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조직건강 요인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elements of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that influences on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문종수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조직건강 요인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elements of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that influences on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학교적응
  • 학교조직건강
  • 학교폭력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55 0

0.0%

'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조직건강 요인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elements of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that influences on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의 참고문헌

  •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안혜진 서울교육대학교 [2010]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학교주변 폭력의 실태와 대책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7]
  • 학습우수아와 학습부진아의 학급풍토 지각과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노정미 동아대학교 [1999]
  • 학생의 왕따(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박경숙 손희권 송혜정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8]
  • 학생들이 지각한 학급 풍토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석사 학위논문
    임미화 연세대학교 [1991]
  • 학급환경, 학업성취,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임경혁 숙명여자대학교 [1994]
  • 학급내 부정적 행동과 응집력과의 관계:왕따, 학내폭력, 수업저해행동을 중심으로
    곽금주 권준모 이혜주 이훈구 전우영 조성호 2000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0]
  •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학생폭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명희 명지대학교 [2002]
  •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책
    김준호 치안정책연구, 4. 18-37 [1996]
  • 학교폭력의 실태와 그 예방
    이시형 대한의사협회지, 40(10). 1268-1273 [1997]
  •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주은희 중부대학교 [2002]
  •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북지역 중 고등학교 여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미영 고려대학교 [2013]
  •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다애 한림대학교 [2001]
  •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류세홍 한국교원대학교 [1999]
  •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수연 동국대학교 [2007]
  • 학교폭력과 상담
    차명호 한국인간발달학회지, 11(1). 29-38 [2014]
  • 학교폭력경험 및 주변경험이 또래관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경희 숙명여자대학교 [2014]
  •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학교폭력태도, 공격성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이창숙 경상대학교 [2012]
  •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심리적 환경지각. 석사학위논문
    김혜진 전남대학교 [2002]
  • 학교폭력 가해자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폭력가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화숙 경성대학교 [2008]
  •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상담 및 심리치료 프로그램과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석사학위논문
    박상근 동국대학교 [2013]
  • 학교폭력 가해, 피해, 가피해 유형과 정서 행동문제 및 사회능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김주희 숙명여자대학교 [2005]
  • 학교체계요인이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은정 연세대학교 [2003]
  •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 활동참여행동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문병훈 우석대학교 [2016]
  • 학교조직에서의 도덕적 지도성과 조직건강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경옥 한서대학교 [2001]
  • 학교조직건강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강현수 경북대학교 [2014]
  • 학교조직건강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박인학 한양대학교 [1988]
  •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효신 인천대학교 [2012]
  • 학교조직건강 진단검사 제작연구
    윤종건 교육행정학연구, 22(2), 469-483 [2004]
  • 학교조직건강 이론의 개관
    박인학 광주보건대학 논문, 27(1). 17-39 [2002]
  • 학교조직 건강진단을 위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왕기항 중앙대 학교 [1983]
  • 학교장의 의사소통 유형과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최경민 국민대학교 [2005]
  •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간의 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박용진 인하대학교 [2009]
  • 학교와 지역사회
    김종서 서울: 교육과학사 [1980]
  •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사학위 논문
    이상균 서울대학교 [1998]
  •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학교폭력과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은영 서울여자대학교 [2008]
  • 학교 상담과 생활지도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박금녀 한국교원대학교 [2012]
  •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송은영 진주교육대학교 [2001]
  •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 및 학급건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홍주리 단국대학교 [2011]
  •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학교 요인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진유정 고려대학교 [2014]
  •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담임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학급 조직 건강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정영숙 인천교육대학교 [2003]
  •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보리 경성대학교 [2013]
  •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및 학교적응. 석사학위논문
    송영경 충북대학교 [2006]
  • 초등학생의 가정폭력 노출과 학교적응의 관계: 외적 내적 발달 자산의 중다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박주희 전남대학교 [2012]
  • 초등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관련 요인연구. 박사학위논문
    신윤희 대구대학교 [2008]
  • 초등학생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장지영 경상대학교 [2003]
  • 초등학교에서 학급응집성과 학교 폭력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김하영 연세대학교 [2013]
  • 초등학교 체육수업 내 게임활동이 학교 폭력 성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승기 한국교원대학교 [2014]
  • 초등학교 집단따돌림 가해실태와 관련 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석진 경기대학교 [1999]
  • 초등학교 조직내 의사소통이 학교조직 건강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북부지역(파주, 동두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애란 수원대학교 [2004]
  •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교실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정서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권금진 한국교원대학교 [2009]
  •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차유미 계명대학교 [2009]
  • 청소년폭력예방재단 학교폭력실태조사
    서울:청소년폭력예방 재단 [2002]
  •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장연정 서울여자대학교 [2002]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적 양육과 청소년의 공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최나래 이화여자대학교 [2014]
  •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준우 경북대학교 [2010]
  •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곽수란 교육사회학연구, 16(1). 1-26 [2006]
  •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성선진 충북대학교 [2010]
  •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 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문은식 충남대학교 [2001]
  • 청소년의 폭력행동과 연관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이호분 연세대학교 [1998]
  •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송연수 이화여자대학교 [2009]
  • 청소년비행의 이해
    노성호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 청소년기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박찬경 광운대학교 [2014]
  • 청소년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학교적응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정순복 동신대학교 [2014]
  • 청소년 유해환경 변화와 청소년 보호 전략: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상혁 연세대학교 [2005]
  • 청소년 비행의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 경 숭실대학교 [2005]
  • 청소년 가족구조 및 부모-자녀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밀착-분리된 관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방 실 성균관대학교 [2010]
  • 차생활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 능력 및 학교폭력 행동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영미 중앙대학교 [2013]
  • 집단따돌림과 학급응집성,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 및 불안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창희 연세대학교 [2000]
  • 지각된 학급풍토와 학교생활 적응, 학업 성취 학급 폭력, 출석률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상순 고려대학교 [1997]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하현주 경성대학교 [2007]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류황택 공주대학교 [2010]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은혜 충북대학교 [2013]
  • 중학생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명자 정신간호학회지. 10(2), 241-253 [2001]
  • 중학생의 체육 계발활동 참여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진우 단국대학교 [2008]
  •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선일 강원대학교 [2006]
  • 중학생의 가정환경과 학교폭력간의 관련성연구. 석사학위논문
    심재홍 인제대학교 [2007]
  • 중학교 조직건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준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8]
  • 중 고등학생을 위한 학교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김정남 경성대학교 [2007]
  • 조직건강 측정도구의 구성타당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정은 한양대학교 [2012]
  • 조손가족 특성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석사학위논문
    정 솔 성균관대학교 [2008]
  • 자기표현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방혜영 진주교육대학교 [2007]
  • 인터넷 게임중독과 학교폭력인식, 사회심리적 학교환경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오덕영 대진대학교 [2009]
  • 유해매체노출의 결정요인과 학교폭력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윤대근 연세대학교 [2005]
  • 아동의 또래괴롭힘, 사회적 유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강수령 동아대학교 [2001]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Ⅱ: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혜인 모상현 이선영 최인재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2(R15) [2012]
  •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차유림 연세대학교 [2000]
  •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박사학위논문
    박현선 서울대학교 [1998]
  • 비행청소년의 비행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재비행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양종국 건국대학교 [2002]
  • 비행청소년의 가정ㆍ학교ㆍ사회환경ㆍ개인심리적 변인과 재비행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김성곤 건국대학교 [2004]
  •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신덕 서울대학교 [1997]
  •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박현숙 대진대학교 [2011]
  • 부모-자녀간 커뮤니케이션이 청소년 자아 존중감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보준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 민속놀이를 활용한 초등학생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장금순 숙명여자대학교 [2005]
  •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과 학교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최영식 전북대학교 [2010]
  • 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학교적응. 석사학위논문
    문교민 한양대학교 [1994]
  • 또래상담 운영이 또래상담자의 자기평가와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채연희 영남대학교 [2003]
  • 따돌림 가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석사학위 논문
    아영아 신라대학교 [2005]
  • 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2015. 12. 1.)
    교육부 보도자료 [2015]
  • 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조직건강, 교사의 교수효과성, 학습효과 간의 구조 관계. 박사학위논문
    김정아 인천대학교 [2014]
  • 교사효능감과 초등학생의 학급풍토 지각 및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신승희 경인교육대학교 [2006]
  •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최정희 이화여자대학교 [2004]
  • 교사 리더십에 따른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천석우 건양대학교 [2009]
  • 괴롭힘 경험을 가진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이재신 이종연 교육연구농촌, 4(1). 47-75 [2001]
  • 공역 긍정적 행동지원: 행동지원을 위한 최신 이론과 실제
    김미선 김은경 김진호 박지원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 공립학교에서의 조직건강과 상사-부하 교환관계에서의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비교분석. 박사학위논문
    우수경 동양대학교 [2012]
  • 고등학생의 부모 교사 또래 애착과 학교 적응 간의 관계: 기숙사 생활 여부를 조절변인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인주 고려대학교 [2013]
  • 고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학교적응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백희숙 아주대학교 [2012]
  • 가족의 구조적 형태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최창진 연세대학교 [2003]
  •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신옥 이화여자대학교 [2002]
  • 『아동 청소년복지론』
    표갑수 서울: 나남출판사 [2001]
  • Wentzel, K. R. (2003). School Adjustment. In W. M. Reynolds, G. E. Miller, & I. B. Weiner (EDS.), Handbook of Psychology: Educational Psychology (vol.7. 235-258). NJ: John Wiley & Sons.
  • Simon-Morton, B. G., & Crump, A. D.(2003). Association of parental involvement and social competence with school adjustment and engagement among sixth graders. journal of School Health, 73(3), 121-126.
  • Sergiovanni. T. J. (1992). Moral Leadership :Getting to the Heart of School Improvement, San Francisco Jossy-Bass Publishers. pp. 275-391.
  • Scott, R., & Scott, W. A. (1998). Adjustment of adolescents: Cross-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NY: Routedge.
  • Rutter, M. (1985). Family and school influences: Meaning mechanism and implications. Nichol(Ed). Longitudinal studies in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New York: Wiley.
  • Rosenberg, M. (1978). Self-esteem and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7(3), 272-294.
  • Roeser, R. W., & Eccles, J. S.(1998). Adolescent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Relation to longitudinal change in academic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8(1), 123-158.
  • Ramdas, M., & Lewis, T. (2012). Towards a model for research on the effects of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factors on primary school performance in Trinidad & Tobago.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32(3), 482-492.
  • Ramblodt, C. (1998). Making violence unacceptable. Educational Leadership, 56(1), 32-38.
  • Owens, R. C.(1970). Organizational Behavior in School,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INC
  •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xford: Blackwell(2012).
  • Moss, R. H. (1979). Educational Environment, San Francisco & Washington ; Jossey-Bass Pub.
  • Miles, M. B.(1965). Planned change and organizational health: Figure and ground.In V. J. Baldridge & T. E. Deal (eds.), Managing change in educational organizations: Sociological perspectives, strategies and case studies. Berkerly, California: McCuthan Publishing Corporation.
  • Miles, M. B. (1969). Planned change and organizational health. In F. D. Carver & T. J. Sergiovanni (eds.), Organizations and human behavior: Focus on schools. New York: McGraw-Hill.
  • Lazarus, R. S. (1976). patterns of adjustment (3rd ed.), New York: McGraw-Hill.
  • Kurdek, L., Fine, M., & Sinclair, R. (1995). School adjustment in Sixth Graders: Parenting transitions, family climate and peer norm effects. Child Development,66(2), 430-445.
  • Korkmaz, M.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health and robust school visio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Educational Planning and Administration, 18 (4), 473-488.
  • Ketterlinus, R. D., & M. E.(1994).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ssues and Reseaarch.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 Kelly, D. H. and Bakh.,R. W. (1971). Social origins and school failure: A reexamination of Cohen's theory or working classes delinquency. Pacific Sociological Review 14: 413-430.
  • Hoy, W. K., & Tarter, C. J.(1997).The road to open and healthy schools: A handbook for chang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ition. Thous and Oaks, CA: Corwin Press.
  • Hoy, W. K., & Feldman, J.(1987). Organizational health: The concept and its measure.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20, 30-38.
  • Hirschi, T.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Hawker, D. S., & Boulton, M. J. (2000). Twenty years research on peer victimization and psychosocial maladjustment: a meta analytic review of cross sectional studi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57 Psychiatry, 41(4), 441-455.
  • Gottfredson, G. D., Gottfredson. D. C., Payne, A. A. and Gottfredson. N. C.( 2005). "School climate Predictors of School disorder : Results from national study of delinquency prevention in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42(4): 412-444.
  • Furlong, M. & Morrison, G. (2000). The school in school violence: Definitions and fact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8(2): 71-81.
  • Forehand, G. and Glimer, B. (1964). Environmental variation in the studies of organizational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62: 361-382.
  • Dwyer, K. P. Osher, D. and Hoffman, C. C. 2000. Creating responsive school: Contextualizing early warning, timely response. Exceptional Children 66: 347-365.
  • Dubois, D. L. Eitel, S. K., & Felner, R. D. (1994).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 405-414.
  • Cornillot, P.(1993). Health, Higher Education and Community: Towards a Regional Health University, Report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at OECD, Univ. of Paris Ⅲ.
  • Coopersmith, S. (1981).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 W. H. Freeman.
  • Conway, J. A. (1980). Conflict and Change Strategies: The Agency of Choice, in M. M. Milstein(ed), Schools, Conflict and Change, N. Y. : Teachers College Press.
  • Cicchelli, J. J.(1975). Assessing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 Systems, ERIC, EA007499.
  • Cameron, K. S. (1978). Measur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Institutions of Educ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3(4).
  • Birch, S. H., and Ladd, G. W.(1996).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 The role of teachers and peers. 199-225. in Social Motivation Understand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dited by Juvonen, J., and Wentzel, K. 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irch, S, H. & Ladd, G, W.(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 Bennis, W. G.(1966).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health, changing organization. New York: McGraw-Hill Book Co.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3). Violence and Youth : Psychology's Response. Washington, DC: The Author.
  • Allport, G. W.(1961),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N.Y. : Holt, Rinehart & Win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