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우울한 50대 전업주부의 영화치료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ance of the Cinema Therapy for the Depressed Fifties Housewives

김정화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우울한 50대 전업주부의 영화치료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ance of the Cinema Therapy for the Depressed Fifties Housewiv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50대 전업주부
  • 영화치료
  • 우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24 0

0.0%

' 우울한 50대 전업주부의 영화치료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ance of the Cinema Therapy for the Depressed Fifties Housewives' 의 참고문헌

  •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이해
    고문희 대한질적연구간호학회 세미나자료 [2008]
  • 현상학적 연구방법
    김미영 한국실존통합심리치료연구 상담학 질적 연구세미나 자료 [2009]
  • 현대 이상심리학 입문
    박창호 서울: 정민사 [1998]
  •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설기문 학생연구, 18, 45 -63 [1990]
  • 한국적다문화상담
    한재희 서울: 학지사 [2011]
  • 한국영상응용연구소 영화를 활용한 심리치료 워크숍 1.2단계, 워크숍 3.4단계, 워크숍 5단계
    서울: 심영섭 아트테라피센터 [2012]
  • 한국사회 중년기 전업주부의 삶의 재평가. 서울: 한국심리학회
    전경숙 정태연 한국심리학회지, 19(1), 19-44 [2013]
  • 한국도시 부부의 건강한 결혼 관련 변인연구
    송정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68-78 [1995]
  • 한국노동연구원 ILO 기본협약집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1993]
  • 한국 여성의 우울증 증상 실태조사 연구
    신경림 대한간호학회지,31(3), 391-400 [2001]
  • 한국 수도권 중년여성들의 성격적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신희천 윤성민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24(1), 27-49 [2012]
  • 한국 브리테니커 브리테니커 백과사전
    서울: 한국 브리테니커 [2007]
  • 포스터 발표: Internet Gam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Utilizing Motivational Interviewing in Korea
    김정화 Japanese Association of Behavior Therapy 20, 31 [2010]
  • 통합 관리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동서간호학연구
    정덕은 동서간호학연구지, 17(1), 40-47 [2011]
  • 칼 융과 중년의 자기실현. 백석기독학회
    김병오 백석저널 3, 189-207 [2003]
  • 초기고령, 중기고령 및 초고령 한국노인들에 있어서 자살성 사고, 자존감, 가족 생활만족도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용진 보건사회연구, 33(4), 185-217 [2013]
  •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이형득 서울: 형설출판사 [1995]
  • 집단상담의 실제
    강진령 서울: 학지사 [2011]
  • 집단상담의 놀이와 프로그램
    우영숙 전국재 서울: 시그마프러스 [2013]
  • 집단발달 및 이론별 촉진요인으로 구분한 집단상담 활동
    권경인 서울:교육과학사 [2001]
  • 중앙일보 오피니언. 시론33
    우종민 2014년 9월 25일 [2014]
  • 중독을 치유하는 영성
    김병오 서울: 이레서원 [2003]
  • 중년의 사회학
    정성호 서울: 살림 [2006]
  • 중년여성의 폐경단계, 심리 및 건강행동 요인과 우울증 간의 관계. 한국 보건 사회학회
    고승덕 권은주 김혜경 조숙행 조한익 보건과 사회과학, 35, 25-54 [2014]
  •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가정관리학회
    서병숙 장하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263-276 [1992]
  • 중년여성의 우울증구조모형
    박금자 이경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1),69-84 [2002]
  • 중년여성의 우울증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김춘경 변외진 대한가정학회지, 44(7), 125-139 [2006]
  • 중년여성의 우울증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유광자 대한건강학회지,9(2), 34-44 [2012]
  • 중년여성의 우울증, 건강증진행위, 자아 존중감, 낙관성 에 관한 연구
    박현숙 정신간호학회지, 11(3), 252-362 [2002]
  • 중년여성의 분노, 지각된 스트레스 정신건강상태와의 관계
    이평숙 대한 간호학회지, 33(6), 856-864 [2003]
  •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우울증과 갱년기 증상의 관계
    김세영 김수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76-187 [2013]
  •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갱년기 증상, 우울증과의 관계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김명희 김태광 유은광 대한간호학회지, 29(2), 225- 227 [1999]
  •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증에 관한 연구
  •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 자아개념 및 우울증간의 관계
    성미혜 성인간호학회지, 14(1), 102-110 [2002]
  •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 호소와 우울증의 관계
    성미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5(2), 215-227 [2000]
  • 중년여성 우울증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박사학위논문
    안순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 중년기 우울증 여성의 우울증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김춘경 상담학연구, 11(4), 1783-1806 [2010]
  • 중년기 우울증 여성의 심리적 경험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춘경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3), 25-51 [2011]
  • 중년기 연구
    김명자 서울: 교문사 [1994]
  • 중년기 부부의 분노표현과 해소방법. 한국 복음주의실천신학회
    전요섭 홍근미 복음주의 실천 신학, 19, 93-121 [2009]
  • 중년기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의 대처방식과 위기감
    김명자 대한가정학회지, 29(1), 203-216 [1991]
  • 중년 전업주부의 사회적 관계와 행복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은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 중년 우울증 여성들의 생애경험에 대한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중년 여성의 극복력, 희망, 부부친밀감 및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본진 정신간호학회지, 17(4), 421-430 [2008]
  •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송지은 한경혜 가족과 문화, 13(1), 51-73 [2001]
  • 중년 기혼여성의 자원봉사활동과 가족 내 역할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성대학 사회과학연구소
    김승희 최희경 사회과학연구, 28(3),269-295 [2012]
  • 중 고령 전업주부와 취업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 연구
    김여진 홍환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93-118 [2007]
  • 정신질환 조기 개입 정책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립서울병원 정신보건교육 연구센터
    김진학 송진희 홍현숙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연구보고서, 2006(12), 1-137 [2006]
  • 정신질환 낙인 피하려 만든 'Z코드' 유명무실, 조선닷컴. 서울:조선일보
    나혜란 사회면 [2014]
  • 전업주부는 어떻게 정체성을 유지하는가
    김선미 한국생활과학학회,13(5), 723-739 [2004]
  • 자존감 읽기
    김병오 서울: 학지사 [2013]
  • 자원봉사활동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정도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조예경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 자원봉사실무론
    김한구 서울: 백산 [2000]
  • 자아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전병제 연세총론, 11(1), 107-130 [1974]
  • 자살생각과 관련된 인지적 요인
    채규만 최윤진 인지행동치료, 12(3),315-329 [2012]
  • 자기조력적 영화치료와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비교
    김수지 한국 영화학회지, 55, 88-126 [2013]
  • 일반심포지엄: 범불안장애 진단 및 치료의 최신 지견; 범불안장애의 치료.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조선미 2008(단일호), 524-525 [2008]
  • 인생의 봄과 가을 : 중년의 심리이해와 분석
    임경수 서울: 학지사 [2005]
  • 인간관계의 심리학
    권석만 서울: 학지사 [2006]
  •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이경순 서울: 현문사 [2012]
  • 의과대학 정신과학 교육에서 영화의 활용
    유희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2003]
  • 위대한 가족영화100
    김용언 여성신문사 [2011]
  • 우울증에 대한 정신의학적 이해. 서울: 한국상담 선교 연구원
    권영재 상담과 선교, 7(3), 6-29 [1999]
  • 우울증과 자살에 빠진 대한민국
    전준희 월간 복지동향, 188, 21-25 [2014]
  • 우울증. 대한전기학회
    권명진 김기찬 전기의 세계, 63(5), 43-50 [2014]
  • 우울증, 기쁨으로 바꾸기
    문종원 서울: 바오로 딸 [2008]
  • 우울증 환자의 역기능적 대인관계 특성
    권정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 595-607 [2002]
  • 우울증 치료
    김예식 서울: 장로교 출판사 [1999]
  • 우울증 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능동적,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박송이 채규만 인지행동치료, 12(3), 349 -368 [2012]
  • 우울증 중년여성을 위한 REBT기반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신경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 우울증 바로 알고 제대로 대처하기
    최영민 제3회 성민상담 세미나자료 [2011]
  • 우울증 및 불안장애환자의 정서조절방법
    신아영 채정호 인지행동치료,11(1), 41-52 [2011]
  • 우울증
    권석만 서울: 학지사 [2000]
  • 영화치료의 정신분석적 요소. 한국 라깡과 현대 정신분석학회
    백상빈 라깡과 현대 정신분석, 7(2), 113-137 [2005]
  • 영화치료를 적용한 가족 복귀프로그램 사례연구
    김정석 대한아동복지학회지, 3(2), 93-123 [2005]
  • 영화치료를 위한 영화수첩 50선
    심영섭 서울: 한국 영상응용연구소 [2011]
  • 영화치료가 정신분열증 환자의 불안감소와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배진아 유인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8), 103-110 [2008]
  • 영화집단 프로그램이 자아실현과 영성에 미치는 효과.한국 상담학회
    김명권 김준형 상담학 연구, 7(1), 183-200 [2006]
  • 영화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의 주부 우울감에 대한 효과 연구.석사학위논문
    이정희 계명대학교 [2009]
  • 영화를 활용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소영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 영화를 통한 기독교 중년여성의 일치성 경험. 박사학위 논문
    설면희 백석기독전문대학원 [2011]
  •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김준기 서울: 시그마북스 [2011]
  • 영화(영상)의 사적 초기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김수용 청주대학교 논문집, 16(2), 251-264 [1983]
  • 영화 속의 인생과 윤리
    김영일 서울: 대한기독서회 [2004]
  • 영혼과 우울증
    김병오 서울: 대서 [2008]
  • 영상정신치료. 한국 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백상빈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133-151 [2003]
  • 연극, 영화로 떠나는 가족치료
    이선형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 여성정책과 여성발전 현황 내부자료
    서울시 서울: 서울시 [2004]
  • 여성정신건강과 여성주의 치료의 방향
    박경 한국여성학, 19(3), 215 [2003]
  • 여성의 우울증 양상과 관리방향
    김남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 여성의 우울증
    조현 서울: 계축문화사 [2009]
  • 여성을 위한 모임 『제 3의 성: 중년 여성 바로보기』
    서울: 현암사 [1999]
  • 여성 한부모의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강경란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 심포지엄: 한국 중년여성의 삶과 행복: 한국중년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삶의 행복.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논문집
    김기범 전경숙 차영란 2006(단일호), 206-207 [2006]
  • 심포지엄: 한국 중년여성의 삶과 행복: 중년 여성의 우울증과 부부치료.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논문집
    조현주 2006(단일호), 210-211 [2006]
  • 신 중년층 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연령에 따른 추구의복 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최정원 숙명여자 대학교 [2011]
  • 시네마 톡
    김영진 서울: 한겨레 출판 [2012]
  • 성인여성의 수면장애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
    김정선 성인간호학회지,15(2), 296-304 [2003]
  • 성인발달의 이해
    정옥분 서울: 학지사 [2000]
  •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김애순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 성인 여성의 비만, 자존감과 우울증상과의 관계
    김기연 손연정 대한비만학회, 21(2), 89-98 [2012]
  • 상처와 슬픔의 치유
    김병오 서울: 대서 [2010]
  • 상담학 연구방법론
    박성희 서울: 학지사 [2004]
  • 상담패러다임의 이론과 실제(수정판)
    한재희 서울: 교육아카데미 [2008]
  • 사이코드라마의 치료적 측면. 한국 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김수동 이우경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109-132 [2003]
  • 빈곤층 여성 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박사학위 논문
    김유심 연세대학교 [2007]
  • 빈 둥지 증후군
    윤가현 가정과 건강, 2, 22-23 [2003]
  • 부적응 도식, 스트레스, 자동적 사고와 편집성향 및 우울증 증상과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이영호 한일지 인지행동치료학회, 10(1), 57-74 [2010]
  •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 상담학회
    박남숙 상담학연구, 3(2), 337-364 [2002]
  • 미국정신분석학회 정신분석용어사전. 이재훈 역
    한국 심리치료연구소 [2002]
  • 미국 정신의학회 DSM-5 권준수, 김재진, 남궁기 공역 (201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서울: 학지사 [2014]
  • 모레노 사회원자 투사법 검사(MSAPT)의 한국판 표준화 및 임상적 유용성
    박희석 소시오드라마학회지, 4(1), 47-63 [2001]
  • 동기면담의 실제
    신수경 조성희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김수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 내일을 향해서 본 모성의 미래문제.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 리더십
    윤혜린 서울: 이화여대 출판부 [2005]
  • 김수용 영화 강좌 (영상론)
    김수용 청주: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과 [1999]
  •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김미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61 -777 [2007]
  • 기혼여성 우울증 환자의 부부문제에 대한 인지-대인 관계 치료의 효과
    장문선 한국심리학회지, 6(3), 1011-1024 [2005]
  • 긍정과 부정의 경계에서 만나는 감정, 희망.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최해연 인간연구, 27, 7-35 [2014]
  • 그 영화 같이 볼래요?
    김영진 서울: 한겨레 출판(주) [2013]
  • 국립정신병원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용역보고서
    서울:중앙문화사 [2012]
  • 국내집단상담의 연구동향과 과제 및 전망
    김창대 한국집단상담학회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1-17 [2002]
  • 교육대학원생의 자존감에 대한 연구. 용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김정화 학생생활연구, 20, 120-139 [2013]
  • 경험연구: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대인관계 향상 효과 연구-일반상담집단과의 비교
    권기준 김수지 이흥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2),547-567 [2008]
  • 결혼과 가족
    옥선화 서울: 신정 [2002]
  • 갱년기 증상과 고통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주 충남대 간호학술지,11(1), 63-81 [2008]
  • 갱년기 여성의 발달현상에 대한 태도와 폐경증상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김순안 한국노년학회지, 32(2), 631-647 [2012]
  • 감정의 문제에 대한 여성주의 철학 상담의 가능성 한국여성철학
    김선희 19, 5-33 [2013]
  • 가출 청소년의 우울증과 자살행동
    한상철 경산대학교 논문집, 17(1), 35-61 [1999]
  •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송정아 최규련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02]
  • 가족치료 이론
    김용태 서울: 학지사 [2001]
  •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의 실제』
  • Worell, J. (Ed.). (2001). Encyc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 society on gender (Vol. 1). Burlington: Academic Press.
  • Van Praag, H. M., de Kloet, E. R., & van Os, J. (2004). Stress, the brain and depress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herapeutic Consultations in Child Psychiatry. In therapeutic consultations in child psychiatry (1-398). London: The Hogarth Press and the Institute of Psycho-Analysis. 그림놀이를 통한 어린이 심리치료. 이재훈 역 (1998)
    Winnicott, D. W. 서울: 한국 심리치료연구소 [1971]
  •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elmont, CA: Brooks/Cole Thompson. 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제. 조현춘, 조현재, 문지혜, 이근배, 홍영근 공역 (2013)
    Corey, G. 서울: 박영사 [1996]
  •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Leszcz, M. Yalom, I. D. New York: Basic Books.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최해림, 장성숙 역 (2008). 서울: 하나의학사 [2005]
  • The dance of anger: a woman's guide to changing the patters of intimate relationship. NewYork:. Harper & Row. 무엇이 여성을 분노하게 하는가. 김태련, 이명선 공역 (2007)
    Lerner, H.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6]
  • The analysis of the self: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of narcisstic personality disorders
    Kohut, H.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자기의 분석. 이재훈 역 (2002). 서울: 한국 심리치료연구소 [1971]
  • The Wisdom of menopause
    Northup, C. NY: Bantam Books. 폐경기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이상춘 역 (2005). 서울: 한문화멀티미디어 [2001]
  • The Seasons of a Man's Life. London: Random House LLC.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김애순 역 (1996)
    Levinson, D. J. 서울: 이화여자대학 출판부 [1978]
  • The Schopenhauer Cure: a novel. New York: Harper/Perennial. 쇼펜하우어의 집단심리치료. 이혜성, 최윤미 공역 (2008)
    Yalom, I. D.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 The Restoration of the self
    Kohut, H. Press, U.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자기의 회복. 이재훈 역 (2006). 서울: 한국 심리치료연구소 [1977]
  • The Noonday Demon: An atlas of depression. New York: Scribner. 한낮의 우울증. 민승남 역 (2014)
    Solomon, A. 서울: 민음사 [2001]
  • Sygdommen til d den (Vol. 95). Copenhagen: Gyldendal. 죽음에 이르는 병. 임규정 역 (2012)
    Kierkegaard, S. 서울: 한길사 [1964]
  • Solomon, G. (1995). The motion picture prescription: Watch this movie and call me in the morning. Fairfield: Aslan Publishing.
  • Sheehy, G. (2006). Passages: Predictable crises of adult life. London: Random House LLC.
  • Sharp, C., Smith, J. V., & Cole, A. (2002). Cinematherapy: Metaphorically promoting therapeutic change. 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15(3), 269-276.
  • Rubin, R. J. (1978). Using bibliotherapy, Phoenix: Oryx Press.
  • Rubin, M., & Hewstone, M. (1998). Social Identity Theory's Self-esteem Hypothesis: A review and some suggestions for clarific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1), 40-62.
  • Rodney, J., Prior, N., Cooper, B., Theodoros, M., Browning, J., Steinberg, B., & Evans, L. (1997). The Comorbidity of Anxiety and Depression. Australasian Psychiatry, 31(5), 700-703.
  •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s: A historical and conceptual perspective.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s, 1
    David, D. Ellis, A. Lynn, S. J.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USA. 마음을 변화시키는 긍정의 심리학. 이은희 역 (2008). 서울: 황금비늘 [2009]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조홍,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2010)
    Creswell, J. W. 서울: 학지사 [2012]
  • Powers, D. V., Thompson, L. W., & Gallagher-Thompson, D. (2008). The Benefits of Using Psychotherapy Skills Following Treatment for Depression: An examination of “afterwork” and a test of the skills hypothesis in older adults.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5(2), 194-202.
  • Powell, M. L., Newgent, R. A., & Lee, S. M. (2006). Group Cinematherapy: Using metaphor to enhance adolescent self-esteem. The arts in psychotherapy, 33(3), 247-253.
  • Positive Psychology at the Movies: Using films to build virtues and character strengths. Cambridge: Hogrefe Publishing. 영화 속의 긍정심리. 백승화, 최혜지, 한영옥, 조동원 공역 (2011)
    Niemiec, R. M. Wedding, D. 서울: 학지사 [2013]
  • Playing and reality
    Winnicott, D. W. New York: Psychology Press. 놀이와 현실. 이재훈 역 (1997). 서울: 한국 심리치료연구소 [1971]
  • Peske, N. K., & West, B. (1999). Cinematherapy: The girl's guide to movies for every mood. Cayon: Delta.
  • P lsson, S., Larsson, L., Tengelin, E., Waern, M., Samuelsson, S., H llstr m, T., & Skoog, I. (2002). Depression from Middle Age to Old Age. A 32-year follow-up of women. European Psychiatry, 17, 35-36.
  • Overcoming depression
    Hauck, P. A.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우울증 스스로 극복하기. 박경애, 김희수 공역 (2005). 서울: 사람과 사람 [1973]
  • OECD, O. (2004). Employment outlook 2004.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 Movies and mental illness: Using films to understand psychopathology. Toronto: Hogrefe Publishing. 영화와 심리학. 곽호환, 장문선, 구본훈, 배대석 박종옥, 최소영, 우상우, 김소연, 최혜정, 이상일, 곽세열 공역 (2012)
    Niemiec, R. M. Wedding, D. 서울: 학지사 [2009]
  • Moore, C. (1998). The Use of Visible Metaphor in Logotherapy. In international forum for logotherapy(21) 85-90. VIKTOR FRAN KL INSTITUTE OF LOGOTHERAPY.
  • Man and his symbols. (Vol. 5183). Bradbury, Ray: Bt Bound.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이부영 역 (2000)
    Jung, C. G. 서울: 집문당 [1968]
  • Malignant Sadness: The Anatomy of Depression. Nature, 398(6730), 775-776. 우울증에 대한 희망보고서. 이원경 역 (2001)
    Nemeroff, C. B. Wolpert, L. 서울: 청어람 [1999]
  • M nsterberg, H., & Griffith, R. (2004). The Film: A psychological study. London: Routledge.
  • Levy, S. (2005). Empty nest syndrome. OnEarth Magazine 27(2). 26-31.
  • Levinson, D. J. (1998).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New York:
  • Le seminaire de Jacques Lacan, Livre Ⅺ: Les quatre concepts fondamentaux de la psychanalyse. Paris: Seuil. 라깡의 무의식과 언어.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Lacan, J. 김승철 역 (2007). 9(1), 287-312 [1973]
  • Le Signifiant Imaginaire. Communications, 23(1), 3-55. 상상적 기표. 이수진 역 (2009)
    Metz, C. 서울: 문학과 지성 [1975]
  • Lazarus, R. S. (2000). Toward Better Research on Stress and Cop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565-673. 54
  • Laurent Brulin, M. (2012). Cin math rapie et Acoolo-D pendance. Alcoologie et Addictologie, 34(2), 143-146.
  • LI, Y., HU, C., & TAO, X. (2006). Analysis on Depression Symptom of Elderly and Middle-aged People and its Relationship to Some Relevant Factors. Chi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4, 008.
  • Kuh, D., Richards, M., Hardy, R., Butterworth, S., & Wadsworth, M. E. (2004). Childhood Cognitive Ability and Deaths up until Middle Age: a post-war birth cohor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3(2), 408-413.
  • Kramer, E., & Wilson, L. (1979). Childhood and art therapy: Notes on theory and application. New York: Schocken Books
  • Koropeckyj-Cox, T. (1998).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Middle and Old Age: Are the childless more vulnerable?. The J 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3(6), 303-312.
  • Koch, G., & Dollarhide, C. T. (2000). Using a Popular Film in Counselor Education: Good Will Hunting as a teaching tool.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39(3), 203-210.
  • Knowles, D., & Obolensky, D. (1968). The Middle ages (2). London:Darton, Longman and Todd.
  • Klorer, P. G. (2001). Childhood and Art Therapy. American Journal of Art Therapy, 39(3), 100.
  • Kivlighan Jr, D. M., Multon, K. D., & Brossart, D. F. (1996). Helpful Impacts in Group Counseling: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rating syste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3), 347.
  • Kim, J., & Kim, J. H. (2014). A Facilitator of Leisure Activities for Stress-Related Growth Experience Among Middle-aged Korean Women with Depression.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 35(11-12), 1245-1266.
  • Kenny, D. T., & Cooper, C. L. (2003). Introduction: Occupational stress and its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0(4), 275.
  • KIFA영화목록 힐링시네마 & 비전시네마
    심영섭 서울: 한국 영상 응용연구소 [2011]
  • In a different voice
    Gilligan, C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 허란주 역 (1994).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82]
  • I Had a Black Dog: his name was depression. Pan Australia. 굿바이 블랙 독
    Johnstone, M. 표진인 역 (2007) 서울: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5]
  • Hopcke, R. (1992). A guided tour of the collected works of CG Jung. Boston: Shambhala Publications.
  • Homecoming: reclaiming and healing your inner child. NY: Bantam.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오제은 역 (2006)
    Bradshaw, J. 서울:학지사 [2013]
  • Holm, K. (2012). Introduction to the Reviews of Movies Nominated for Best Picture in 2011. J ournal of Feminist Family Therapy, 24(2), 153-153.
  • Higashi, T. (2006). Psychotherapy for a Middle-aged Man with Sick Leaves due to Depression. J apanese Journal of Counselling Science, 39(4), 317.
  • Heston, M. L., & Kottman, T. (1997). Movies as Metaphors: A counseling intervention. The J ournal of Humanistic Education and Development, 36(2), 92-99.
  • Hart, O., & Moore, J. (1997). Default and renegotiation: A dynamic model of debt (No. w5907).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 Haran, B. (2011). Machine, Montage, and Myth: Experimental Cinema and Politics of American Modernism during the Great Depression. Textual Practice, 25(3), 563-584.
  • Hammen, C. (2003). Interpers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Wome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4(1), 49-57.
  • Guba, E., & Lincoln, Y.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Beverly Hills. CA: Sage.
  • Groups: Process and practice. Cengage Learning. Belmont, CA: Brooks/Cole Thompson. 집단상담의 과정과 실제. 김명권, 김창대, 박애선, 전종국, 천성문 공역 (2000)
    Corey, C. Corey, G. Corey, M.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3]
  • Groups in Action: Evolution and Challenges. Cengage Learning. Belmont, CA: Brooks/Cole Thompson. 집단상담의 실제: 진행과 도전. 이은경, 이지연 공역 (2014)
    Corey, G. Corey, M. Haynes, R. 서울: 센게이지러닝 [2013]
  • Gr n, A. Wege durch die depression: spirituelle Impulse. Freiburg: Verlag Herder GmbH. 우울증 벗어나기. 이민수 역 (2011)
    서울: 분도 출판사 [2013]
  • Gallo, J. J., Royall, D. R., & Anthony, J. C. (1993). Risk Factors for the Onset of Depression in Middle Age and Later Life.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8(3), 101-108.
  • Fuhriman, A., & Burlingame, G. M. (1990). Consistency of Matter a Compa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and Group Process Variabl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8(1), 6-63.
  • Forney, D. S., & Cawthon, T. W. (2004). Using entertainment media in student affairs teaching and practice (No. 108). Jossey-Bass Inc Pub.
  • Fischoff, S., Dimopoulos, A., Nguyen, F., & Gordon, R. (2003). Favorite Movie Monsters and Their Psychological Appeal.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22(4), 401-426.
  • EĞECĠ, Ġ. S. (2010). Utilizing Cinematherapy to Improve Relationship Satisfaction: A Qualitative Study. (Doctoral dissertation,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 Existential psychotherapy
    Yalom, I. D. New York: Basic Books. 실존주의 심리치료. 임경수 역 (2011). 서울: 학지사 [1980]
  • Ellis, A. (1995). Changing Rational-Emotive Therapy (RET) to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J 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13(2), 85-89.
  • Elliott, R., & James, E. (1989). Varieties of Client Experience in Psycho therapy: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9(4), 443-467.
  • E-Motion picture magic : a movie lover's guide to healing and transformation. Glenbridge: Centennial, Co. Pub. 시네마테라피. 심영섭, 김준형, 김은하 공역 (2006)
    Wolz, B. 서울: 을유문화사 [2004]
  • Die Wege der Symptombildung. Vorlesungen zur Einf hrung in die Psychoanalyse.(Gesammelte Werke, Bd 11, S 372-391, Fischer, Frankfurt/M.) . 정신분석 입문. 최석진 역 (2009)
    Freud, S. 서울: 돋을새김 [1917]
  •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Vol. 32)
    Beck, A. 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1967]
  • Culbertson, F. M. (1997). Depression and Gender: an international review. American Psychologist, 52(1), 25.
  • Counseling the depressed (Vol. 5). New York: W Publishing Group. 우울증 상담. 심상권 역 (2006)
    Hart, A. D. 서울: 두란노출판사 [1987]
  • Conjectures of a guilty bystander . NY: Bantom. 토머스머튼의 단상: 통회하는 한 방관자의 생각. 김해경 역 (2013)
    Merton, T. 서울: 바오로의 딸 [2009]
  • Communicating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Action for change.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액션 메쏘드. 김세준 , 황혜리 , 배다현 공역 (2012)
    Bannister, A. Huntington, A. 서울:시그마프레스 [2002]
  • Cognitive therapy.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인지치료. 최영희, 이정흠 공역 (1997)
    Beck, J. S. 서울: 하나의학사 [1979]
  • Christie, M., & McGrath, M. (1987). Taking Up the Challenge of Grief: Film as therapeutic metaphor and action ritu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J ournal of Family Therapy, 8(4), 193-199.
  • Childhood and Society (rev. ed.). New York: Norton. 유년기와 사회. 송제훈 역 (2014)
    Erikson, E. H. 서울: 연암서가 [1963]
  • Chernomas, W. M. (1997). Experiencing Depression: women's perspectives in recovery. J 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4(6), 393-400.
  • Buck, S. J. (2011). Movie Therapy for Law Students (and Their Instructors). Canadian Association of Law Library. 36(2), 64-70.
  • Bloch, S., & Crouch, E. (1985). Therapeutic Factors in Group Psycho therap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Bilder . Stockholm: Norstedt. 잉그마르 베르이만의 창작노트. 오세필: 강정애 공역 (1998)
    Bergman, I. 서울: 시공사 [1990]
  • Berg-Cross, L., Jennings, P., & Baruch, R. (1990). Cinematherapy: Theory and Application. Psychotherapy in Private Practice, 8(1), 135-156.
  • Ballantine Books.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김애순 역 서울:세종연구원 [2004]
  •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성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송종용 이영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1991]
  • Attention and performance limitations. Cambridge
    Eysenck, M. W. Keane, M. T. MA: The MIT Press. 간단명료한 심리학. 이영애, 이나경 공역 (2008).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2]
  • Arieti, S. (1978). Severe and mild depression: The psychotherapeutic approach. New York: Basic Books.
  • Abramson, L. Y., Metalsky, G. I., & Alloy, L. B. (1989). Hopelessness Depression: A theory-based subtype of depression. Psychological review, 96(2), 358.
  • Abrams, M., & Ellis, A. (1994). Rational Emotive Behaviour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tres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22(1), 39-50.
  • Abnormal Psychology, with Cases. NY: Wiley. 이상심리학. 이봉건 역 (2002)
    Davison, G. C. Kring, A. Neale, J. M.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0]
  • Aaron Beck. London: Sage. 인지치료의 창시자 아론벡. 권석만 역 (2010)
    Weishaar, M. E. 서울: 학지사 [1999]
  • A Secret Sadness: The hidden relationship patterns that make women depressed. Oakland: New Harbinger Publications. 여자를 우울하게 하는 것들. 유숙렬 역 (2009)
    Whiffen, V. E. 서울: 레드 박스 [2007]
  • 50대 여성 취업률, 30대 앞질렀다. 연합기독뉴스. 기획특집.고려대학교 (2009). 한국어대사전
    경가람 서울: 고려대학교 [2013]
  • (L')oeil et L'esprit. 눈과 마음. 김정아 역 (2008)
    Merlo-Ponty, M. 서울: 마음산책 [1987]
  • (Eds.). Passionate views: Film, cognition, and emotion
    Plantinga, C. R. Smith, G. M.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열정의 시선. 남완석, 심영섭 공역 (2014). 서울: 학지사 [1999]
  • (Ed.).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Beck, A. T. NY: Guilford Press. 우울증 인지치료. 원호택 역 (1996). 서울: 학지사 [1979]
  • '만사가 귀찮고 울적…' 과 우울증
    황세희 중앙일보 기사.2005.3.8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