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mmoncourse
  • fls
  • free learning semester
  • operating model
  • optionalcourse
  •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공통과정
  • 자유학기제
  • 자율과정
  • 중점운영모형
  • 학교교육과정의재구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68 1

0.0%

'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행복교육
    문용린 리더스북 [2014]
  • 한국의 자유학기제
    이지연 제2회 진로교육 국제포럼 발표자료 : 149 ~ 192 [2013]
  •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보고서
  •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2013.05.28)
    교육부 [2013]
  •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헌법적 쟁점 분석
    손희권 교육법학연구 25 (1) : 151 ~ 180 [2013]
  • 자유학기제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
    황규호 제1차 자유학기제포럼 발표자료 : 1 ~ 28 [2013]
  • 자유학기제란 무엇인가?
    곽병선 제1회 진로교육포럼 발표자료 : 1 ~ 16 [2013]
  • 자유학기제, FREEDOM FOR WHAT?: 교과에서 역량으로, 역량에서 아이덴티티로!
    손민호 제1차 자유학기제 포럼 토론자료 : 105 ~ 114 [2013]
  • 자유학기제 운영 종합 매뉴얼
    교육부 [2013]
  • 자유학기제 실행방안
    최상덕 [2013]
  • 자유학기제 : 주요 쟁점과 이슈
    진미석 제1회 진로교육포럼 발표자료 : 53 ~ 84 [2013]
  • 아일랜드 연계학년제(TY)와 한국 자유학기제 비교
    김진숙 비교교육연구 23 (6) : 163 ~ 183 [2013]
  • 성공적인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진로탐색 중심 접근
    이지연 제1회진로교육포럼 발표자료 : 17 ~ 52 [2013]
  • 꿈과 끼를 키우는 학교교육, 그 가능성과 실천방안 - 교육과정 및 자유학기제를 중심으로
    강현석 교육정책포럼 : 7 ~ 11 [2013]
  • 관련자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
    홍후조 한국교육학연구 19 (2) : 33 ~ 68 [2013]
  • Transition Year
    Jeffers, G. KRIVET, 2nd career education international forum : 1 ~ 42 [2013]
  • The curriculum
    Kelly, A. V. SAGE Publications Inc [2009]
  •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kilbeck, M. SAGE Publications Inc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