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창작에서 야기된 퇴행의 자기치유적 특성

' 미술창작에서 야기된 퇴행의 자기치유적 특성'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rtworkmakingprocess
  • grounded theory
  • livedexperienceresearch
  • regression
  • self-therapy
  • 근거 이론
  • 미술창작과정
  • 자기 치유
  • 체험 연구
  • 퇴행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17 0

0.0%

' 미술창작에서 야기된 퇴행의 자기치유적 특성' 의 참고문헌

  • 회상중심 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우울 노인을 대상으로
    김현주 대구대학교 [2013]
  •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현민 미술치료연구 19 (5) : 1289 ~ 1312 [2012]
  •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시설 거주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하혜미 미술치료연구 19 (2) : 405 ~ 421 [2012]
  • 현대복식에 나타난 원시주의 양식
    김민자 복식 21 : 193 ~ 205 [1993]
  • 현대미술에 나타난 아동화적 성향과 어린이 이미지에 대한 연구
    심상욱 미술치료연구 9 (3) : 119 ~ 142 [2002]
  • 한국인의 의식 특징과 음주, 흡연 행동
    최은영 청소년상담연구 8 : 59 ~ 78 [2000]
  • 폴 고갱의 ‘원시주의’에 대한 재고
    마순영 현대미술사연구 30 (30) : 101 ~ 125 [2011]
  • 추억 혹은 퇴행심리의 무드셀라 증후군
    소군호 문화와 사역 6 (10) : 65 ~ 68 [2004]
  • 초현실주의의 총체적 원형을 통한미술치료요인 연구
    이선경 한양대학교 [2007]
  • 초현실주의 회화에 나타난 광증의 변용적 수용에 관한 연구
    이은주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31 (31) : 61 ~ 91 [2009]
  • 차이와 반복
    Gilles, D. 민음사 [1968]
  • 집단미술치료 치료적 요인 -집단경험 유형과 만족도 중심으로-
    최선남 상담학연구 11 (1) : 139 ~ 152 [2010]
  • 정신분석사전
    Laplanche, J. 열린 책들 [2005]
  • 자기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종교체험과 퇴행
    황영훈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2 : 180 ~ 198 [2006]
  • 일러스트에 있어서 원시미술의 조형성과 현대 일러스트의 영역확장에 관한 연구
    함부현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연구 1 : 97 ~ 118 [1996]
  • 이중섭 작품에서의 미술심리적 접근
    이은주 미술치료연구 11 (3) : 297 ~ 318 [2004]
  • 융의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미술치료
    Riedel, I. 학지사 [2006]
  • 원형과 무의식
    Jung, C. G. 솔 출판사 [2002]
  • 원시미술을 응용한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김혜경 한국디자인포럼 23 (23) : 291 ~ 300 [2009]
  • 영화 박하사탕에 나타난 극적 구조의 다층성
    정우숙 이화어문논집 18 : 167 ~ 197 [2000]
  • 영원한 젊은이- 남성의 모성 콤플렉스의 치유와 변환
    이상백 용인정신의학보 16 (1) : 49 ~ 69 [2009]
  • 어린이 미술과 원시 미술의 상관관계
    김동영 사범미술교육논집 3 : 11 ~ 26 [1995]
  • 신화의 형성과 해석에 관한 분석심리학적 연구
    이유경 홍익대학교 [2004]
  • 서양미술
    Gombrich, E. H. 도서출판 예경 [2010]
  • 상징과 리비도
    Jung, C. G. 솔 출판사 [2005]
  • 봉인된 시간 - 「박하사탕」, 혹은 더 나은 삶에 관한 에세이
    신철하 인문과학연구 26 (26) : 25 ~ 42 [2010]
  • 미술치료에서의 치료적 관계 유형 소고
    최규진 미술치료연구 20 (5) : 865 ~ 883 [2013]
  • 무의식과 미술
    김인숙 현대사상 11 : 17 ~ 26 [2013]
  • 도정신치료입문
    이동식 한강수 [2008]
  • 대상관계이론의 상담적 적용에 대한 고찰
    김진숙 상담학연구 2 (2) : 327 ~ 344 [2001]
  •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한 상담적 관점에 대한 연구
    추정선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6 : 437 ~ 451 [2004]
  • 내면아이 치료와 주요 인물들과의 관계 재구성 경험의 해석학적 연구: 실존주의적 관점에서의 논의
    오제은 상담학연구 10 (3) : 1305 ~ 1325 [2009]
  • 꿈의 해석
    Freud, S. 홍신문화사 [2006]
  • 기본적 오류
    Balint, M. 하나의학사 [2011]
  • 근거이론
    Corbin, J. 현문사 [2009]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 What freudians can learn form Jung
    John, B. Psychoanalytic Psychology 18 (2) : 213 ~ 242 [2001]
  • Vision from outsider: creating educational programming inspired by exhibitions of outsider art
    Kelly, R. John F. Kennedy University [2005]
  • Therapy and the art
    Koestler, A. Harper & Row Publishers [1977]
  • The role of the realm as organizer of analytic process : Transitional organizing experience
    Joe, C. Psychoanalytic Psychology 26 (1) : 2 ~ 25 [2009]
  • The psycho-analysis of children
    Klein, M. The Free Press [1975]
  • The myth of schizophrenic art
    Mcniff, S. A. Schizophrenia Bulletin 9 : 12 ~ 13 [1974]
  • The concept of psychologycal regression : metaphors, mapping, Queen Square, and Tavistock Square
    Mercer, J.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 (2) : 174 ~ 196 [2011]
  • The art therapy source book
    Malchiodi, C. A. Mcgraw-Hill [2007]
  • Schizoid phenomena, object relation and the self
    Guntrip, H.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69]
  • Rorschach 반응에서의 인지발달 수준의 요인분석
    강봉규 교육심리연구 11 (3) : 1 ~ 14 [1997]
  • Revisiting Ernst Kris's concept of regression in the service of the ego in art
    Knafo, D. Psychoanalytic Psychology 19 (1) : 24 ~ 49 [2002]
  • Regression-reintegration : central psychodynamic principle in riruals of transition
    Dosamantes-Beaudry, I. The Art in Psychotherapy 25 (2) : 79 ~ 84 [1998]
  • Psychoanalytic exploration in art
    Kris, E.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52]
  • Primitivism in 20th century art. William Rubin(Ed), vol(1)
    The Museum of Modern Art Little Brown and Company : 1 ~ 93 [1984]
  • Harry Guntrip의 정신분석경험: 라깡적 이해
    김병준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6 (1) : 7 ~ 37 [2004]
  • Freud and the modern school
    Ernsberger, C. Modern Psychoanalysis 1 : 17 ~ 32 [1976]
  • Creativity and adaptive regression
    Wild, 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 (2) : 161 ~ 169 [1965]
  • Attitudes toward death : a psychological perspective
    Feifel, 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 (3) : 292 ~ 295 [1969]
  • Artistry of the mentally ill
    Prinzhorn, H. Springer-Verlag, Inc. [1972]
  • 20세기 초 현대 미술이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정아 디자인포럼 21 : 197 ~ 211 [2001]
  • 20세기 서구미술에서 ‘원시성’의 문제
    박연실 미학예술학연구 13 : 243 ~ 313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