. P. (2004). ACT for OCD: Abbreviated Treatment Manual. University of Nevada.
  • Tversky, A. (1972). Elimination by aspects : A theory of choice. Psychological Review, 79, 281-299.
  • Trevor-Roberts, E. (2006). Are you sure? The role of uncertainty in career.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43, 98-116.
  • Tolbert, E .L.(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2nd ed.). Boston: Hought on Miffin.
  • Tiedeman, D. V., & O'Hara, R.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New York: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 Tiedeman, D. V. (1961). Decision and vocational development: A paradigm and its implications.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40, 15-21.
  • Taylor, K. M., & Popma, J. (1990). An examination of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s alience, locus of control and vocational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 17-31.
  • Swanson, J. L. (1995). The process and outcome of career counseling. In W. B. Walsh., & S. H. Osipow(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pp.217-259). Hillsdale, NJ: Erlbaum.
  • Super, D. E.(196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 Super, D. E. (1951). Vocational adjustment: Implementing a self-concept. Occupations, 30, 88-92.
  • Stead ,G. B., & Watson, M .B.(1993). The Career Myths Scale: I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ing, 16, 89~97.
  • Spokane, A. I.(1991). Career interven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Scott, E. S., Reppucci, N., & Woolard, J. (1995). Evaluating adolescent decision making in legal contexts. Law and Human Behavior, 19, 221-244.
  • Savickas, M. L., & Hartung, P. J.(1996). The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in review: Psychometric and research finding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171-188.
  • Saunders, D. E., Peterson, G. W., Sampson, J. P. Jr., & Reardon, R. C. (2000). Relation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to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 288-298
  • Sampson, J.P.Jr., Peterson, G. W., Lenz, J. G., Reardon ,R. C., & Saunders, D.E. (1996). Career Thought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 Salomone, P. R. (1982). Difficult cases in career counseling Ⅱ: The indecisive client. Personal and Guidance Journal, 60, 496-500.
  • Saka, N., Gati, I., & Kelly, K. R. (2008).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asp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4), 403-424.
  • Rogers, C. A. (1961).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 Roche, B., Forsyth, J. P., & Maher, E. (2007). The impact of demand characteristics on brief acceptance and control-based interventions for pain tolerance.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4, 381-393.
  • Pitz, G. F., & Harren, V. A. (1980). An analysis of career decision mak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 theory. Journal of ocational Behavior, 16(3), 320-346.
  • Phillips, S. D. (1997b). Toward an expanded definition of adaptive decision making.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3),275-287.
  • Phillips, S. D. (1994). Choice and change: Convergence from the decision-making perspective .In M. L. Savickas & R. W. Lent(Eds.), Convergence in Career Development theories (pp. 155-163).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y Press.
  • Phillips, S .D.(1997a). On the rationality of career decision makin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 Phillip, S. D. Pazienza, N. J. & Ferrin, H. H.(1984). Decision-making style and problem-solving appraisal. Journal of Counselimg Psychology, 31(4),4 97-502.
  • Peterson, G. W., Sampson, J. P.Jr., Lenz, J. G., & Reardon, R .C.(2002) .Becoming career problem solvers and decision maker: A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In D. Brown (Ed.).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4th ed.)(pp. 312-369).San Francisco: Jossey-Bass, Pub.
  • Payne, J. W., Bettman, J. R., & Johnson, E. R. (1988). Adaptive strategy selection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4, 534-552.
  • Ossman, W. A., Wilson, K. G., Storaasli, R. D., & McNeill, J. W.(2006).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use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 a group treatment for social phobi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ical Therapy, 6, 397-416
  • Osipow, S. H., Carney, C. G., Winer, J., Yanico, B., & Koschir ,M.(1980). The career decision (3rd ed.). Columbus, Ohio: Marsthon Consulting and Press
  • Osipow, S. H., & Fitzgerald, L. F. (1996). Theorise of career development(4th ed.). Boston: Allyn and Bacon.
  • Osipow, S. H. & Reed. (1985). Decision making style and career in decision in college stud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7, 368-373
  • O'Hare, M. M., & Tamburi, E. (1986). Coping as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3), 255-264.
  • Neimeyer, R. A. (1993). An appraisal of constructivist therap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 221-234.
  • Nauta, M. M., & Epperson, D. L. (1995). Gender differences in attribution style and persistence in engineer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ew York.
  • Murtagh, N., Lopes, P. N., & Lyons, E.(2011). Decision Making in Voluntary Career Change: An Other-Than-Rational Perspectiv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9. 249-263.
  • Multon, K. D., Heppner, M. J., & Lapan, R. T. (1995). An empirical derivation of career decision subtypes in al high school samp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7, 76-92.
  • Mitchell, K. E., Levin, A. S., & Krumboltz, J. D. (1999). Planned happenstance: Constructing unexpected career opportuniti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7, 115-124.
  • Metzger, R. L., Miller, M. L., Cohen, M., Sofka, M., & Borkovec, T. D. (1990). Worry changes decision making: The effect of negative thoughts on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6, 78-88.
  • McWhiter ,E .H.(1994). Counseling for empowerment. Alexandria,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Press.
  • McCaul, K. D. & Haugtvedt, C. (1982). Attention, distraction, and cold-pressor pai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1), 154-162.
  • Luzzo, D. A., James, T., & Luna, M. (1996). Effects of attributional retraining on the career belief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4), 415-422.
  • Luzzo, D. A. (1993). Value of career decision-making attitudes and skil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 194-198.
  • Lundgren,T., Dahl, J., & Hayes, S.C.(2008). Evaluation of mediators of change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with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1, 225-235.
  • Lipshitz, R., & Strauss, O. (1997). Coping with uncertainty: A naturalistic decision-making analysi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69(2), 149-163.
  • Linehan, M. M. (1994). Acceptance and change: The central dialectic in psychotherapy.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pp.73-90). Reno. NV: Context Press.
  • Larson, L. M., & Heppner, P. P., (1985). The relationship of problem-solving appraisal to career decision and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6(1), 55-65.
  • Krumboltz, J. D., Mitchell, A. M., & Jones, G. B. (1976). A social learning theory of career selec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6, 71-80.
  • Krumboltz, J. D. (2009). The happentance learning the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7, 135-154.
  • Krumboltz, J. D. (1994). The Career Beliefs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2(4), 424-428.
  • Krumboltz, J. D. (1989). Thee effect of alternative career decision making strategies on the quality of resulting decision. Palo Alto, CA : Stanford University.
  • Koszycki, D., Benger, M., Shlik, J., & Bradwejn, J. (2007). Randomized trial of a meditation-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generalized social anxiety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 2518-2526.
  • Kocovski, N. L., Fleming, J., & Rector, N. A.(2009). Mindfulness and acceptance-based group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An open trial.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6, 276-289.
  • Kimes, H., & Troth, W. (1974). Relationship of trait anxiety to career decisiven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1, 277-280.
  • Kidd, J. M. (1996). Career Development work with individuals. In R. Woolfe & W. Dryden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pp.460-484). London: Sage.
  • Kelly, K. R., & Lee, W. C. (2002). Mapping the domain of career decision problem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1(2), 302-326.
  • Katz, M. R. (1963). Decision and values: A rationale for secondary school guidance. New York :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 Kass, G. (1980).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Applied Statistics, 29, 119-127.
  •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acorte.
  • Jr., Lenz, J. G., & Reardon, R .C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과 실제, 진로상담과 서비스. [Career Counseling and Services : A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이재창, 최인화, 박미진, 최정인 공역). 서울: 한국가이던스
    Peterson, G. W. Sampson, J. P. (원전은 2004 출판) [2009]
  • Jones, L. K. (1989).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 of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s: A revi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cale- The Career Decision Profi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4), 477-486.
  • Jepsen, D. A., Dustin, R., & Miars, R.(1982).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training on adolescents'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1(3), 149-153.
  • Jepsen, D. A., & Dilley, J. S.(1974). Vocational decision making models : A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4, 331-349.
  • Janis, I. L., & Mann, L. (1977). Decision-Making: A psychological analysis of conflict, choice, and commitment. New York: Free Press.
  • Jacobs, S. J., & Blustein, D. L. (2008). Mindfulness as a coping mechanism for employment uncertaint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7,174-180.
  • Holland, J. L., & Holland, J. E. (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 404-415.
  • Hogan, T. P., & Brashers, D. E. (2009). The theory of communication and uncertainty management: Implications from the wider realm of information behavior. In T. D., Afifi & W. A., Afifi. (Eds.). Uncertainty, information management, and disclosure decisions.(pp 45-66). London : Routledge.
  •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2012).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2nd ed.) : The process and practice of mindful change. New York : Guilford Press.
  •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 Hayes, S. C., Luoma, J., Bond, F., Masuda, A., & Lillis, J.(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 1-25.
  • Hayes, S. C., Hayes, L. J., & Reese, H. W.(1988). Finding the philosophical core: A review of Stephen C. Pepper’s world hypotheses.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50(1), 97-111.
  • Hayes, S. C., Bissett, R. T., Zettle, R. D., Rosenfarb, I. S., Cooper, L. D., & Grundt, A. M. (1999). The impact of acceptance versus control rationales on pain tolerance. The Psychological Record, 49, 33-47.
  • Hayes, S. C., Barnes-Holmes, D., & Roche, B. (2001). Relational frame theory: A pr cis. In S. C. Hayes, D. Barnes-Holmes, & B. Roche(Eds.), Relational frame theory: A post-Skinnerian account of human language and cognition. New York: Plenum Press.
  • Hayes, S. C.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the new behavior therapies. In S. C. Hayes., V. M. Follette, & M. M. Linehan (Eds.), Mindfulness and acceptance(pp. 1-29). New York: Guilford Press.
  • Hayes, S. C. (1994). Content, context, and the type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pp.13-32). Reno, NV: Context Press.
  • Hayes, S. C. & Strosahl, K. D. (Eds.). (2004). A practical guide to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New York: Springer.
  • Hartman, B. W., Fuqua, D. R., & Jenkins, S. J. (1986). The reliability generalizability of the constuc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8, 142-148.
  •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119-133.
  • Hanh, T. N. (1976). The miracle of mindfulness : A manual on meditation. Boston: Beacon Press.
  • Gunaratana, H. (1991). Mindfulness in plain English. Boston: Shambhala.
  • Gregg, J. A., Callaghan, G. M., Hayes, S. C.,& Glenn-Lawson, J. L.(2007). Improving diabetes self-management through acceptance, mindfulness, and vlaues: A randomized contolled tria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5, 336-343.
  • Greenberg, L. S., & Safran, J. D. (1989). Emotion in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44, 19-29.
  • Gottfredson, L. S.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i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545-579.
  • Goodstein, L. D. (1972). Behavioral views of counseling, In B. Steefflre & W. H.Grant(Eds.). Theories of counseling. New York : McGraw- hill.
  • Ginzberg, E., Ginsburg, S. W., Axelrad, S., & Herma, J. (1951).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Gifford, E. V., Kohlenberg, B. S., Hayes, S. C., Antonuccio, D. O., Piasecki, M. M., Rasmussen-Hall, M. L., & Palm, K. M. (2004). Acceptance theory-based treatment for smoking cessation: An initial trial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Behavior Therapy, 35, 689-705.
  • Gibson, R. L., & Mitchell, M. H.(1990). Introduction to counseling and guidance.(3rd ed.). New York: Macmillan.
  • Germeijs, V., & DeBoeck, P. (2003). Career indecision: Three factors from decision the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2, 11-25.
  • Gelatt, H. B.(1995). Chaos and compassion. Counseling and values, 39(2),108-116
  • Gelatt, H. B. (1989). Positive uncertainty: A new decision making framework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252-256.
  • Gelatt, H. B. (1962). Decision-making : A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fo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9, 240-245.
  • Gati, I., Krausz, M., & Osipow, S. H. (1996). A taxo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4), 510-526.
  • Gati, I., Gadassi, R., Saka, N., Hadadi, Y., Ansenberg, B., Friedman, R., & Asulin-Peretz, I. (2011).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asp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Facets of career indecisivenes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9, 3-20.
  • Gati, I. (1990). Why, when, and how to take into account the uncertainty involved in career decision. Journal of Career Counseling, 37(3), 277-280.
  • Gati, I. (1986). Making career decisions: A sequential elimination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 408-417.
  • Fuqua, D. R., Seaworth, T. B., & Newman, J. L.(1987). The reationship of career indecision and anxiety: A multivarate examin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0, 175-186.
  • Fuqua, D. R., Newman, J. L., & Seaworth, T. B. (1988). Relation of state and trait anxiety to different component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2), 154-158.
  • Friedman, B. H., Thayer, J. F., & Borkovec, T. D. (2000). Explicit memory bias for threat words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r Therapy, 31, 745-756.
  • Folke, F., & Parling, T.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 group format for individuals who are unemployed and on sick leave suffering from de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Unpublished thesis.: University of Uppsala, Uppsala.
  • Eifert, G. H., Forsyth, J. P., Arch, J., Espejo, E., Keller, M., & Langer, D.(200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Three case studies exemplifying a unified treatment protocol. Cognitive and Behavior Practice, 16, 368-385.
  • Dugas, M. J., Schwarzt, A. ,& Francis, K.(2004). Intolerance of uncertainty, worry, and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8,835-842.
  • Dugas, M. J., Hedayati, M., Karavidas, A., Buhr, K., Francis, K., & Phillips, N. A.(2005). Intoleance of uncertainty and information processing: Evidence of biased recall and interpretation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9, 57-70.
  • Dugas, M. J., Freeton, M .H., & Ladouceur, R.(1997).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roblem orientation in worry. Cognitive Therapy & Research, 21, 593-606.
  • Dowd, E. T.(1995). Cognitive career assessment; Concept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3, 1-20.
  • Dougher, M. J. (1994). The ACT of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er(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pp.37-45). Reno, NV: Context Press.
  • Dodge, T. D. (2001).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of origin and selected career development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ouisiana Tech University.
  • Dipeolu, A., Reardon, R., Sampson, J., & Burkhead, J.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nd adjustment to disability in colleg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0(4), 413-427.
  • Dalrymple, K .L., & Zimmerman, M.(2007). Does comorbid social anxiety disorder impactthe clinical presentation of principal major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0, 241-247.
  • Crites, J. O. (1981).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ials. New York: McGraw-Hill.
  • Crites, J. O.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 Crites(1974). Theory and research and 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 CTB /McGraw-Hill.
  • Cordova, J., & Kolenberg, R. (1994). Acceptance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ter(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pp.125-140). Reno, NV: Context Press.
  • Corbishley, M. A., & Yost, E. B. (1989). Assement and treatment of dysfunctional cognitions in career counseling. Career Planning and Adult Development Journal, 5(3), 20-26.
  • Chawla, N., & Ostafin, B. (2007). Experiential avoidance a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psychopathology: An empirical review.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3(9), 871-890.
  • Bὅgels, S. M., Sijbers, G. F. V. M., & Voncken, M. (2006). Mindfulness and task concentration training for social phobia: A pilot study.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20, 33-44.
  • Brown, K. W., & Ryan, R.M.(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 Brown, D., & Associates.(2002).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Inc
  • Brown, D. (1985). Career counseling: Before, after or instead of personal counseling?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33, 197-201.
  • Bright, J .E. H., Pryor, R. G. L. ,& Harpham, L.(2004). The role of chance event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 561-576.
  • Borgen, W. A.(1997). People caught in changing career opportunities: A counseling process.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34(3), 133-143.
  • Bond, F. W., & Hayes, S. C. (2002). ACT at work. In F. W. Bond & W. Dryden(Eds.), Handbook of Brief Cognitive Behavior Therapy(pp.117-139). John Wiley & Sons, Ltd.
  • Bond, F. W., & Bunce, D. (2000). Mediators of change in emotion-focused and problem-focused worksit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on Health Psychology, 5, 156-163.
  • Bond, F. W. Hayes, S. C.,Baer, R. A., Carpenter, K. M., Guenole, N., Orcutt, H. K., Waltz, T., & Zettle, R. D.(2011).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Ⅱ: A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havior Therapy, 42, 676-688.
  • Blustein, D. L., Palladino Schultheiss, D .E., & Flum, H.(2004). Toward a relational perspective of the psychology of careers and working: A social constructionist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3),423-440.
  • Block, J. A. (2002). Acceptance or change of private experiences: A comparative analysis in college students with public speaking anxiety.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 Biglan & Hayes(1997). Should the behavioral sciences become more pragmatic? The case for functional contextualism in research on human behavior.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5(1),47-57.
  • Betz, N. E., Klein, K., & Taylor, K. M.(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47-58.
  • Betz, N. E., & Luzzo, D. (1996). Career assesment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ment, 4, 413-428.
  • Betz, N. E. (1992). Counseling use of career self-efficacy theor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1, 22-26.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NJ: Prentice Hal.
  • Bach, P., & Hayes, S. C. (2002). The use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o prevent the rehospitalization of psychotic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1129-1139.
  • Arch, J. J., & Craske, M. G.(2008).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anxiety disorders: Different treatments, similar mechanism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5, 263-279.
  • Amundson(1995). An interactive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32, 11-21.
  • (Eds.). 수용전념치료 실무지침서 [A Practical Guide to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손정락, 이금단 공역). 서울 : 학지사
    Hayes, S. C. Strosahl, K. D. (원전은 2004 출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