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학문 목적 학습자 텍스트에 나타난 필자와 독자 간 상호작용 연구 : 논증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riter and Reader Interaction in KAP Learners Text : Focused on Argumentative Text

김도연 2018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도연
    • 형태사항 217 p. :: 26 cm: 삽화 ;
    •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동주,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학위논문사항 영남대학교 대학원 :, 학위논문(박사)-, 2018.2,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과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KDC 050, 6
    • 발행지 경산 :
    • 언어 kor
    • 출판년 2018
    • 발행사항 영남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1,088)
' 학문 목적 학습자 텍스트에 나타난 필자와 독자 간 상호작용 연구 : 논증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riter and Reader Interaction in KAP Learners Text : Focused on Argumentative Tex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반 연속간행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89 0

0.0%

' 학문 목적 학습자 텍스트에 나타난 필자와 독자 간 상호작용 연구 : 논증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riter and Reader Interaction in KAP Learners Text : Focused on Argumentative Text' 의 참고문헌

  • 현대국어 종결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어학연구』10-1
    고영근 서울대학교 어학 연구소, 118-168쪽 [1974]
  • 박사
  • 박사
  • 박사
  • 박사
  •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연구
    이슬비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저자 독자 간 상호작용 연구: 국어국문학 논문을 중심 으로
    최지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박사
    한국어 추측 표현의 교육내용 연구
    유민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국어 쓰기 교육의 원리와 교육 방안 탐색, 『국어교육학연구』30
    김호정 국어교 육학회, 233-260쪽 [2007]
  •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연구의 방향과 과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37
    이미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75-301쪽 [2012]
  •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 및 숙달도별 장르 분포,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이미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55-364쪽 [2011]
  • 박사
  • 한국어 비모어 화자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담화표지의 운율적 특성을 중심으로
    염종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원논문 [2017]
  • 한국어 공손 표현의 교수학습 연구
    정미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한 영 의문문형식의 간접 화행 연구
    이한민 『담화와 인지』17-2, 95-118쪽 [2010]
  • 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외국인 대학원생 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22-1
    김현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47-73쪽 [2011]
  •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재 고찰, 『이중언어 학』42
    이미향 이중언어학회, 135-165쪽 [2010]
  • 학습역량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전공 진입 전 과정을 심으 로-
    박진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학술논문의 텍스트성(textuality) 분석
    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헤지 표현 선정 연구, 『이중언어학』49
    이준호 이중 언어학회, 269-297쪽 [2012]
  • 박사
  • 학술 논문 텍스트의 표지 분석: 국어학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박지순 연세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1-2
    김정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9쪽 [2000]
  • 학문적 글쓰기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 『언어와 문화』5-1
    강현자 한국언어문화교 육학회, 1-22쪽 [2008]
  • 학문목적 한국어교육에서 개조식 문체 쓰기 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어교 육』26(1)
    서희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7-154쪽 [2015]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복합문 구성 방안 연구: 종결표현에 따른 연결표현 의 공기 관계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50
    홍윤기 이중언어학회, 295-327쪽 [2012]
  • 학문목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글쓰기 교육 방안, 『교양교육연구』6-3
    김은정 한국 교양교육학회, 541-568쪽 [2012]
  •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요구 분석 및 교수요목 개발, 『한국어 교육』 14-3
    김인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81-113쪽 [2003]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독자 고려 전략 연구, 『한국언어문화학』13-3
    이인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69-198쪽 [2016]
  • 박사
  • 박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한국어 교육』21-1
    김영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87-123쪽 [2010]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한국어 논증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홍혜준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향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새암 석사학위논문 [2009]
  •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한국어 교육』15-1
    이해영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137-164 [2004]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위논문 쓰기 지도 방안: 장르 중심 접근법을 중심 으로
    한솔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박사
    학문 목적 쓰기를 위한 완화표지 사용 양상 연구
    이지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7]
  • 텍스트 구조 학습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원인-결과, 문제-해 결 및 비교-대조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18-3
    김미경a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7]
  • 초등학생 필자의 독자 인식 양상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 교육』39
    정혜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94-534쪽 [2009]
  • 초등학교 학생들의 예상독자 인식 능력 발달 양상 고찰
    김미경b 서울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전략과 글 수준의 상관 연구, 『국어교육 학연구』38
    서수현 정혜승 국어교육학회, 177-202쪽 [2010]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 작문과 한국어 작문 비교 연구, 『한국 어교육』25-2
    이인혜 전형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5-163쪽 [2014]
  • 장르 중심의 한국어 논설문 쓰기 수업 연구, 『대학작문』14
    구효정 대학작문학회, 77-102쪽 [2015]
  • 장르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의 내용 체계,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7-3
    이미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463-485쪽 [2010]
  • 장르 중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의 실행연구: 대학원 보고서를 중심으 로
    박은선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박사
  • 박사
    장르 중심 교수가 석사학위 논문 서론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전경선 이화여자대 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작문 교육에서 예상독자의 인식과 처리, 『청람어문교육』29
    박영민 청람어문교육 학회, 135-160쪽 [2004]
  • 의미의 구성에 관한 설명 방식, 『先淸語文』22
    박용목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99-219쪽 [1994]
  • 박사
  • 요구분석을 통한 학문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이덕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박사
  • 외국인 유학생의 쓰기 교육을 한 한국어교육학 분야 학위 논문의 장르 비교 분석
    이선영 이화여자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외국인 유학생의 보고서 작문에서의 태도 표현 양상, 『이중언어학』40
    최은지 이 중언어학회, 213-236쪽 [2009]
  •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 분석, 『어문 론집』60
    정다운 중앙어문학회, 389-420쪽 [2014]
  •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튜터링 방안, 『반교어문연구』36
    김남미 반 교어문학회, 131-161쪽 [2014]
  • 외, Argumentative writ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 longitudinal study,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8
    Preiss, D. D. Elsevier Science B.V., pp.204-211 [2013]
  • 박사
  • 옮김, 『화용론 이해(Jef Verschueren, Understanding Pragmatics, 1999』
    김영순 서울: 동인 [2002]
  • 옮김, 『피셔의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An introduction
    최원배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서울: 서광사 [2010]
  • 옮김,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김한란 서울: 한국문화 사 [2010]
  • 옮김, 『말의 미학(Mikhail Bakhtin, Estetika slovesnogo tvorchestva, 1979
    김희숙 박종소 1986)』서울: 도서출판 길 [2006]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연구』74
    윤지원 최정순 어문연구학회, 131-156쪽 [2012]
  • 역, 『글쓰기의 문제해결전략(Linda Flower, Problem-solving strategies for writing, 1993)』
    원진숙 황정현 서울: 동문선 [1998]
  •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언어적 쓰기 지식 활용 양상 연구, 『국어교육 연구』63
    권영선 이미향 국어교육학회, 219-246쪽 [2017]
  • 쓰기 과제의 수사학적 요소 구체화가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전인숙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쓰기 과제의 수사적 요소에 대한 필자의 인식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5
    전인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77-301쪽 [2011]
  • 쓰기 과정에서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연구
    유상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8]
  • 상호 교섭적 논증 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서영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의 독자- “결정”과 “자율” 사이에서 성찰하는 독자, 『독서연구』
    이재기 한국독서학회, 77-109쪽 [2006]
  • 메타담화 표지로서의 양상: 확신을 나타내는 인식 양상어를 중심으로, 『외국 학연구』18
    이남경 외국학연구소, 101-130쪽 [2011]
  • 말뭉치에 나타난 ‘것’ 구문의 유형 및 특성, 『언어과학연구』 45
    강우순 김종복 안지영 언어과학회, 141-163쪽 [2008]
  • 박사
    말뭉치 기반 연구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헤지 연구
    박미형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뒤침, 『옥스퍼드 언어교육 지침서 쓰기(Christopher Tribble, Language Teaching: Writing, 1996)』
    김지홍 서울: 범문사 [2003]
  • 뒤침, 『담화분석방법(Norman Fairclough, Analysing Discourse, 2003)』
    김지홍 서 울: 도서출판 경진 [2012]
  • 대화주의 관점에서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 연구, 『작문연구』31
    장지혜 한국작문학 회, 203-228쪽 [2016]
  • 대화분석론
    박용익 백산서당 [2010]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의도 및 전략과 텍스트적 실현 양상, 『작문 연구』14
    서수현 정혜승 한국작문학회, 269-300쪽 [2012]
  • 박사
    대학 신입생 필자의 리포트 쓰기 수행 연구
    안상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 과 박사학위논문 [2017]
  • 박사
  • 대학 내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개선방안, 『대학작문』4
    김남미 대학작문 학회, 67-91쪽 [2012]
  • 담화표지어 ‘그냥’에 대하여, 『언어학』20
    박혜선 대학언어학회, 211-228쪽 [2012]
  • 담화 화용론
    송경숙 한국문화사 [2003]
  • 단수적 상황의 “우리”, “저희”, “너희”에 대하여, 『민주문화논총』42
    최동주 영남대 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227쪽 [2009]
  • 다차원 분석에 의한 한국어 논문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연구–전공 분야별 비교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22-2
    홍혜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75-405쪽 [2011]
  • 다중적 예상독자의 개념과 작문교육의 방법, 『國語敎育學硏究』20
    박영민 국어교 육학회, 357-382쪽 [2004]
  • 박사
  • 논증 텍스트의 표지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정혜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논증 텍스트 쓰기 교육에서 독자 고려 전략 활용 연구: 반증 구조 및 독자 고려 표지를 중심으로
    여상윤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논증 구조 익히기를 통한 주장하는 글쓰기 지도 연구
    조효정 부산교육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논설문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의 관계 연구
    임진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1]
  • 내용 중심 교육과 장르 중심 교육을 통합한 한국어 쓰기 수 업 구성 방안 연구: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화 학』8(1)
    정다운 국제한국언어문화학 회, 131-158쪽 [2011]
  • 김수영 산문에서 1인칭 대명사와 필자 관련 지칭어의 표현 양상, 『국어문 화』49
    김흥수 국어문학회, 5-37쪽 [2010]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새국어교육』79
    정희모 한국국어교육학회, 393-417쪽 [2008]
  • 글쓰기 과정의 “숨은 독자(Hidden Reader)” -글쓰기 과정에서 독자의 작용에 관한 새로운 이해-, 『國語敎育學硏究』31
    이아라 국어교육학회, 393-435쪽 [2008]
  • 국어 학술텍스트에 드러난 헤지 표현에 대한 연구,
    신명선 『배달말』38, 151-181쪽 [2006]
  • 국어 의문문의 화용론적 특성(2): 유형과 의미, 『어문학』47
    박종갑 한국어문학회, 45-64쪽 [2012]
  • 박사
    국어 담화표지의 기능과 운율
    송인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 문 [2015]
  • 국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8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최은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9-81쪽 [2008]
  •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입학 후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19-3
    박석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9-200쪽 [2008]
  • 구성주의와 작문, 『한국초등국어교육』18
    원진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81-106쪽 [2001]
  • 과제기반형태집중 활동을 통한 담화표지 교육 효과 연구
    정은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화용론의 실제( Doing Pragmatics 2008)
    Peter Grundy 박철우 서울: 커뮤니 케이션스북스 [2016]
  • 『한국어교수법』
    한재영 서울: 태학사 [2007]
  • 『언어 표현 전략』
    나은미 서울: 박이정 [2009]
  • 『생태학적 문식성 평가(Mary Jett-Simpson․Lauren Leslie․ Wisconsin Reading Association, Authentic Literacy Assessment, 1997』
    원진숙 서울: 한 국문화사 [2004]
  • 『대중매체 담화 분석(Norman Fairclough, Media Discourse, 1995)』
    이원표 서 울: 한국문화사 [2004]
  • 『담화 속의 논증(L’argumentation dans le discours, Nathan, 200 0)』
    장인봉 서울: 동문선 [2003]
  • 박사
    「한국어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 연구」
    윤현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완화표현 연구」
    고재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대한 장르 분석 연구」
    채윤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필자의 표현 태도 연구」
    김정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박사
  • 박사
  • 박사
    “한국어 학습자의 독자를 고려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임지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박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이슬 이화여자대학 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박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지식 연구”
    장미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박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요구 분석”
    홍정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박사
  •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민현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39쪽 [2008]
  • 박사
  •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전략”
    서수현 정혜승 『청람어문교육』41, 청람어문교 육학회, 291-312쪽 [2010]
  • 박사
  • “인문학 학술텍스트의 담화 특징”
    신지연 『텍스트언어학』35, 123-144쪽 [2013]
  • 박사
  • “쓰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독자 연구”
    양경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박사
  • 박사
  • ‘-게 되다’의 의미 기능과 한국어 교육, 『Journal of Korean Culture』
    김서형 한국 어문학국제학술포럼, 53-76쪽 [2014]
  • Williams, J.(2005), Teaching writing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classrooms, McGraw-Hill.
  • Verschueren, J. (1999) Understanding Prag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 Thompson, G.(2001), Interaction in academic writing: learning to argue with the readers. Applied Linguistics, 22(1), pp. 58-78.
  • Thompson, G.(1996), Voices in the text: discourse perspectives on language reports, Applied Linguistics 17(4), pp. 501-530.
  • Swales, John M. & Feak, Christine B.(2012), Academic writing for graduate students: essential tasks and skill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Swales, John M. & Feak, Christine B.(2011), Navigating academia : writing supporting genr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Swales, John J.(1990), Genre Analysis: English in Academic and Research Settings, Cambride University Press.
  • Swales, J. M. & Feak, C. B. (2012), Academic Writing for Graduate Students,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Smith, Kevin G. & Woodbridge N. & Pretorius, M.(2008), Academic Writing and Theological Research : a guide for students, South African Theological Seminary Press.
  • Sanderson, T.(2008), Corpus Culture Discourse, Language in Performance 39.
  • Rose, M.(1989), Lives on the boundary: the struggles and achievements of America's underprepared, Free Press.
  • Nelson, N. & Castello, M.(2012), Academic Writing and Authorial Voice, Studies in writing 24,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33-52.
  • Monroe, A. H. & Ehninger, D.(1967), Principles and types of speech, Scott, Foresman.
  • Millan, E.L.(2008), Epistemic and Approximative Meaning Revisited: The Use of Hedges, Boosters and Approximators When Writing Research in Different Disciplines, Linguistic Insights 61, Oxford, pp. 65-82.
  • McQuade, D. & Atwan, R.(1974), Popular writing in America; the interaction of style and aud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 Lucas, Stephen E.(1995), The Art of Public Speaking, McGraw-Hill.
  • Lewin, B. A.(2005), Hedging: an exploratory study of authors and readers identification of `toning down' in scientific texts, Journal of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4(2), Elsevier Science B.V., pp. 163-178.
  • Leech, G. N.(2014), The pragmatics of politeness, Oxford University Press.
  • Lakoff, R.(1973), The logic of politeness: or mining your p’s and q’s. Proceeding of the Ninth Regional Meeting of the Chicago Linguistic Society, 292-305, Chicago University Press.
  • Lakoff, G.(1973). Hedges: A study in meaning criteria and logic of fuzzy concepts. Journal of Philosophical Logic 2 (4), pp. 458-508.
  • Kennedy, M. L. & Smith, H. M.(2001), Reading and writing in the academic community, Prentice Hall.
  • Johnstone, B.(2008), Discourse Analysis, Blackwell Publishing.
  • Hyland, K.(2012), Disciplinary identities : individuality and community in academic discou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yland, K.(2005), Stance and engagement: a model of interaction in academic discourse, Discourse Studies 7(2), pp. 173-192.
  • Hyland, K.(2005), Metadiscourse: Exploring Interaction in Writing, London: Continuum.
  • Hyland, K.(2000), Hedges, Boosters and Lexical Invisibility: Noticing Modifiers in Academic Texts, Language Awareness 9(4), pp. 179-197.
  • Hyland, K.(2000), Disciplinary discourses: social interactions in academic writing, Longman.
  • Hyland, K.(1994), Hedging in Academic Writing and EAP Textbook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13(3), Pergamon Press, pp. 239-256.
  • Hyland, K. Tse, P.(2004), Metadiscourse in Academic Writing: a Reappraisal, Applied Linguistics 25(2), pp. 156-177.
  • Hyland, K. (2009), Academic Discourse: English in a Global Context, London: Continuum.
  • Hyland, K. & Guinda, C. S.(2012), Stance and voice in written academic genres, Palgrave Macmillan.
  • Hunston, S. & Thompson, G.(2000), Evaluation in text : authorial stance and the construction of discourse, Oxford University Press.
  • Holmes, J.(1990), Hedges and Boosters in women’s and men’s speech, Language and Communication 10(1), pp. 185-205.
  • Holmes, J.(1984), Modifying Illocutionary Force, Journal of Pragmatics 8, pp. 345-365.
  • Hirvela, A.(2004), Connecting reading & writing in Second Language Writing Instructio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Henderson, E.(2008), The active reader: strategies for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Oxford University Press.
  • Hays, J. N., et al.(1990), Argumentative writing of students: Adult sociocognitive development, A sense of audience in written communication, pp. 248-266.
  • Haas, C. & Flower, L.(1988), Rhetorical Reading Strategies an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39(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pp. 167-183.
  • Grabe, W. & Kaplan, Robert B.(1996),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an applied linguistic perspective, Longman.
  • Gage, John T.(2006), The shape of reason: argumentative writing in college, Longman.
  • Flower, L.(2008), Community literacy and the rhetoric of public engagemen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Flower, L.(1990), Reading-to-write: exploring a cognitive and social process, Oxford University Press.
  • Flower, L.(2008), Community literacy and the rhetoric of public engagemen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Flower, L.(1996), Negotiating the Meaning of Difference, Written communication 13(1), Sage Publications, pp. 44-92.
  • Flower, L.(1990), Reading-to-write : exploring a cognitive and social process, Oxford University Press.
  • Fetzer, A.(2010), Hedges in Context: Form and Function of Sort of and Kind of, Emerald 9, Studies in Pragmatics, 49-72.
  • Eggins, S.(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ition, London: Continumm.
  • Eemeren, F. H. van & Grootendorst, R.(2004), A systematic theory of argumentation: the pragma-dialectical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udley-Evans, T.(1995), Common-Core and Specific approaches to the teaching of academic writing, Academic writing in a second language: Essay on research and pedagogy, pp. 293-312.
  • Dontcheva-Navratilova, O.(2012),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Construal of Authorial Voice in the Genre of Diploma Theses, Linguistic Insights 160, Bern Switzerland, pp. 301-328.
  • Crompton, P.(1997), Hedging in Academic Writing: Some Theoretical Problem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17(1), Pergamon Press, pp. 271-288.
  • Coffin, C.(2002), The Voices of History: Theorizing the Interpersonal Semantics of Historical Discourses, Text - Interdisciplinary Journal for the Study of Discourse 22(4), pp. 503-528.
  • Charles, M. & Pecorari, D. & Hunston, S.(2009), Academic writing: at the interface of corpus and discourse, London: Continuum.
  • Byrnes, H.(2009), Systemic-Functional Reflections on Instructed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as Meaning-Making: An Introduction, Linguistics and Education 20(1), pp. 1-9.
  • Brown, P. & Levinson, S. C.(1987),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assac, C.(2001), L'interaction communicative, entre intersubjectivite et interagentivite, Langages 144, pp. 39-57.
  • Biber, D.(2006), Stance in Spoken and Written University Registers, Journal of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5(2), pp. 97-116.
  • Berkenkotter, C. & Huckin, T. N.(1995), Genre knowledge in disciplinary communication: cognition/culture/power , Hillsdale, N.J.: L. Erlbaum.
  • Baratta, A. M.(2009), Revealing stance through passive voice, Elsevier Science B.V., Journal of pragmatics 41(7), Amsterdam, pp. 1406-1421.
  • Austin, J. L.(1962),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