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예비과학교사의 STEAM 수업 시연에 대한 사례 연구

논문상세정보
'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STEAM 수업 시연에 대한 사례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ck
  • pedagogical design capacity
  • preservice teacher
  • steam
  • 교수 설계 능력
  • 교수학적 내용 지식
  • 예비교사
  • 융합인재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55 4

0.0%

'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STEAM 수업 시연에 대한 사례 연구' 의 참고문헌

  • 코티칭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노태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4) : 655 ~ 670 [2012]
  •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신영준 초등과학교육 30 (4) : 514 ~ 523 [2011]
  • 중등과학 초임교사가 교직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구은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 (2) : 153 ~ 163 [2011]
  •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 분석
    양찬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 (7) : 1312 ~ 1328 [2013]
  •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요구
    임청환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 (1) : 1 ~ 11 [2015]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배진호 초등과학교육 32 (4) : 557 ~ 566 [2013]
  •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이정민 초등과학교육 33 (3) : 588 ~ 596 [2014]
  • 융합 인재 교육(STEAM) 연수를 통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현장적용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이지원 초등과학교육 32 (1) : 47 ~ 59 [2013]
  • 예비교사들을 통해 알아본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효과 및 과제: 학생들의 변하지 않는 신념들
    곽영순 한국지구과학회지 23 (4) : 309 ~ 324 [2002]
  •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과 예술 융합 수업 준비와 시연과정에서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수업 분석과 피드백 -영화와 연극 접목 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손연아 생물교육 40 (4) : 475 ~ 493 [2012]
  • 예비 과학교사가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 과학수업모형과 탐구과정요소 적용을 중심으로 -
    양미선 교원교육 28 (2) : 143 ~ 164 [2012]
  •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박종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2) : 375 ~ 386 [2004]
  •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이영은 교과교육학연구 18 (3) : 513 ~ 540 [2014]
  • The perception on STEAM program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gifted classes in primary schools
    Noh, S. -G. The Journal of Education 34 (3) : 45 ~ 63 [2014]
  •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for STEAM education
    Paik, S. [2012]
  • 박사
  •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Pajares, M. F.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 (3) : 307 ~ 332 [1992]
  • Science curriculum. No. 2011-361
  •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노희진 백성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 (10) : 375 ~ 402 [2014]
  •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수업이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김덕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 (1) : 43 ~ 54 [2014]
  • STEAM 교육의 PCK 유형 탐색을 위한분석틀 개발
    김방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 (2) : 63 ~ 85 [2013]
  •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금영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 (2) : 57 ~ 75 [2012]
  • STEAM education that can be taken in hand (STEAM guidebook)
  •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Kagan, D. M.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 (2) : 129 ~ 169 [1992]
  •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Porter, A. C. Longman [2001]
  •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Charmaz, K. Sage : 509 ~ 535 [2000]
  •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Gess-Newsome, J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9]
  • Evaluating constructivistic learning
    Jonassen, D. H. Educational Technology 31 (9) : 28 ~ 33 [1991]
  •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STEAM education
  • Development direction of science curriculum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IPE model for STEAMbased education
    Lee, J.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5]
  • Curriculum strategy framework: Investigating patterns in teachers' use of a reform-ba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Sherin, M. 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1 (4) : 467 ~ 500 [2009]
  • An analysis of changes on the science teachers' stages of concern on STEM education and STEM-PCK
    Oh, 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