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상세정보
' 학생의 과학학습 관련 국내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science education study
  • science learning
  • studentslearning
  •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 과학 학습
  • 과학교육 연구
  • 과학교육 연구 동향
  • 학생의 학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8 5

0.0%

' 학생의 과학학습 관련 국내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의 참고문헌

  • 해결자?청취자 문제해결 활동에서의 소집단 과정
    전경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3) : 411 ~ 421 [2002]
  • 한국초등과학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이아람 초등과학교육 32 (3) : 260 ~ 268 [2013]
  • 한국과 미국의 초등 과학 교육과정 지구영역의 학년 간 내용 연계성 분석 연구
    서예원 초등과학교육 27 (4) : 356 ~ 370 [2008]
  •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
    곽영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5) : 855 ~ 865 [2012]
  • 학생들의 인식조사를 통한 온라인 물리탐구토론의 특징
    이봉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6) : 1206 ~ 1215 [2004]
  •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한 이동과학교실의 특징 분석
    이봉우 초등과학교육 28 (1) : 1 ~ 8 [2009]
  • 학생들의 보고서 쓰기에 대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 수행의 효과
    김미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8) : 848 ~ 860 [2009]
  •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문제 해결형 탐구 모듈에서의 SWH 활용 효과
    이은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2) : 130 ~ 138 [2008]
  • 포화 용액 개념 학습에서 비유 표현 방식과 언어적 학습 양식에 따른 비유 사용 수업의 효과
    강훈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2) : 402 ~ 414 [2012]
  • 판구조론에 관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오개념
    정경진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 : 762 ~ 774 [2007]
  • 초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환경 인식 분석
    박헌우 생물교육 35 (1) : 92 ~ 100 [2007]
  •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자료해석 특성 분석
    임성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 (1) : 78 ~ 98 [2011]
  • 초등학생의 인지 수준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방미정 초등과학교육 29 (3) : 277 ~ 291 [2010]
  • 초등학생의 비례와 보상 논리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
    김선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5) : 987 ~ 995 [2004]
  •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자 특성과의 관련성 분석
    이주연 초등과학교육 25 (2) : 167 ~ 178 [2006]
  • 초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
    백성혜 원정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1) : 9 ~ 20 [2003]
  • 초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특성 및 경험과의 관계
    전민정 생물교육 40 (1) : 1 ~ 14 [2012]
  • 초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김지나 초등과학교육 27 (3) : 261 ~ 272 [2008]
  •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과 관련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특성과 과학기술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의 관계
    김경순 초등과학교육 28 (2) : 121 ~ 131 [2009]
  • 초등학교 3~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서 체제 개발 연구
    임채성 초등과학교육 26 (5) : 580 ~ 595 [2007]
  • 초등과학교육 연구의 동향
    장병기 초등과학교육 22 (2) : 192 ~ 199 [2003]
  • 초등과학 영재교실에서 발견 학습 모형 수업에 효과적인 환경 조건의 탐색
    이인호 초등과학교육 25 (3) : 307 ~ 317 [2006]
  • 초등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의 생물 영역과 타 교과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분석
    박재근 초등과학교육 26 (1) : 63 ~ 75 [2007]
  •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이수진 초등과학교육 25 (5) : 567 ~ 581 [2007]
  • 초등 과학 수업 담화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 탐색
    이선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 (1) : 181 ~ 192 [2013]
  • 초·중·고 학생들의 자기장 및 자성체 관련 오개념 비교
    오원근 장혜숙 새물리 58 (6) : 629 ~ 637 [2009]
  • 초·중·고 학생과 예비 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분석
    임성만 초등과학교육 27 (1) : 1 ~ 8 [2008]
  • 첨단 과학에 대한 초등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교과서 내용 분석
    김진화 초등과학교육 28 (4) : 390 ~ 403 [2009]
  • 창의성센터 건립을 위한 학생,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조사
    이성희 초등과학교육 31 (2) : 177 ~ 187 [2012]
  • 지구온난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이해 조사 연구
    길지현 생물교육 40 (4) : 421 ~ 428 [2012]
  •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한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의 인식
    정재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3 (7) : 672 ~ 682 [2012]
  •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한 행동에 대한 한국과 싱가포르 학생들의 신념과 행동 의지
    윤혜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 (2) : 181 ~ 197 [2011]
  • 지각 변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중간 언어 유형
    강도영 한국지구과학회지 33 (1) : 59 ~ 72 [2012]
  • 증발과 증발 조건에 관한 활동에서 유·초·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 및 학년별 경향성에 관한 연구
    조부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2) : 286 ~ 298 [2002]
  •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동기의 수준 비교
    윤치원 생물교육 33 (1) : 104 ~ 111 [2005]
  • 중학생의 생명현상 관찰활동에서 과학적 흥미 발생 요인 분석
    유경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5) : 594 ~ 608 [2010]
  • 중학교 과학 영재를 위한 유전 심화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파리(돌연변이체)를 중심으로-
    이재기 생물교육 35 (2) : 236 ~ 252 [2007]
  • 중등학교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정은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1) : 155 ~ 165 [2006]
  • 중고등학생들의 진화에 관한 오개념 유형과 유형별 원인 분석
    이춘승 생물교육 35 (4) : 611 ~ 621 [2007]
  •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와 직업에 대한 인식
    김경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8) : 890 ~ 900 [2008]
  •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이양락 초등과학교육 24 (3) : 214 ~ 225 [2005]
  • 제7차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곽영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5) : 1028 ~ 1038 [2004]
  • 제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이양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7) : 775 ~ 789 [2006]
  •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이선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6 (5) : 376 ~ 386 [2005]
  • 자연사 박물관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의 생물 분류군에 대한 학습 효과
    박도원 생물교육 40 (3) : 384 ~ 393 [2012]
  • 자기조절학습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 성취,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정영란 초등과학교육 29 (4) : 389 ~ 400 [2010]
  •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이해도 조사
    김영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 (4) : 718 ~ 734 [2013]
  •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권난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2) : 265 ~ 278 [2012]
  • 울산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STS모듈의 개발 및 적용 효과
    강인지 생물교육 36 (1) : 76 ~ 84 [2008]
  •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논리적 사고 능력에 대한 메타 분석 - 1980 ~ 2000년까지의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김영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4) : 437 ~ 449 [2009]
  • 우리나라 과학교육 관련학회지에 게재된 피아제, 브루너, 오슈벨 이론의 연구동향 분석
    이선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5) : 447 ~ 455 [2007]
  • 용해·확산과 관련된 혼합현상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유형 분석
    허미연 대한화학회지 52 (1) : 73 ~ 83 [2008]
  • 식물의 증산작용 탐구 실험에서 동료검토활동의 효과
    이지영 생물교육 40 (4) : 494 ~ 510 [2012]
  • 수원 화성 과학 탐방을 통한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지도
    박승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5) : 930 ~ 936 [2004]
  •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이종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 (6) : 864 ~ 875 [2011]
  • 생태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주은정 초등과학교육 31 (3) : 284 ~ 297 [2012]
  • 생태계내의 물질 순환 개념의 횡단적인 분석과 과학 교육과정 영향 분석
    신희연 생물교육 34 (5) : 575 ~ 587 [2007]
  • 사고 기술에 따른 Graphic Organizer 유형을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과학탐구능력,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배진호 생물교육 40 (2) : 209 ~ 224 [2012]
  • 비가역 단열과정에서 열역학적 평형상태로의 이동에 관한 과학고 학생들의 이해
    이주현 새물리 63 (6) : 606 ~ 619 [2013]
  • 불일치 상황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관찰 유형과 학습자의 과학의 관점이 관찰 활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조헌국 초등과학교육 30 (4) : 405 ~ 414 [2011]
  • 분자의 운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을 활용한 CAI의 효과
    노태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2) : 298 ~ 306 [2006]
  • 분류 과제 제시 형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잎 분류 행동 차이
    이정경 초등과학교육 27 (3) : 287 ~ 295 [2008]
  • 변인 통제 논리와 상관 논리 미형성 학생의논리 학습을 위한 최적 시기 연구
    김영신 초등과학교육 28 (2) : 154 ~ 160 [2009]
  • 물리영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탐색
    문공주 새물리 63 (3) : 227 ~ 237 [2013]
  • 두뇌 동기보상 시스템 기반 생명과학 학습동기 증진 학습모형 개발
    이일선 생물교육 40 (1) : 109 ~ 120 [2012]
  • 달의 운동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및 인지갈등 상황 후 변화
    임청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8) : 1110 ~ 1122 [2010]
  • 다양한 물질의 상태에 대한 중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분류 기준에 대한 유형 분석
    백성혜 대한화학회지 52 (5) : 569 ~ 579 [2008]
  • 논의과정을 강조한 교수?학습 전략이 중학생들의 인지발달, 과학개념 이해, 과학관련 태도 및 논의과정에 미치는 영향
    남정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3) : 450 ~ 461 [2006]
  • 국내 ‘실행공동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초등 과학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정용재 초등과학교육 33 (3) : 464 ~ 478 [2014]
  • 국가 수준 과학과 교육과정의 입자 관련 내용 국제 비교
    김동현 초등과학교육 31 (2) : 164 ~ 176 [2012]
  • 교과서의 증거를 바탕으로 구성한 고등학생들의 진화적 설명에서 나타나는 논변 구조와 진화 개념 유형
    정주혜 생물교육 37 (4) : 526 ~ 542 [2009]
  • 교과서와 자연사박물관의 진화에 관한 증거 기반 설명의 특성
    정주혜 생물교육 38 (2) : 254 ~ 269 [2010]
  • 광학분야에서 학생 개념의 상황 의존성 ; 시각과 거울상을 중심으로
    권경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3) : 406 ~ 414 [2006]
  • 광물과 암석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특징
    위수민 한국지구과학회지 28 (4) : 415 ~ 430 [2007]
  • 관 내 공기 진동 및 종파에 대한 중학교 상위권 학생들의 이해
    박정우 새물리 59 (4) : 320 ~ 328 [2009]
  • 과학의 사회성과 윤리적 특성에 대한 여고생들의 인식 - 물리 영역의 소음과 방사능 단원을 중심으로 -
    최경희 새물리 46 (1) : 10 ~ 17 [2003]
  •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검사 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개관과 분석 (1990~2009)
    나지연 초등과학교육 29 (3) : 292 ~ 306 [2010]
  • 과학영재의 비유 만들기 과정에서 나타난 심상적 사고의 특성
    양찬호 대한화학회지 55 (5) : 846 ~ 856 [2011]
  •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강경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1) : 54 ~ 67 [2010]
  •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강석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5) : 996 ~ 1007 [2004]
  • 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중학생들의 천동설에서 지동설로의 개념 변화
    최진희 한국지구과학회지 26 (6) : 489 ~ 500 [2005]
  • 과학동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채동현 초등과학교육 21 (2) : 263 ~ 288 [2002]
  • 과학관의 전시 패널 글에 반영된 과학의 인식론적 측면 탐색
    이선경 한국지구과학회지 32 (1) : 124 ~ 139 [2011]
  •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김소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 : 544 ~ 560 [2003]
  •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곽영순 한국지구과학회지 34 (4) : 368 ~ 377 [2013]
  •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수행과정 및 운영환경 분석: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정현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7) : 1139 ~ 1156 [2012]
  •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
    박은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2) : 249 ~ 260 [2010]
  • 과학 실험을 왜 할까? :초등과학 영재아들이 생각하는 과학 실험의 목적
    정용재 초등과학교육 30 (2) : 189 ~ 203 [2011]
  • 과학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 본 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홍미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5) : 609 ~ 620 [2010]
  • 과제의 특성이 초등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정섭 초등교육연구 19 (1) : 153 ~ 170 [2006]
  • 공룡의 멸종 원인에 대한 고등학생의 생각과 대안적 가설에 대한 반응 유형 분석
    정재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5) : 959 ~ 976 [2004]
  • 고등학생의 생태계에 대한 오개념 유형
    박지영 생물교육 31 (3) : 203 ~ 213 [2003]
  • 고등학생들의 화학반응속도 개념과 화학평형 개념간의 상관관계
    박국태* 대한화학회지 50 (3) : 247 ~ 255 [2006]
  • 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김유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8) : 978 ~ 989 [2009]
  • 고등학생들과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 및 인식
    이진봉 한국지구과학회지 31 (4) : 378 ~ 391 [2010]
  • 고등학교 학생들의 물체 운동에 대한 과학사적 관점 분석
    백성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3) : 317 ~ 329 [2006]
  •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김미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6) : 565 ~ 578 [2008]
  • 「증거 기반 설명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논변 수준과 진화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주혜 생물교육 38 (1) : 168 ~ 183 [2010]
  • ‘탐구공동체’의 과학 교육적 함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를 향해서
    정용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 (3) : 303 ~ 319 [2014]
  • ‘생각하는 과학’활동을 경험한 초등 학생들의 논리 사고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
    양혜영 초등과학교육 32 (4) : 485 ~ 494 [2013]
  • ‘생각하는 과학’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효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3) : 571 ~ 585 [2002]
  • Trend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 An automatic content analysis
    Chang, Y. H.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 (4) : 315 ~ 331 [2010]
  • Trends i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White, 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 (2) : 215 ~ 221 [1997]
  • Toward a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Hashweh, M. Z.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3) : 229 ~ 249 [1986]
  •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이 초등학생의 확률적 사고 신장에 미치는 효과
    신애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7) : 787 ~ 793 [2005]
  • The pupils as scientist?
    Driver, R. Open University Press [1983]
  •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Stepans, J. Lawrence Erlbaum : 89 ~ 115 [1991]
  •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n science
    Han, A. -C.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 (1) : 57 ~ 69 [2000]
  •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Rationales and strategies
    McComas, W. F.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8]
  • The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in science teaching
    Herget, D. E. Science Education and Department of Philosophy, Florida State University [1989]
  • The effects of the teaching method using multimedia programs 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chievement of biology subject
    Lee, M. -H. Biology Education 29 (2) : 99 ~ 105 [2001]
  • The effects of portfolio instruction on the creativ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students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Han, S. -R.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 (3) : 421 ~ 431 [2000]
  • The effects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applied to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Park, J. -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 (3) : 635 ~ 647 [2001]
  • The effects a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the discussion in dcience classes of the decondary school : Focussing on the concepts of force and motion
    Choi, K. -H.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 (4) : 510 ~ 518 [2000]
  • The effect of biology instruction for value inquiry on ambivalence of the attitudes toward bioethics
    Jeong, E, -Y. Biology Education 29 (3) : 203 ~ 212 [2001]
  • The development of and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won, J. -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4 (3) : 251 ~ 264 [1994]
  • The cognitive basis of science
    Nersessian, N. J.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33 ~ 153 [2002]
  • The analytical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period ; 1992 ~ 1996)
    Song, P. 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8 (1) : 19 ~ 28 [1999]
  •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 Teaching scientific inquiry: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Duschl, R. A. Sense Publishers [2008]
  •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Academy Press [2007]
  •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성취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김미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 (1) : 46 ~ 62 [2013]
  •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Lave, J.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 Science... A process approach (SAPA II)
  • STS 자료를 활용한 ARCS 수업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생식과 발생 단원을 중심으로 -
    박하경 생물교육 38 (4) : 570 ~ 582 [2010]
  • Research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2003 to 2007 : A content analysis of publications in selected journals
    Lee, M. -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 (15) : 1999 ~ 2020 [2009]
  • Research and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1998 to 2002: A analysis of publication in selected journals
    Tsai, C.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 (1) : 3 ~ 14 [2005]
  • Research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2008 to 2012 : A systematic content analysis of publications in selected journals
    Lin, T. C.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 (8) : 1346 ~ 1372 [2014]
  •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tudents`conceptions about basic circuits and electric currents
    Kim, J. 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 (2) : 1 ~ 12 [2000]
  • Relationships among students'understanding of genetics topics, meaningful learning orientation, and reasoning ability
    Chung, Y. -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 (2) : 297 ~ 306 [2000]
  •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Find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Chemistry
    류시경 대한화학회지 52 (2) : 179 ~ 185 [2008]
  • Recognition of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South Korea
    Choi, S. [2006]
  • Peirce의 귀추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과학교육적 함의 탐색
    정용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6) : 703 ~ 722 [2006]
  •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Academies Press [2013]
  • More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in science teaching
    Herget, D. E. Science Education and Department of Philosophy, Florida State University [1990]
  • Large-scale exploration ofpupil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uveen Scott Solomon Solomon, J. Science Education 80 (5) : 493 ~ 508 [1996]
  •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육목표 분석 -7학년을 중심으로-
    김상달 한국지구과학회지 26 (7) : 640 ~ 651 [2005]
  • Jigsaw Ⅲ 협동 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성취도와 과학에 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현선 생물교육 33 (4) : 465 ~ 474 [2005]
  •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Fraser, B. Kluwer [2003]
  • History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1 : 211 ~ 234
  •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andersee, J. H.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357 ~ 387 [1994]
  •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Abell, S. K. Lawrence Erlbaum [2007]
  •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Chinn, C. A. Science Education 86 (2) : 175 ~ 218 [2002]
  • Elements of a community of learners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Crawford, B. A. Science Education 83 (6) : 701 ~ 723 [1999]
  • Effects of instruction applicated hypermedia on correcting the elementary students` pre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of nutrition and health subject
    Cho, S. -S. Biology Education 29 (2) : 179 ~ 185 [2001]
  •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degree of ambivalence of the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
    Kim, M, -K. Biology Education 29 (2) : 128 ~ 137 [2001]
  • Conceptual change and science teaching
    Strike, K. L.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 (3) : 231 ~ 240 [1982]
  • Comparison of verbal interaction patterns in small-group discussion by learning strategies
    Kang, 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 (2) : 279 ~ 288 [2001]
  •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inquiry activity content of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presented the units on structure and function of living thing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Go, G. -S. Biology Education 29 (1) : 46 ~ 56 [2001]
  • CAI program development on flowing rivers and how primary students' concepts change through this program
    Chae, D.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9 (1) : 15 ~ 28 [2000]
  • C-Fern을 이용한 유전 실험 수업이 중학생 유전 개념 체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관희 생물교육 38 (1) : 195 ~ 207 [2010]
  • Big idea를 중심으로 한 통합형 과학 교육과정 틀 설계
    방담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 (5) : 1041 ~ 1054 [2013]
  • Assessment in science
    Kempa, 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s
    Anderson. L. W. Allyn and Bacon, Inc [1981]
  •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 science students` thinking Style typ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concepts
    Park, S. -K.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 (2) : 307 ~ 320 [2005]
  • Analysis on the contents about geological domain with regard to the change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Cho, Y. 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 (5) : 546 ~ 567 [2005]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cience education in korea
    Kim, 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5 (2) : 139 ~ 145 [1985]
  •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thinking processes in Galileo`s free fall thought experiment
    Jeong, S. -I.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 (3) : 566 ~ 579 [2001]
  • An exploration of fifth grade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in science and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 to science learning
    Elder, A. D. University of Michigan [1999]
  •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scientific attitudes and inquiry abilities in traditional cultural contexts
    Cho, O. -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 (1) : 174 ~ 184 [2001]
  • An analysis of Multi : Dimension of students`interest in learning physics
    Im, 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 (4) : 491 ~ 504 [2000]
  • ARCS 전략을 적용한 초등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배진호 생물교육 38 (2) : 243 ~ 253 [2010]
  • A twelve-year longitudinal study of science concept learning
    Novak, J. D.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8 (1) : 117 ~ 153 [1991]
  •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Korean Academic societie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Kim, Y. -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7 (2) : 15 ~ 20 [1987]
  • A study of the status and improvements of the National Science Fairs
    Choi, D. -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 (1) : 59 ~ 73 [2001]
  • A pragma-dialectical procedure for a critical discussion
    Van Eemeren, F. H. Argumentation 17 (4) : 365 ~ 386 [2003]
  •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생물영역의 개념도 활용수업 효과-호흡과 배설 단원 중심으로
    김선영 생물교육 30 (4) : 336 ~ 352 [2002]
  •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
    강남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 (1) : 132 ~ 143 [2013]
  • 2009 개정 고등학교 물리 I 교육과정과 평가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의견
    이재봉 새물리 63 (4) : 400 ~ 410 [2013]
  •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심재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1) : 140 ~ 156 [2010]
  • 10학년 과학 탐구 단원의 맥락에서 모델구성과 규칙발견을 통한 명시적 수업이 과학의 본성의 관점에 미치는 효과
    조정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8) : 955 ~ 96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