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논문상세정보
'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rgument
  • research trends
  • science writing
  • 과학글쓰기
  • 국내 연구 동향
  • 논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63 0

0.0%

'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의 참고문헌

  • 학교과학교육에서의 논증활동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효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6) : 666 ~ 679 [2009]
  • 학교 과학교육에서의 과학적 논증활동을 위한 탐구학습 지도방법 탐색
    이효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 (2) : 175 ~ 188 [2012]
  • 탐구적 과학 글쓰기(SWH)가 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논리적사고력,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박시현 생물교육 40 (3) : 367 ~ 383 [2012]
  •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글쓰기에서 나타난 다중 표상에 미치는영향 및 다중 표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남정희 대한화학회지 56 (6) : 759 ~ 767 [2012]
  •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와 읽기틀의 관계에 대한 고찰
    성화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1) : 146 ~ 159 [2012]
  •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석희 초등과학교육 30 (4) : 589 ~ 600 [2011]
  •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이봉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6) : 739 ~ 751 [2010]
  • 초등학생의 과학 글쓰기 수행 안내를 위한 편지글 유형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손진순 초등과학교육 31 (1) : 25 ~ 39 [2012]
  •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논증 과정 평가 및 분석
    임재근 초등과학교육 29 (4) : 441 ~ 450 [2010]
  •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인식 연구
    송윤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 (5) : 788 ~ 800 [2011]
  • 초등학교 2학년 슬기로운 생활에서 창의적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예경 초등과학교육 31 (2) : 208 ~ 215 [2012]
  • 초등 분야 과학논술대회 참가자들의 과학 글쓰기 능력 분석
    박은희 초등과학교육 26 (4) : 385 ~ 394 [2007]
  • 초등 단위 학교 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논증 과정에 대한 탐색
    임현주 초등과학교육 31 (4) : 513 ~ 531 [2012]
  •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형자 과학교육연구지 36 (2) : 198 ~ 215 [2012]
  • 지구과학 MBL 수업의 과학 탐구와 논의적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 연구
    오진아 한국지구과학회지 29 (2) : 189 ~ 203 [2008]
  • 중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른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 수업의 효과
    신소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 (5) : 952 ~ 962 [2013]
  • 중학생의 과학 글쓰기 활동이 과학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희선 생물교육 38 (3) : 407 ~ 422 [2010]
  •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권난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2) : 265 ~ 278 [2012]
  • 우리나라 과학교육 관련학회지에 게재된 피아제, 브루너, 오슈벨 이론의 연구동향 분석
    이선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5) : 447 ~ 455 [2007]
  •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이선경* 대한화학회지 50 (1) : 79 ~ 88 [2006]
  • 소집단 논의활동을 강조한 과학실험수업이 과학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 (1) : 95 ~ 104 [2012]
  •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정 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5) : 1008 ~ 1017 [2004]
  • 발성사고법을 이용한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과정 탐색
    유지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 (5) : 881 ~ 892 [2013]
  • 물질의 입자적 성질에 대한 다중 표상 학습에서 외적 표상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시키는 방안으로서의 그리기와 쓰기
    노태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4) : 533 ~ 540 [2005]
  • 다중 표상 학습에 적용한 그리기와 쓰기에서시각적 정보의 형태에 따른 교수 효과
    강훈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3) : 367 ~ 375 [2006]
  • 박사
  •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남정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8) : 922 ~ 936 [2008]
  • 논의과정을 강조한 교수?학습 전략이 중학생들의 인지발달, 과학개념 이해, 과학관련 태도 및 논의과정에 미치는 영향
    남정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3) : 450 ~ 461 [2006]
  • 논의과정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하룡 초등과학교육 24 (2) : 183 ~ 191 [2005]
  • 논의가 강조된 일반화학실험이 예비교사의 글쓰기 능력 및 화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남정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 (8) : 1077 ~ 1091 [2011]
  • 교실 게시판을 활용한 비동시적 논의에서의 탐구 문제 생성 관련 상호작용 분석
    정주현 초등과학교육 30 (4) : 468 ~ 481 [2011]
  •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논의 과정 요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석희 초등과학교육 26 (1) : 76 ~ 86 [2007]
  •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양일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2) : 203 ~ 220 [2009]
  •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과정 변화 및 논의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곽경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4) : 400 ~ 413 [2009]
  • 과학영재의 논증 활동에서 나타나는 반박 유형 분석
    한혜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 (4) : 717 ~ 728 [2012]
  • 과학신문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글쓰기 맥락 분석
    홍준의 초등과학교육 31 (2) : 146 ~ 153 [2012]
  • 과학 창의적 글쓰기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김윤지 초등과학교육 29 (2) : 144 ~ 154 [2010]
  •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논증 특징
    임혜진 초등과학교육 31 (1) : 13 ~ 24 [2012]
  • 과학 모의 수업에 대한 반성 저널 쓰기와 토론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윤혜경 초등과학교육 32 (2) : 113 ~ 126 [2013]
  • 과학 맥락에서 학생간 논의과정의 발달
    강순민 대한화학회지 48 (1) : 85 ~ 93 [2004]
  • 과학 글쓰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인지적ㆍ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
    문미희 초등과학교육 31 (4) : 413 ~ 423 [2012]
  •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 Rethinking practices
    Prain, V.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 (6) : 609 ~ 626 [1996]
  • Writ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Wallace, C. S. Kluwer Academic Press : 1 ~ 8 [2007]
  •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econdary science
    Keys, C. 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10) : 1065 ~ 1084 [1999]
  • Thinking Science의 모둠별 활동에서 나타나는 한국과 영국 학생들의 논의와 교사들의 도움 특성 비교
    최병순 초등과학교육 25 (4) : 363 ~ 373 [2006]
  • The uses of argument
    Toulmin, 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8]
  • The quality of students’ use of evidence in written scientific explanations
    Sandoval, W. A. Cognition and Instruction 23 (1) : 23 ~ 55 [2005]
  •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s argument
    Kuhn, D. Science Education 94 (5) : 810 ~ 824 [2010]
  •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Lemke, J. Ablex [1990]
  • Science without literacy:Aship without a sail?
    Osborne, J.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2 : 203 ~ 218 [2002]
  •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academic writing
    Cho, H. H. KoyookBook [2004]
  •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Keys, C. W. Science Education 83 (2) : 115 ~ 130 [1999]
  • Research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2003 to 2007 : A content analysis of publications in selected journals
    Lee, 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 (15) : 1999 ~ 2020 [2009]
  • Research and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1998 to 2002: a content analysis of publication in selected journals
    Tsai, C.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 (1) : 3 ~ 14 [2005]
  •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National Academy Press [2013]
  • Inquiry Investigation: A new approach to laboratory reports
    Hand, B. The Science Teacher 66 (4) : 27 ~ 29 [1999]
  • IIM 기반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 탐구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명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 (3) : 267 ~ 277 [2011]
  •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Norris, S. P. Science Education 87 (2) : 224 ~ 240 [2002]
  • Exploring Scientific Argumentation from Teacher-Student Interaction with Epistem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박영신 한국지구과학회지 31 (1) : 106 ~ 117 [2010]
  • Examining the literacy component of science literacy : 25 years of language arts and science research
    Yore, L. 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 (6) : 689 ~ 725 [2003]
  •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Driver, R. Science Education 84 : 287 ~ 312 [2000]
  • Epistemic levels in argument : An analysis of university oceanography students’ use of evidence in writing
    Kelly, G. J. Science Education 86 : 314 ~ 342 [2001]
  •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 in school science
    Osborne,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 (10) : 994 ~ 1020 [2001]
  • Disciplinary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n scientific practice and learning
    Ford, M. Science Education 92 (3) : 404 ~ 423 [2008]
  •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Marshall, C Sage Publications [2010]
  • Conceptual and epistemic aspects of students'scientific explanations
    Sandoval, W. A.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 (1) : 5 ~ 51 [2003]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Corbin, J. Sage Publications [2008]
  • Assessment of the ways students generate arguments in science education: Current perspectiv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directions
    Sampson, V. Science Education 92 : 447 ~ 472 [2008]
  • Assessing dialogic argumentation in online environments to relate structure, grounds and conceptual quality
    Clark, D. B.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 (3) : 293 ~ 321 [2008]
  • Argument-driven inquiry as a way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participate in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craft written arguments : An exploratory study
    Sampson, V. Science Education 95 : 217 ~ 257 [2010]
  • Argument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A review of argument intervention in K-12 science contexts
    Cavagnetto, A. R.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0 (3) : 336 ~ 371 [2010]
  • 2009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9-41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0]
  • 2007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9 of the Ministr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