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A 2012 PRA와 DRA에 나타난 우리나라 남녀 학생들의 읽기 성차 특성 분석

논문상세정보
' PISA 2012 PRA와 DRA에 나타난 우리나라 남녀 학생들의 읽기 성차 특성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어
  • digitalreadingassessment
  • dra
  • genderdifferencesinreading
  • paper-basedreadingassessment
  • pisa
  • pra
  • reading assessment
  • 디지털읽기평가
  • 인쇄매체읽기평가
  • 읽기에서의성차
  • 읽기평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20 1

0.0%

' PISA 2012 PRA와 DRA에 나타난 우리나라 남녀 학생들의 읽기 성차 특성 분석' 의 참고문헌

  • 읽기 평가틀에 대한 비교 연구
    노명완 교육과정평가연구 9 (1) : 159 ~ 184 [2006]
  • 읽기 성취에 대한 남학생과 여학생 간 성별 차이 분석 및 교육적 방안 탐색 -PISA 2009 읽기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최숙기 교육과정평가연구 15 (1) : 239 ~ 266 [2012]
  •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 (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서혁 국어교육 (123) : 213 ~ 242 [2007]
  • 대단위 국어과 평가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국어 성취 수준에 따른 읽기 성취 특성 분석 ― PISA 09, NAEA 09, 10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최숙기 국어교육 (141) : 231 ~ 267 [2013]
  • 思考力 伸張을 위한 國語科 評價 問項 연구-PISA 읽기 問項 分析을 중심으로-
    최미숙 어문연구(語文硏究) 33 (1) : 417 ~ 444 [2005]
  • The Next Gender Gap: Why are so many boys floundering while so many girls are soaring?
    Connell, D. Instructor : 14 ~ 17 [2004]
  • Task values and ability beliefs as predictors of high school literacy choices : A developmental analysis
    Durik, A. M.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 (2) : 382 ~ 393 [2006]
  •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interest on boys’ and girls’ reading comprehension
    Oakhill, J. V.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8 : 223 ~ 235 [2007]
  • Reading for change: Performance and engagement across countries:results from PISA 2000
    OECD. OECD [2000]
  • PISA 읽기 소양과 21세기 국어 능력
    김남희 국어교육 (138) : 41 ~ 71 [2012]
  •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OECD [2013]
  • PISA 2009 읽기 영역 결과 분석 연구
    옥현진 국어교육 (134) : 385 ~ 409 [2011]
  • PIRLS 2006 International report: IEA’s progress in international reading literacy study in primary schools in 40 countries
    Mullis, I. V. S. Boston College [2003]
  •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결과 보고서
    김경희 [2010]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 PISA 2012 결과 보고서
    송미영 [2013]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 PISA 2012 본검사 시행보고서
    조지민 [2012]
  • Masculine literacy : one size does not fit all
    Katz, H. Reading Manitoba 24 : 4 ~ 8 [2003]
  •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Rychen, D. Hogrefe & Huber Publishers [2003]
  • Independent reading : The relationship of challenge, non-fiction and achievement
    Topping, K. J.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4 : 505 ~ 524 [2008]
  • How do girls compare to boys in reading skills?, PISA 2009 at a Glance
    OECD. OECD Publishing [2011]
  •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2nd Edition)
    Halpern. D. F.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 Gendered readings : Learning from children's reading choices
    Coles, M.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5 (1) : 96 ~ 108 [2002]
  • Gender differences in reading motivation : does sex or gender identity provide a better account?
    McGeown, S.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35 (3) : 328 ~ 336 [2012]
  • Children's attitudes toward reading: A national survey
    McKenna, M. C. Reading Research Quarterly 30 (4) : 934 ~ 956 [1995]
  • 2013 서울특별시 아동청소년 정책지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2013]
  • 2011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PISA/TIMSS): PISA 2009 결과에 기반한 읽기 영역 성취 특성 비교
    조지민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