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논문 : 한국어 기능 교육: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 기획 논문 : 한국어 기능 교육: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koreanlanguageskillseducation
  • listeningeducation
  • reading education
  • research status
  • speaking education
  • writing education
  • 듣기 교육
  • 말하기 교육
  • 쓰기 교육
  • 연구 현황
  • 읽기교육
  • 한국어 기능 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48 0

0.0%

' 기획 논문 : 한국어 기능 교육: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의 참고문헌

  • 화용론적 관점에서 본 의문문 교육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문문을 중심으로-
    이준호 한국어교육 19 (2) : 281 ~ 306 [2008]
  • 한글 반포 550 주년 기념
    김정숙 한글 문화 파리 국제 학술회의 발표 논문 ; 대회주제 ‘한글과 한글 문화’(1996. 6. 25 - 26) ;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읽기 교육 방안 / 한국어 교육 7 : 295 ~ 309 [1996]
  • 한국인과 중국인의 승낙 획득 전략 비교 연구
    박재현 한국어교육 15 (2) : 115 ~ 144 [2004]
  • 한국인·외국인 간 강의 듣기 전략의 사용 양상 비교
    배윤경 한국어교육 22 (2) : 213 ~ 232 [2011]
  • 한국어교육학에서의 담화 연구 분석
    강현화 한국어교육 23 (1) : 219 ~ 256 [2012]
  • 한국어교육학 사전
  •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표지 위계화 방안
    안주호 한국어교육 20 (3) : 135 ~ 159 [2009]
  •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담화에 나타난 화용적 문제 연구 -담화표지 사용을 중심으로-
    한상미 한국어교육 23 (4) : 441 ~ 470 [2012]
  •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성 능력에 대한 연구
    김지혜 한국어교육 22 (3) : 77 ~ 97 [2011]
  •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특징 연구
    이지영 한국어교육 13 (2) : 11 ~ 246 [2002]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진대연 한국어교육 17 (3) : 325 ~ 356 [2006]
  •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대한 한국어 교사와 비교사 원어민 간의 평가 차이 연구
    이향 한국어교육 25 (4) : 163 ~ 188 [2014]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에 관한 연구: 숙련도가 다른 화자들과의 상호작용에서
    AndrewByon 한국어교육 14 (1) : 15 ~ 366 [2003]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에 나타난 통사 복잡성 발달
    남주연 한국어교육 26 (1) : 59 ~ 87 [2015]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담화 정보 활용
    이지영 한국어교육 17 (1) : 301 ~ 331 [2006]
  • 한국어 학습자의 구두 발표에 나타난 음성·음운적 요인에 대한 교사 인식 및 평가
    김지은 한국어교육 23 (4) : 65 ~ 90 [2012]
  •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구어오류수정에 대한 인식 연구
    김영주 한국어교육 21 (3) : 23 ~ 44 [2010]
  •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전략 유형 분류 및 분석: 비상호적 상황을 중심으로
    진제희 한국어 교육 11 (1) : 175 ~ 199 [2000]
  • 한국어 학습자 발화의 유창성 판단에 관한 연구
    김상수 한국어교육 19 (2) : 75 ~ 91 [2008]
  •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최정순 이중언어학 (47) : 383 ~ 402 [2011]
  • 한국어 작문과정 모형과 단계별 전략 탐구
    김성숙 한국어교육 18 (2) : 21 ~ 47 [2007]
  • 한국어 읽기를 위한 어휘의 문화 배경지식 활용
    신윤경 한국어교육 22 (1) : 179 ~ 201 [2011]
  •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김정숙 한국어교육 15 (3) : 1 ~ 21 [2004]
  •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정희 제18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 241 ~ 256 [2015]
  • 한국어 이해 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김영규 이중언어학 (47) : 403 ~ 422 [2011]
  •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표현 형태 양상 조사 연구
    박문자 한국어교육 17 (3) : 55 ~ 72 [2006]
  • 한국어 쓰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및 선초 차이에 관한 연구
    김영규 한국어 교육 24 (3) : 109 ~ 138 [2013]
  • 한국어 쓰기 오류교정에서 오류일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조윤경 한국어 교육 18 (3) : 221 ~ 248 [2007]
  •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강승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1 : 1 ~ 35 [2014]
  • 한국어 발화에서의 무례(無禮) 연구 - 무례 유형과 서양의 무례(Impoliteness) 유형 비교 -
    김태나 한국어교육 22 (3) : 99 ~ 131 [2011]
  • 한국어 모어 화자와 홍콩 광둥어 화자의 거절 부담감 비교 연구
    폴리롱 한국어교육 26 (1) : 353 ~ 386 [2015]
  •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유형 및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이영식 한국어교육 15 (3) : 207 ~ 228 [2004]
  • 한국어 말하기 능력 구인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김정숙 한국어교육 25 (4) : 1 ~ 21 [2014]
  • 한국어 듣기 평가 텍스트의 진정성 연구 -대화형 텍스트의 상호작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박민신 한국어교육 19 (1) : 93 ~ 112 [2008]
  • 한국어 듣기 수업에 있어서 과제 해결적(task-based) 접근
    박미경 한국어 교육 5 : 215 ~ 231 [1994]
  •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음성 자료 속도의 실제성
    최은지 한국어교육 18 (1) : 395 ~ 421 [2007]
  •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성
    이해영 한국어 교육 10 (1) : 241 ~ 263 [1999]
  • 한국어 대화의 교수모형: 질문과 응답
    신현숙 한국어교육 13 (2) : 7 ~ 158 [2002]
  • 한국어 담화 교육을 위한 논의 -한국어 경어법 관련 표현을 중심으로-
    김정남 한국어교육 19 (2) : 125 ~ 154 [2008]
  • 한국어 구어 표현 교육 연구 -감정 표현 ‘너무’와 ‘-(으)ㄴ 것 같다’를 중심으로-
    조경순 한국어교육 20 (1) : 183 ~ 206 [2009]
  • 한국어 교재의 행 바꾸기 -띄어쓰기와 읽기 능력의 계발-
    조인정 한국어교육 23 (1) : 77 ~ 100 [2012]
  • 한국어 교재와 드라마에 나타난 거절표현 특징 연구 -추론단계 중심으로-
    오현정 한국어교육 21 (3) : 129 ~ 158 [2010]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인사표현 양상과 그 효과적 교수 방안 연구
    방혜숙 한국어교육 18 (1) : 149 ~ 179 [2007]
  • 한국어 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중섭 한국어교육 15 (2) : 75 ~ 92 [2004]
  • 한국어 교육의 이해
    김중섭 하우 [2014]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희망 표현 연구
    김서형 한국어교육 18 (1) : 23 ~ 48 [2007]
  • 한국어 교육에서의 정서법 교육에 대하여
    민현식 한국어 교육 11 (1) : 1 ~ 23 [2000]
  •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시 텍스트 선정을 위한 연구 -텍스트 위계화를 위한 변인에 대한 고찰-
    김혜영 한국어교육 22 (4) : 1 ~ 32 [2011]
  •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혜령 한국어 교육 20 (2) : 107 ~ 127 [2009]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화용 능력 고찰 -영어권 교포학습자와 비교포학습자의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이동은 한국어교육 19 (3) : 295 ~ 320 [2008]
  •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 척도를 활용한 오류수정적 피드백 제공 방안
    박선희 한국어교육 19 (3) : 201 ~ 236 [2008]
  •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에서 개조식 문체 쓰기 교육을 위한 제언
    서희정 한국어교육 26 (1) : 117 ~ 154 [2015]
  • 학문목적 유학생들의 독해력 지수와 읽기 전략, 동기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연구
    김경령 한국어교육 21 (4) : 25 ~ 50 [2010]
  • 학문 목적의 한국어 듣기 교육을 위한 강의 담화 분석
    오선경 한국어교육 18 (2) : 199 ~ 220 [2007]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배윤경 한국어교육 22 (4) : 1 ~ 29 [2011]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전공의 작문 과제 유형 조사 연구
    최은지 한국어교육 20 (2) : 281 ~ 301 [2009]
  • 학문 목적 한국어 작문 교육을 위한 내용 지식 지도 방안
    최은지 한국어교육 23 (4) : 419 ~ 440 [2012]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연구 - 보고서 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
    김성숙 한국어교육 24 (2) : 57 ~ 80 [2013]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능력에 대한 분석적 평가의 일반화가능도 검증
    김성숙 한국어교육 22 (3) : 29 ~ 48 [2011]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김영미 한국어교육 21 (1) : 87 ~ 123 [2010]
  •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대학 입학 전 과정을 중심으로-
    한상미 한국어교육 20 (1) : 207 ~ 238 [2009]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말하기 과제 중심 요구 분석: 중국인 이공계열 유학생을 중심으로
    윤신애 한국어교육 21 (3) : 159 ~ 188 [2010]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일본어교육에서의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나카가와 마사오미 한국어 교육 19 (1) : 1 ~ 30 [2008]
  • 학문 목적 읽기교육에서 맥락적 원리의 탐색
    김진아 한국어교육 23 (4) : 117 ~ 141 [2012]
  • 학구적 목적의 한국어 토론 수업 방안
    이동은 한국어교육 14 (3) : 10 ~ 260 [2003]
  • 하이퍼텍스트 작문의 특성과 한국어 작문 교육 방향
    김영만 한국어교육 14 (3) : 3 ~ 80 [2003]
  • 페이스북을 이용한 한국어 초급 수업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권정아 한국어교육 23 (4) : 1 ~ 29 [2012]
  • 통합성에 기초한 교재 개작의 원리와 실제 :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모색
    이해영 한국어 교육 10 (2) : 273 ~ 294 [1999]
  • 통합 교수 및 학습자간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소집단 읽기 수업 방안
    오경숙 한국어교육 18 (1) : 289 ~ 308 [2007]
  • 텍스트 상세화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승은 한국어교육 18 (2) : 311 ~ 331 [2007]
  • 텍스트 구조 학습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미경 한국어교육 18 (3) : 27 ~ 51 [2007]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인지 정보 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크게 생각하기 방법’을 이용하여
    앤드류 변 한국어 교육 15 (1) : 280 ~ 290 [2004]
  • 초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 화행 연구 -시간차에 따른 전략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이복자 한국어교육 25 (1) : 83 ~ 113 [2014]
  •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에 나타난 조사 오류 연구
    한상미 한국어교육 25 (3) : 281 ~ 310 [201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 작문과 한국어 작문 비교 연구
    이인혜 한국어교육 25 (2) : 135 ~ 163 [2014]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연구
    김중섭 한국어교육 13 (1) : 3 ~ 71 [2002]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읽기 전략 연구
    기준성 한국어교육 21 (2) : 29 ~ 58 [2010]
  • 조선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 연구 - 류학생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
    김인규 한국어교육 23 (1) : 283 ~ 306 [2012]
  • 재외동포 아동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대화일지 쓰기 사례 연구
    황은하 한국어교육 25 (2) : 221 ~ 247 [2014]
  •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회화 교재의 구성원리 및 개발에 관한 연구
    김재욱 한국어교육 13 (2) : 4 ~ 86 [2002]
  • 장르별 글쓰기 수업의 Dicto-Comp적용 연구 -외국어로서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강수진 한국어교육 21 (2) : 1 ~ 28 [2010]
  • 장르 기반 교수법에 근거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방안 -학술논문 서론의 텍스트생산 목적진술담화를 중심으로
    박나리 한국어 교육 23 (3) : 55 ~ 94 [2012]
  • 작업기억 용량과 L2 숙달도가 한국어 학습자의 형태통사 오류 처리에 미치는 영향:자가 속도조절 듣기 연구
    이은하 한국어교육 26 (1) : 299 ~ 351 [2015]
  • 자동 형태소 분석 기술을 이용한 한국어 읽기 보조 도구의 개발 - 일본어 모어화자를 위한 기능을 중심으로 -
    스가이 요시노리 한국어교육 24 (3) : 139 ~ 159 [2013]
  •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학문목적 한국어 고급 읽기 교재 수록 텍스트를 대상으로-
    구민지 한국어교육 22 (2) : 27 ~ 48 [2011]
  •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거절 화행 실현 양상 연구
    이해영 한국어교육 14 (2) : 11 ~ 326 [2003]
  • 일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경어법 교육 연구
    나카가와 마사오미 한국어교육 18 (1) : 101 ~ 124 [2007]
  •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김경선 한국어교육 21 (4) : 51 ~ 75 [2010]
  • 인터뷰평가의 담화분석 연구
    김종국 한국어교육 17 (2) : 45 ~ 68 [2006]
  • 인식 조사를 통한 한국어 구어 유창성의 개념 및 요인 연구
    이정희 한국어교육 21 (4) : 183 ~ 204 [2010]
  • 이야기 표현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방안
    함욱 한국어교육 22 (2) : 351 ~ 373 [2011]
  • 워크숍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의 쓰기 수정 사례를 중심으로 -
    전형길 한국어교육 24 (3) : 269 ~ 298 [2013]
  • 워크북의 쓰기 활동에 관한 한국계(heritage)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 평가
    Jinjoo, Kwak 한국어교육 18 (2) : 1 ~ 19 [2007]
  • 외국인의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 연구
    이해영 한국어 교육 20 (2) : 203 ~ 228 [2009]
  • 외국인 유학생이 생산한 설득적 텍스트 분석-장르 기반 문법 모델을 바탕으로-
    박나리 한국어교육 25 (3) : 143 ~ 183 [2014]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각주 쓰기 교육방안 연구
    박나리 한국어교육 24 (3) : 27 ~ 70 [2013]
  •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어 쓰기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장향실 한국어교육 20 (2) : 255 ~ 279 [200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교육 : 독해 전략을 통한 효율적인 읽기 방안
    권미정 한국어 교육 10 (1) : 1 ~ 28 [199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말 연구 -유도 발화 범주의 교사말 유형을 중심으로-
    한상미 한국어교육 12 (2) : 223 ~ 253 [2001]
  • 오류 교정을 통한 작문의 정확도 발달: 한국어 작문의 종적 연구
    Eun-Joo Kim 한국어교육 13 (1) : 13 ~ 306 [2002]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구두 발표의 담화 분석 -교포와 비교포의 구두 발표 담화에 나타나는 문체적 특징을 중심으로-
    이해영 한국어교육 23 (4) : 283 ~ 306 [2012]
  • 영어권 동포아동의 효율적 한글 맞춤법 학습을 위한 기초 연구 -뉴질랜드에서의 조사를 중심으로
    최인실 한국어교육 18 (2) : 459 ~ 486 [2007]
  • 영어권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화행 교육 모형 개발 연구
    장미경 한국어교육 19 (2) : 307 ~ 331 [2008]
  • 연구방법에 따른 한국어 쓰기 연구의 경향 분석
    심상민 작문연구 (7) : 131 ~ 150 [2008]
  • 언어학습자문학이 읽기 이해 및 어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민애 한국어교육 25 (4) : 77 ~ 108 [2014]
  • 언어 숙달도(Language Proficiency)를 위한 듣기 교육 -기초 단계를 중심으로
    권미정 한국어 교육 5 : 175 ~ 197 [1994]
  • 실제적인 대화 자료 작성에 관한 연구 -대화분석으로 본 청취교재
    마쯔자키마히루 한국어 교육 17 (1) : 133 ~ 161 [2006]
  • 시(詩)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실제 -발화의 내적 조건과 관련하여-
    김지연 한국어교육 12 (2) : 89 ~ 109 [2001]
  • 설명텍스트 분석 정보를 활용한 중급 단계 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과정-장르 중심 접근법을 바탕으로
    양태영 한국어 교육 24 (1) : 177 ~ 208 [2013]
  • 설득적 말하기에 나타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담화 기능 연구
    조정민 한국어교육 24 (4) : 289 ~ 312 [2013]
  • 상호작용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의 말하기 활동 연구
    김지영 한국어교육 25 (4) : 23 ~ 49 [2014]
  • 사회언어학적 및 전략적 말하기 능력 배양을 위한 담화분석 방법의 적용
    진제희 한국어교육 14 (1) : 13 ~ 323 [2003]
  • 사고발화법을 이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전략 분석 -한국인과 중국인 대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은경 한국어교육 23 (3) : 315 ~ 342 [2012]
  • 비상호적 의사소통 전략 연구 -한국어 학습자 간(間) 구어 담화를 중심으로-
    안주호 한국어교육 23 (4) : 203 ~ 232 [2012]
  • 브라질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에 나타난 공손표현 연구
    이효숙 한국어교육 24 (4) : 263 ~ 288 [2013]
  • 북한의 한국어교육 회화교재 분석 연구 −조선어회화, 조선어회화2를 중심으로−
    이관식 한국어교육 16 (1) : 195 ~ 218 [2005]
  • 보고서 쓰기와 발표하기를 통합한 한국어 고급 단계의 프로젝트 수업 연구학문 목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지영 한국어교육 18 (2) : 49 ~ 79 [2007]
  • 발표 담화의 관여 전략 연구
    이정란 한국어교육 25 (1) : 145 ~ 167 [2014]
  • 명시적 교수와 암시적 교수가 요청 화행 전략 표현 학습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연경 한국어교육 25 (1) : 115 ~ 144 [2014]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 수업
    박현진 한국어교육 21 (4) : 119 ~ 152 [2010]
  • 말뭉치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화행 분석을 중심으로
    Danielle Ooyoung Pyun 한국어교육 18 (2) : 135 ~ 154 [2007]
  • 딕토글로스 중심 수업이 한국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중급 단계를 대상으로-
    최문석 한국어교육 23 (4) : 391 ~ 417 [2012]
  • 담화 원리를 바탕으로 한 제안 기능 교육 내용 구성
    이지영 한국어교육 17 (3) : 185 ~ 208 [2006]
  •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김정숙 한국어 교육 10 (2) : 195 ~ 213 [1999]
  • 다차원 분석에 의한 한국어 논문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연구 -전공 분야별 비교를 통하여-
    홍혜란 한국어교육 22 (2) : 375 ~ 405 [2011]
  •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명담화 구문발달 양상 -필리핀 이주여성가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최지영 한국어교육 23 (2) : 445 ~ 465 [2012]
  •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김정숙 한국어교육 20 (1) : 23 ~ 44 [2009]
  • 그룹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신장 연구-과제 수행 중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정자 한국어 교육 12 (2) : 29 ~ 52 [2001]
  • 구어체 텍스트의 응결 장치 연구 -토론 텍스트를 중심으로-
    안경화 한국어교육 12 (2) : 137 ~ 157 [2001]
  • 교사 피드백 방법이 한국어 학습자 작문의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주현 한국어교육 18 (1) : 125 ~ 148 [2007]
  • 과제 수행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담화 분석 활동의 활용 방안
    김지영 한국어교육 25 (1) : 29 ~ 52 [2014]
  • 과제 수행 중심의 말하기 지도 방안 -󰡔말이 트이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현윤호 한국어 교육 12 (2) : 511 ~ 531 [2001]
  • 과정 중심적 웹기반 한국어 쓰기 교육 : ‘hanclass’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성 한국어 교육 12 (1) : 19 ~ 47 [2001]
  •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구민지 한국언어문화학 11 (3) : 1 ~ 22 [2014]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주옥파 한국어교육 15 (1) : 165 ~ 188 [2004]
  • 고급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정보 처리 접근법을 이용한 문화 교육
    Youngjoo Kim 한국어교육 17 (3) : 27 ~ 54 [2006]
  • 고급 KFL 학습자 작문 교육에 관한 연구: “학습자 간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Andrew Sangpil Byon 한국어교육 16 (1) : 299 ~ 325 [2005]
  • Who is talking? From Teacher-led to Student-led Discussion in Advanced Korean Classes
    오상석 한국어교육 25 (2) : 79 ~ 112 [2014]
  • Types and Patterns of English L1 Students’ Misspellings in Korean
    Seong-Chul Shin 한국어교육 18 (3) : 99 ~ 122 [2007]
  • The Study on Reading-to-write Task for KAP Learners
    이준호 한국어교육 22 (4) : 1 ~ 26 [2011]
  • TASK 개념을 기초로 한 듣기 말하기 수업 연계 방안 - INTERMEDIATE LEVEL 을 대상으로
    곽상흔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 : 199 ~ 214 [1994]
  • TASK 개념을 기초로 한 듣기 말하기 수업 연계 방안 - INTERMEDIATE LEVEL 을 대상으로
    곽상흔 한국어 교육 5 : 199 ~ 214 [1994]
  • Speech Ac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Representations and Authenticity
    왕혜숙 한국어 교육 10 (1) : 195 ~ 220 [1999]
  • Role of Dyadic Language Proficiency: Qualitativ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Conversations with Their Conversation Partners
    이정이 한국어교육 21 (2) : 247 ~ 268 [2010]
  • KSL Learners’ Perceptions on Text Types: Understanding, Preferences and Necessity
    신성철 한국어교육 23 (4) : 471 ~ 493 [2012]
  • English Teaching에 게재된 말하기 논문 주제 분석 : 1976-2012년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김은주 교과교육학연구 : 859 ~ 88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