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주의 작품을 활용한 창의적 사고 지도 방안

손지현 2014년
' 초현실주의 작품을 활용한 창의적 사고 지도 방안'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미술이론, 미학
  • automatism
  • creative thinking
  • qualitativethinking
  • stroytelling
  • surrealism
  • 스토리텔링
  • 자동기술법
  • 질적 사고
  • 창의적 사고
  • 초현실주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64 1

0.0%

' 초현실주의 작품을 활용한 창의적 사고 지도 방안' 의 참고문헌

  • 현대예술표현의 초현실주의 영향에 관한 기초연구
    박재연 조형미술논문집 7 (1) : 11 ~ 28 [2007]
  • 현대미술의 역사
    Arnason, H. H. 인터내셔널아트․디자인 [1991]
  • 토랜스의 창의성과 교육
    Torrance, E. P. 학지사 [2005]
  • 초현실주의적 디자인 트랜드에 관한 연구
    손수영 일러스트레이션학 연구 10 (1) : 151 ~ 168 [2002]
  • 초현실주의의 수사법과 창의성 교육
    조윤경 프랑스학연구 (62) : 269 ~ 298 [2012]
  • 초현실주의 스타일의 광고표현 양식
    안인선 기초조형학연구 3 (2) : 267 ~ 280 [2002]
  • 초현실주의 문학과 초현실주의 미술의 상호작용 -앙드레 브르통의 미술비평을 중심으로-
    정의진 프랑스학연구 (65) : 519 ~ 549 [2013]
  • 초현실주의
    신현숙 동아출판사 [1992]
  • 초현실주의
    Bradley, F. 열화당 [2003]
  • 초등학교에서의 초현실주의 작품 감상과 표현에 관한 연구
    김남수 사향미술교육논총 6 : 169 ~ 194 [1998]
  • 질적 사고와 창의성 : 예술교육을 위한 새로운 개념
    김연희 미학예술학연구 33 : 309 ~ 344 [2011]
  • 정신분석학적 작품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비평 연구
    김영길 미술교육논총 24 (1) : 353 ~ 392 [2010]
  • 예술심리학
    Winner, E. 학지사 [2004]
  • 예술교육론: 미술교과의 재발견
    Eisner, E. 아카데미 프레스 [2006]
  • 애니메이션과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연계된 메타모포시스에 관한 연구
    김재원 한국디자인포럼 (19) : 93 ~ 105 [2008]
  • 시지각과 이미지
    Zakia, R. D. 안그라픽스 [2007]
  •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이모영 미술교육논총 20 (3) : 47 ~ 74 [2006]
  • 스토리텔링과 수업기술
    박인기 사회평론 [2013]
  • 스토리텔링 육하원칙
    조정래 지식의 날개 [2010]
  • 생각의 혁명
    Von Oech, R. 에코리브르 [2002]
  • 생각의 탄생
    Root-Bernstein, M. 에코의 서재 [2007]
  • 상상력을 활용하는 교수법
    Egan, K. 울력 [2008]
  •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연구의 관점과 접근 방안
    손지현 미술교육논총 25 (2) : 1 ~ 30 [2011]
  • 르네 마그리트
    Gablik, S. 시공사 [2000]
  • 다다와 초현실주의
    Gale, M. 한길아트 [2001]
  •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Polkinghorne, D. E 학지사 [2009]
  • 경험으로서의 예술
    Dewey, J. 책세상 [2003]
  • Thinking outside and on the box: Creativity and inquiry in art practice
    Marshall, J. Art Education 63 (3) : 16 ~ 23 [2010]
  •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Sternberg, R. J.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 Teaching children to draw
    Wilson, M. Prentice-Hall [1982]
  • Subjects and themes in children’s unsolicited drawings and gender socialization
    Duncum, P.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 107 ~ 114 [1997]
  • Readings in art education
    Ecker, D. W. Blaidlell Publishing Company : 57 ~ 68 [1966]
  • Readings in art education
    Eisner, E. Blaisdell [1966]
  • Playing, Creativity, Possibility
    Gudd, O. Art Education 63 (2) [2010]
  • Homospatial thinking in creativity
    Rothenberg, 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3 : 17 ~ 26 [1976]
  • Handbook of research and policy in art education.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Kindler, 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283 ~ 252 [2004]
  • Critical thinking and cognitive frameworks in art education
    Sullivan, G. 미술과 교육 6 (1) : 69 ~ 84 [2005]
  • Creativity, divergent and allusive thinking in students and visual artists
    Tucker, P. K. Psychological Medicine 12 : 835 ~ 841 [1982]
  • Creativity in the classroom: Schools of curious delight
    Starko, A. J. Longman Publisher [1995]
  • 20세기의 미술
    Lynton, R. 예경 [2007]
  • 20세기 현대예술이론
    Emirling, J. 미진사 [2013]
  • (어떻게 이해할까?) 초현실주의
    Nagel, J. 미술문화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