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뇌교육에 기반한 부모의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안체윤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뇌교육에 기반한 부모의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뇌교육
  • 부모
  • 자기성찰지능
  • 자기성찰지능 구성요인
  •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10 0

0.0%

' 뇌교육에 기반한 부모의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의 참고문헌

  • 효율적인 학습상담법
    김영진 서울: 양서원 [1999]
  • 현장체험학습에서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유비쿼터스 모형 U-FEL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오필우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07]
  • 현실치료를 활용한 불교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박혜진 경남대학교대학원 [2013]
  • 현대부모교육론
    이영석 서울: 형설출판사 [1999]
  • 학대피해 노인을 위한 뇌교육활용 용서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추정인 국제뇌교욱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 학교 평생교육으로서의 부모교육 사례연구: 초등 학부모 대상 에니어그램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유정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하워드 가드너.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김명희 이경희역 서울: 양서원 [1998]
  •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맞벌이가정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정은영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초등학생의 행복관련변인 탐색 및 행복증진 뇌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성보훈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 초등학생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권오정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초등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태분석. 부산대학교 교육 연구소
    김석우 조영기 교육연구, 12, 61-78 [2002]
  • 초등학교 교사용 교원능력개발평가 지표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윤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청소년의 자기조절 능력 관련 변인연구. 박사학위논문
    윤영신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07]
  • 청소년 뇌교육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뇌파활성도와 정신력 및 자기 조절능력의 변화. 박사학위논문
    고병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 청각장애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 실행연구. 박사 학위논문
    김명섭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유형 및 직업정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병숙 전종남 한국진로교육학회,17(1), 20-38 [2004]
  •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개발과 효과연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박순녀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 지력혁명
    문용린 서울: 비즈니스북스 [2004]
  • 중학생의 자기성찰 태도 향상을 위한 뇌교육 실행연구. 박사학위논문
    원수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5]
  • 중학생용 자기성찰 척도 개발. 석사학위논문
    김흥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정서지능연구의동향과전망
    곽윤정 문용린 이강주 서울대학교교육연구 소모노그래프 [1998]
  • 적극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류현정 영남대학교대학원 [2006]
  • 자아성찰수련 참여자의 경험학습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영정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8]
  •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규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9]
  •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가 쓰기 학습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민성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뇌파분석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은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 자기조절전략 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ADHD)아동의 표현 언어 및 담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노지영 대구대학교대학원 [2005]
  •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황미경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윤인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현아 경인교육대학교대학원 [2011]
  • 자기성찰, 자기효능감, 학업성적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정영혜 단국대학교대학원 [2013]
  • 자기성찰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친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송외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영애 건국대학교대학원 [2000]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품성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최인숙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6]
  • 이미지 존재론을 통해 본 현대영화예술론-들뢰즈의 잠재적인 것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송가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 유치원 부모교육의 실태와 어머니와 교사의 요구분석. 석사학위논문
    박수악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 유치원 부모교육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 석사학위논문
    고미아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김영옥 이은화 서울: 동문사 [1999]
  •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실시현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희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유아 환경론
    유안진 서울: 창지사 [1985]
  • 유아 사회교육
    구광현 서울: 양서원 [2002]
  • 어머니의 자기성찰 수준,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과의 관계-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 비교. 석사학위논문
    손나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 어린이집 부모교육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구미경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1]
  • 아동 부모교육 상담을 위한 부모역할지능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현미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 심상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유영찬 인천교육대학교대학원 [2002]
  •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박사학위논문
    하태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9]
  • 신체활동을 통한 수학교육아동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연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 신체활동 참여가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민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스포츠 활동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설향 체육학회지, 6(2), 17-19 [1997]
  • 수업설계
    변영계 서울: 학지사 [2002]
  • 수식관 명상이 불안, 우울,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강낙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 소매틱 댄스스포츠의 교육적 가능성과 방향
    김은영 한국체육철학회지. 20(3), 239-257 [2012]
  • 성찰지능과 정신병리의 관계: 외상과 악몽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심영숙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도덕심리연구실 다중지능과 진로의식 발달 연구: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김주현 문용린 박은실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도덕심리연구실 [2003]
  • 생명전자와 리더십
    유성모 뇌교육융합학회 학술대회자료집(미출판) [2012]
  • 새터민 대학 입시생과 대학생의 생애사를 통한 대학생활 사전 적응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정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 상호작용성을 활용한 POP 광고의 유형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석사학위논문
    최윤경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04]
  • 상호교류분석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 자아개념 및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경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 사회교육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석사학위논문
    정인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 부모의 역할수행과 유아의 인성발달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강석규 충남대학교 [2004]
  •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과 부모의 자기이해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박사학위논문
    오세덕 전남대학교대학원 [1995]
  • 부모권의척도와 준거변인의 관계분석
    김경희 이재연 아동학회지, 12(2), 130-145 [1991]
  • 부모교육의 목적
    이은화 서울: 교육과학사 [1997]
  • 부모교육론
    이원녕 서울: 교문사 [1985]
  • 부모교육과 가족지원 연구동향
    엄정애 이민정 이연승 유아교육연구, 24(7), 35-54 [2004]
  • 부모교육 방법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미숙 건국대학교대학원 [2013]
  • 부모교육
    김영옥 파워북 [2009]
  • 부모교육
    김연진 유안진 서울: 동문사 [1997]
  • 부모교육
    유효순 정원식 서울: 방송통신대학교 [1993]
  • 부모-자녀와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학업성취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정갑순 인하대학교대학원 [2002]
  • 부모 효율성 훈련이 자녀 지도 방법과 자녀의 안정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권춘기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4]
  • 반성적 사고 중심 교육실습 프로그램 모형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김현정 서울대학교대학원 [2013]
  •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전귀자 건국대학교대학원 [2014]
  • 명상이 중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정화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3]
  • 명상유형에 따른 무용수의 공연불안대처행동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정경희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 명상수련에 따른 뇌지수의 변화가 집중력, 학습태도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정남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 만성병 예방과 치유를 위한 이완과 명상
    안상섭 장현갑 허동규 서울;학지사 [2008]
  • 마음챙김 기반 인터넷 갈망 자기조절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김세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 마음의 틀
    이경희 서울: 문음사 [1993]
  • 동화전달방법 및 내용이 아동의 자기이해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 멀티미디어동화와 구연동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설지은 공주대학교 영상예술대학원 [2009]
  • 동서문화사. 파스칼세계백과사전. 동서문화사
    야후 백과사전 [2009]
  • 동료평가와 자기평가가 고등학생의 영어글쓰기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정은선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분화 및 친절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석사학위논문
    나보영 전북대학교대학원 [2008]
  • 대학생용 자기성장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이혜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이 자기이해증진 발달에 주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주현 서울대학교대학원 [2005]
  • 다중지능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에 관한 단기종단적 내러티브 연구: 영화 프로젝트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배지현 한양대학교대학원 [2009]
  • 다중지능발달척도
    김양분 서울: 교육개발원 [2000]
  • 다중지능 중심 통합적 수업이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최은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 및 효과 분석: 개인적 지능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정태희 한양대학교대학원 [1998]
  • 다중지능 사정(査定)에 대한 고찰
    정종진 초등교육연구논총, 17(1),161-198 [2001]
  • 뇌호흡수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태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5]
  • 뇌호흡 수련자의 지감 활동이 호흡수와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영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5]
  • 뇌호흡 수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준식 국제뇌교육대학원대학교 [2005]
  • 뇌파진동: 원하는 것을 이루는 뇌의 비밀
    이승헌 서울: 한문화 [2008]
  • 뇌체조와 음악줄넘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자기조절 및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순하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3]
  • 뇌안의 위대한 혁명 B.O.S
    이승헌 천안: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출판부 [2007]
  • 뇌교육인성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오흥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7]
  • 뇌교육의 미래와 비전
    이승헌 뇌교육연구, 1(1), 1-12 [2006]
  • 뇌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간친화지능과 자아성찰지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혜성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9]
  •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정서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주남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정숙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9]
  • 뇌교육 원론
    이승헌 천안: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출판부 [2010]
  • 뇌교육 명상수련 경험의 유무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감 비교: 20~30대 미혼 성인을 중심으로. 석사하위논문
    조연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2]
  • 놀이의 의미와 치료 및 성장을 위한 활용
    방은령 한국놀이치료학회지,12(4), 1-17 [2009]
  • 교수 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박성익 서울: 교육과학사 [1997]
  • 과학수업 자기비평 경험에서 초등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 석사학위논문
    김향숙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2]
  • 과정 드라마 프로그램이 초등 학생의 자기성찰지능에 미치는 영향: arts PROPEL 활용을 사례로. 석사학위논문
    한희명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공자의 인격성숙에 관한 고찰-에릭슨의 발달단걔와 긍정 심리학의 시선
    신창호 심경섭 동방학, 17, 137-163 [2009]
  • 고등학생의 자아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변화. 석사학위논문
    장희선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강의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양은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박사학위논문
    조윤숙 영남대학교대학원 [2012]
  • 가드너의 대인관계 지능 및 자기이해 지능을 적용한 세계민요 지도방한: 중학교 2학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손은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중요도-실행도」
    김성섭 이형룡 임재문 분석을 통한 국제회의 평가: ISR2001 국제회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16(2),257-274 [2001]
  • 「명상을 통한 자기 치유」
    장현갑 인문연구, 39(0), 255-283 [2000]
  • Zimmerman, B. J. (1989). Development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Company Educational Psychology, 16, 307-313.
  •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a stru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614-628.
  • Whiteside, M. F., & Becker, B. J. (2000). Parental Factors and Young Child's Postdivorce Adjustment: A Meta-Analysis With Implications for Parenting Arrangement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1), 5-26.
  • Trapnell, P. D., & Campbell, J. D. (1999).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Distinguishing Rumination From Reflection. ournal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289-304.
  • Toffler, Alvin. The third wave. 원장엽(역)(1994), 제3의 물결
    서울: 홍신문화사 [1980]
  • Thompson, S. C. (1985). Finding positive meaning in a stressful event and coping. Basic and Applied Psychology, 6, 279-295.
  • Thomas, R.(1996). Reflective dialogue parent education design: Focus on parent development. Family Relations, 45(2), 189-200.
  • Thomas Hanna. (1987). Somatics: Reawakening the Mind's Control of Movement, Flexibility, and Health. Da Capo Press.
  • Slade, A. (2006). Reflective parenting program. Theory and Development Psychoanalytic Inquiry, 26(4), 640-657.
  • Shin, Seon-hee, Cha, Yun-hee, & Kim, Yeong-hee (2008). The relations among mo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behavior, Young children's playfulnes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 Shin, Hyo-mi, Sihn, mi, & Yoo, Mee-sook (2014).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 reflection, self esteem,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fo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7(4), 439-452.
  • Shearer, C. B. (2002). Using a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to promoteteacher development. ED.
  • Shearer, C. B. (2002). The MIDAS Student High Impact Project(S.H.I.P) : Building Intrapersonal Intelligences, New York: Boston University.
  • Shearer, C. B. (1997). Reliability, validity and utility of a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for career planning, ERIC, ED415476.
  • Shearer, C. B. (1995). The mulitiple inteligences and MIDAS subscales.
  • Seligman, M. E. P. (1990). Why is there so much depression today? In R. E. Ingram (Ed.), Contemporary psychoanalytical approaches to depression (pp.1-9). New York: Plenum.
  • Seels, B., & Richey, R. (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 of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 Sackett, R. S. (1934). The influences of symbolic rehearsal upon the retention of a maze habit.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10, 376-395.
  • STEAM 수업의 현장적용을 위한 교사의 자기반성적 실천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이범석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3]
  • Rogers, C, R(1951). Client-centered Therapy : It`s current practice implication and theory.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 Patterson, G. (1982). Coercive family process. Eugene, OR: Castalia.
  • NLP 코칭기법을 활용한 스마트러닝기반의 자기성찰지능향상 프로 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최정빈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Multiple Intelligences. 유재경, 문용린(역)(2007). 다중 지능
    Gardner, H.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6]
  • Morrison, G. S. (1978). Parent Involvment in the Hone, School and Community. Columbus Ohio: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
  • Moon, Hyuk-jun (2001). A study of parental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practic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205-219.
  • Minuchin, P. (1985). Provocations from the field of family therapy. Child Development, 56. 289-302
  • Miller, S. A.(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 Mee-Gaik, Ng. (1991).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healthy like, healthy unlike, unhealthy like, and unhealthy unlike couples. Texas Woman's University.
  • Mayer, J. D. & P. Salovey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m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 Mantzaris, J. A. (2001). How will adult diploma students' awareness of their won intelligences and thei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informed by MI theory affec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Multiple intelligence in practice: Teacher research reports from the adult multiple intelligences study. ERIC, ED453386.
  • LeDoux, J. (1998). The Emotional Brain: The Mysterious Underpinnings of Emotional Life. New York, N.Y. : Simon & Schuster.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563-575
  • Lang, P. J. (1979). A BIO-informational theory of emotional imagery. Psychology, 16, 495-512.
  • Lang, P. J. (1977). Imagery in theory: An information processing analysis of fear. Behavior Therapy, 8, 862-886.
  • Kusnic, E., & Finlely, M. L.(1993). Studentself-evaluation:an introduction and rationale.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56, 5-14
  •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 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 199-214.
  • Kim, Min-jung, Doh, Hyun-sim, Shin, Na-na, & Choi, Mi-kyung (2013). The effect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2), 101-119.
  • Kernberg, O. F., Diamond, D., Yeomans, F. E., Levy, K. N., & Clarkin, J. F. (2008). Mentalization and attachment in borderline patients in transference focused psychotherapy. New York: Other.
  • Kabat-Zinn, Jon. Full Catastrophe Living. 장현갑,김교헌,장주영(역).(2005).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서울: 학지사
    참조 [1990]
  • Jowdy. D. P. & Harris. D. V. (1990). Muscular responsee during mental imagery as a funtion motor skill leve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2, 191-201.
  • Jonathon, D. B., & Margaret, A. B. (2011). Self-reflection and feelings of self-worth: When rosenberg meets heisenberg.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7(6), 1269-1275.
  •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
  • Intelligence Reframed. 문용린(역)(2001). 다중지능 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Gardner, H. 서울: 김영사 [1999]
  • ICT 활용 자기주도적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공업계 고등학교 멀티미디어 교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은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Hwang, Joo-yeon (2011). The self reflection scale development and a path model of selfreflection to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atholic University.
  • Holden, G. W., & Ritchie, K. L. (1988). Child Rearing and the Dialectics of Parental Intelligence. In J. Valsiner (Ed.), Parental Cognition and Adult-Child Interaction. 30-59. New Jersey: Ablex.
  • Harman, D., & Brim, O. G. (1980). Learning to be parents. CA: Sage Publications.
  • Hamner, T. J., & Turner, P. H. (1985).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Graver, A. (2000). Marking connections: K-8 worksite learning activity packet. ERIC ED444015.
  • Germain, C. B. (1987). Human Development in contemporary environments. Social Service Review, 565-580.
  • Gardner, H.(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 Basic Books.
  • Frames of mind. 이경희(역)(1995). 마음의 틀
    Gardner, H. 서울: 문음사 [1993]
  • Fonagy, P., Steele, M., Steele, H., Leigh, T., Kennedy, R., Mattoon, G., & Target, M., (1995). Attachment, the reflective self, and borderline states: the predictive specificity of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and pathological emotional development. Hillsdale, NJ,US: Analytic Press.
  • Fonagy, P., Steele, M., & Steele, H. (1991). Maternal representations of attachment during pregnancy predict the organization of infant-mother attachment at one year. Child Development, 63, 880-893.
  • Fonagy, P., Steele, H., Steele, M., Higgitt, A., and Target, M. (1994). Theory and practice of resili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Osychiatry, 35 ; 231-257.
  • Fonagy, P., Steele, H., Morgan, G., Steele, M., and Higgitt, A., (1991). The capacity for understanding mental states ; the reflective self in parent and child and its significance for security for attachment.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3, 200-217.
  • Fonagy, P., Gergely, G., Jurist, E., & Target, M. (2002).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New York: Other Press.
  • Fonagy, P., (2010). ATTACHMENT THEORY AND PSYCHOANALYSIS. Other Press, LLC.
  • Fogel, A., Melson, G.F., & Mistry, J.(1986). Conceptualizing the determinants of nurturance: A reassessment of sex differences. In A. Forgel & G. G. Melson (Eds.), Origins of Nurturance, 53-67. Hillsdale, NJ: Erlbaum.
  • Fine, M. J. (1988). The second bandbook on parent educ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 Erikson. E. H. (1972). Play and actuality. In M.Piers (Ed.), Play and development. New York: W. W. Norton.
  • Erikson, E. H. (1968). Identity and Crisis. London: Faber & Faber.
  • Elliott, I. & Coker, S. (2008). Independentself-construal, self-reflection, and self-rumination: A path model for predicting happines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0(3), 127-134.
  • Dix, T. H., & Branca, S. H. (2003). Parenting as a goal-regulation process. In. L. Kuczynski(Ed.), Handbook of dynamics in parent-child relations: Parenting as a goal-regulation process. Thousnad Oaks, CA: Sage Publications.
  • Diane Brain-based strategies to reach every learner. 정종진, 임청환, 성용구(역)(2008). 뇌기반 교수-학습전략
    Connell, J. 서울: 학지사 [2005]
  • Dewey, J. (1993). How we think :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Boston: D.C. Heath and company.
  • Davis, M., Eshelman, E. R., and Mckay, M. (1988). The Relaxation and Stress Reduction Workbook(3rd.). Oakland, CA : New Harbinger Publications. 27-36.
  • Daniel, S., & Anthony, M. G. (2014). Disentangling the relationships among self-reflection, insigh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ole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core self-evaluations. The Journal of Psychology, 148(5), 505-522.
  • Cowan, P. A., Powell, D., & Cowan, C. P. (1998). Parenting interventions: A family systemss perspective. In I. E., Siegel & A. Renninger(Ed.), Hand book of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 Covey, S. R. (2002). Celebrations: Quilts for cherished family moments. New York.: Plenum.
  • Changing Minds. 이현우(역)(2005). 체인징 마인드
    Gardner, H. 서울:도서출판 재인 [2004]
  • Carver, C. S., & Scheier, M. F. (1998). On the self-regulation of behavior. New York: Cambridge Press.
  • Carpenter. W. B. (1894). Principles of mental physiology. NY: Applet on.
  • Campbell, B., & Dickinson, D. (1999). Teaching &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 Burger, E. H. (2003). Parents an partners in education: Families & Schools working together(6th ed.).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 Hall.
  • Brim, O. G. (1959). Education for child rearing. New York: Russell Sage.
  • Bowen, G. L. (1982). Social network and the maternal role satisfaction of formerly married mothers. Journal of Divorce, 5, 77-85.
  • Becker, W. C.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 l. W. Hohh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1, 169–208. NY: Russell Sage Foundation.
  •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Armstrong, T. (1994). Multiple intelligence in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re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 <꿈>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자기성찰지능 함양. 석사학위논문
    이지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역), 스트레스와 긴장 다스리기
  • '바른 생활태도 습관화'를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중학생들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강명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