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초등 도덕, 사회, 영어과를 중심으로-

' 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초등 도덕, 사회, 영어과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chievement standards
  • affective domain
  • affective elements
  • cognitive domain
  • curriculum
  • 교육과정
  • 성취기준
  • 인지적 영역
  • 정의적 영역
  • 정의적 요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179 1

0.1%

' 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초등 도덕, 사회, 영어과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 청소년 도덕성 검사도구 연구(2차년도) -표준화 및 유형화를 위한 기초연구-
    이승하 윤리교육연구 31 (31) : 237 ~ 260 [2013]
  • 파닉스 접근법이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과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한우 초등영어교육 13 (1) : 195 ~ 228 [2007]
  • 초등학교 저학년 영역의 정의적 목표 평가문항 개발 연구
    김정환 초등교육연구 14 (2) : 257 ~ 277 [2001]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교실영어 사용이 학습자의 영어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끼치는 영향
    김주경 영어교육연구 23 (2) : 99 ~ 115 [2011]
  • 초등 사회과에서의 가치교육
    정호범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1997]
  • 초등 교과별 정의적 능력 개념 및 구성요소 개발
    김철호 [2013]
  •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국사과 교육과정 기준(1946-1997)
    교육부 선명인쇄주식회사 [2000]
  • 초·중등 도덕과 교육의 목표설정을 위한 도덕 심리학적 기초 연구
    정창우 도덕윤리과교육 18 (18) : 112 ~ 130 [2004]
  • 청소년 도덕적 동기화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병기 윤리교육연구 26 (26) : 63 ~ 94 [2011]
  • 청소년 도덕적 동기화 검사 도구 개정 연구(2차년도)
    전종희 윤리교육연구 29 (29) : 29 ~ 62 [2012]
  • 청소년 도덕 감수성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홍성훈 윤리교육연구 26 (26) : 33 ~ 62 [2011]
  • 창의지성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정의적 능력 평가 예시 자료
  • 제7차 교육과정의 상세화를 통한 사회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 정의적 요소를 강조한 영어습득 방안.
    신규철 현대영어교육 2 : 27 ~ 42 [2001]
  • 정보윤리 감수성 발달 방안 연구
    김항인 도덕윤리과교육 19 (19) : 1 ~ 24 [2004]
  • 인격교육론
    Lickona, T. 백의 [1991]
  • 원어민 영어수업에서 느끼는 학습동기, 불안감, 의사소통 의지와 영어성적과의 관계
    남정미 영어어문교육 17 (2) : 139 ~ 160 [2011]
  •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이 듣기 및 읽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민 교사교육연구 47 (2) : 183 ~ 219 [2008]
  •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16호
  • 영어 협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영항과 효율적인 협동 수업의 방향
    김경미 초등영어교육 11 (2) : 133 ~ 171 [2005]
  •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최근 경향
    김태영 한국문화사 [2013]
  • 영어 연극 수업이 중학교 학습자들의 듣기•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임숙현 현대영어교육 14 (1) : 103 ~ 126 [2013]
  • 영미시 교육과 영미시 활용: 정의적, 인문학적, 영어교육적 관점을 통합한 영미시 교육 방법론
    어도선 영미문학교육 11 (1) : 67 ~ 105 [2007]
  • 언어 불안감, 자각 능력, 의사소통의사 및 동기와 제2언어 의사소통 빈도의 관계: 한국 EFL 상황을 중심으로
    김현진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2 (1) : 161 ~ 184 [2005]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정윤희 교육과학연구 43 (1) : 63 ~ 89 [2012]
  • 소집단 구성 방법이 초등 영어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송영미 초등영어교육 16 (3) : 181 ~ 209 [2010]
  • 사회정서학습의 이론 체계와 도덕교육적 함의
    정창우 도덕윤리과교육 38 (38) : 153 ~ 172 [2013]
  • 사회과교육
    차경수 동문사 [2009]
  • 사회과 평가 영역 설정의 동향과 과제
    박영석 시민교육연구 42 (2) : 61 ~ 82 [2010]
  • 사회과 정의적 영역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길현주 시민교육연구 43 (4) : 1 ~ 23 [2011]
  • 사회과 인성교육 개념 및 요소에 대한 탐색
    은지용 시민교육연구 45 (3) : 143 ~ 174 [2013]
  •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 사회과 교수, 학습법
    정문성 교육과학사 [2008]
  •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효율화 방안 연구
    김은수 도덕윤리과교육 19 (19) : 227 ~ 250 [2004]
  • 도덕적 명상으로서의 경(敬)
    김철호 동양철학연구 81 (81) : 141 ~ 172 [2015]
  •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Kurtines, W. M. 학지사 [2004]
  •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
    Rest, J. R. 학지사 [2008]
  • 도덕교육의 체계적 이해
    고대혁 양서원 [2014]
  •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16호
  • 도덕과 '정의적 영역' 교과목표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태훈 도덕윤리과교육 39 (39) : 131 ~ 150 [2013]
  • 도덕 이야기 만들기 수업방법과 평가방안
    김국현 윤리교육연구 12 (12) : 217 ~ 236 [2007]
  • 도덕 심리학과 도덕교육
    Lapsley, D. K. 인간사랑
  • 교육학 대백과사전
    황정규 하우동설 : 2327 ~ 2338 [1999]
  • 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활용과정모형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이병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 (2) : 107 ~ 126 [2010]
  • 교실에서 학습자 모국어 사용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조윤경 이중언어학 44 (44) : 345 ~ 368 [2010]
  • 공감학 어제와 오늘
    박성희 학지사 [2004]
  • 공감과 그 도덕 교육적 함의에 관한 연구
    이진희 도덕윤리과교육 26 (26) : 77 ~ 100 [2008]
  • 가치․태도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정세구 배영사 [1979]
  • Word Englishes : Approaches, issues and resources
    Kachru, B. B. Language Teaching 25 : 1 ~ 14 [1992]
  •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s
    Krashen, S. D. Longman [1985]
  •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psychomotor domain
    Simpson, E. J. Gryphon House [1966]
  • The Psycholog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Dörnyei, Z. Oxford UP [2009]
  •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 the cognitive domain
    Bloom, B. S. David McKay Co Inc [1956]
  •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2. affective domain
    Krathwohl, D. R. McKay [1964]
  • Possible selves
    Markus, H. R. American Psychologist 41 : 954 ~ 969 [1986]
  • Motivation to Learn and Language Proficiency
    Lukmani, Y. M. Language Teaching 22 : 264 ~ 274 [1972]
  • Motivation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Dörnyei, Z. Language Teaching 31 : 117 ~ 135 [1998]
  • Motivation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as predictors of reported L2 use : The Japanese ESL context
    Hashimoto, Y Second Language Studies 20 (2) : 29 ~ 70 [2002]
  • Motivation : reopening the research agenda
    Crooks, G. Language Learning 41 (4) : 469 ~ 512 [1991]
  • Moral education(a handbook)2
  •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Horwitz, E. K.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0 (2) : 125 ~ 132 [1986]
  • Foreign Language Learning
    Jakobovits, L. A. Newbury House Publishers [1970]
  • Extensive reading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Bamford, J. Cambridge UP [1998]
  • Examination of Horwitz, and Cope's construction of foreign language anxiety: The case of students of Japanese
    Aida, Y.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8 : 155 ~ 168 [1994]
  • Classroom oriented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eebe, L. M. Newbury House Publishers : 39 ~ 66 [1983]
  • Attitudes and motivation in second language learning
    Gardner, R. C. Newbury House Publishers [1972]
  •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Affective Domain
    Tyler, R. W. Measurement in Education 4 : 1 ~ 18 [1973]
  • A multiple-indicator approach to attitude measurement
    Cook, S. W. Psychological Bulletin 62 : 36 ~ 55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