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TPACK 기반의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설계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Model of Learning-Instructional Material Design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PACK

이인태 2015년
논문상세정보
' TPACK 기반의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설계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Model of Learning-Instructional Material Design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PACK'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4구성요소 모형
  • assure 모형
  • tpack
  •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 미시적 교수설계
  •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7 0

0.0%

' TPACK 기반의 도덕과 교수학습 자료 설계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Model of Learning-Instructional Material Design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PACK' 의 참고문헌

  •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6』, pp.43-60 [2014]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표준화 연구』Ⅱ, p.38 [2012]
  • 한국인의 도덕성 발달 진단: 한국판 도덕판단력 검사의 개정 및 재표준화
    문용린 경기: 집문당, pp.28-29 [2011]
  • 초등교사의 도덕과교육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수내용지식(PCK) 탐색 실행 연구
    신현우 『초등도덕교육』제34집,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p.109-113, pp.119-120 [2010]
  • 초등 도덕과 수업모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승희 『초등도덕교육』제44집,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391 [2014]
  • 청소년 봉사학습의 문제점과 도덕교육적 활용방안
    정창우 『도덕윤리과교육』제27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p.92 [2008]
  • 집단지성의 유형에 따른 참여자 특성분석: 위키백과와 지식iN에 대한 한미 비교연구
    황주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제27권 4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p.262 [2010]
  • 웹기반 학습환경설계를 위한 ‘학습자주도설계(Learner Initiated Design)’에 대한 이론적 탐색
    임완철 『교육공학연구』제26권제2호, 한국교육공학회, pp.134-139 [2010]
  • 웹 기반 수업 개발을 위한 인쇄물 기반의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임철일 『교육공학연구』제21권 제1호,한국교육공학회, pp.23-24 [2005]
  • 우리들의 응용 윤리학
    박찬구 서울: 울력, pp.25-28 [2012]
  •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 인디스쿨 사례연구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제28권 제1호, pp.153-154 [2011]
  •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변화에 관한 연구: 테크놀로지 활용 교과목을 중심으로
    신원석 『정보교육학회 논문지』제16권 제1호, 한국정보교육학회, p.78 [2012]
  • 서양윤리학의 관점에서 도덕과 교과 지식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종합 토론
    노영란 『한국윤리교육학회?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학술대회 학술발표자료』, p.135. [2010]
  • 사회정서학습의 이론 체계와 도덕교육적 함의
    정창우 『도덕윤리과교육』제38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pp.160-161 [2013]
  • 반두라의 자기조절의 도덕교육
    송석재 경기: 한국학술정보,pp.218-238 [2006]
  • 멀티미디어 기반 수업개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전략들의 가능성과 한계
    이 준 『교육공학연구』제17권 제3호, 한국교육공학회, p197, p.209, p.211. [2001]
  • 디지털교과서 개발전략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송윤희(Yun-Hee Song) 정의석(EuiSuk Jeong) 채정병(Jung- Byung Chae)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제35권 제1호, 한국정보과학회,p.233 [2008]
  • 도덕판단력 측정도구 MJT의 특징과 활용법, 『도덕윤리과교육』제23호
    박균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p.130 [2006]
  • 도덕적 삶과 도덕교육의 탐구논리
    길병휘 ( Byung Hwee Kil ) 『초등도덕교육』제41집,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p.46-67 [2013]
  • 도덕교육의 체계적 이해
    고대혁 경기: 양서원, pp.253-254,pp.257-258 [2014]
  • 도덕교육에 있어서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와 적용
    배상식 『동서철학연구』제49호, 한국동서철학회, p.424 [2008]
  • 도덕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임용경 경기: 양서원, p.247, p.248 [2009]
  • 도덕과 평가의 9가지 레시피
    김국현 경기: 교육과학사,p.13, p.255 [2013]
  •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쟁점
    정창우 서울: 울력, pp.32-33,p.34, pp.139-140 [2013]
  •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김국현 『윤리교육연구』제27집, 한국윤리교육학회, pp.8-9 [2012]
  • 도덕과 교육론
    서강식 경기: 양서원, p.137 [2001]
  • 도덕과 교수?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선정 및 활용방안 연구
    노영란 『초등도덕교육』제24집,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p.134-135. [2006]
  • 도덕과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정창우 경기: 울력, p.698,pp.733-736 [2007]
  •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적 함의 - 헤이트(J. Haidt)의 뇌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
    정창우 『초등도덕교육』제37집,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121 [2011]
  • 대학생의 도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4구성요소의 경로분석
    서미옥 『교육학연구』Vol.45, No.3, 한국교육학회, pp.42-44 [2007]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14호 [별책6]
    『도덕과 교육과정』, p.4, P.5 p.27 [2012]
  • 교육공학의 원리와 적용
    박성익 경기: 교육과학사,pp.95-96, pp.238-240 [2012]
  • 교육공학의 간학문성과 발전방향
    진위교 『교육공학연구』제16권 제3호, 한국교육공학회, pp.10-11 [2000]
  • 교육공학 관련 이론
    나일주 경기: 교육과학사, pp.29-30,pp.121-123 [2010]
  • 교수설계이론을 위한 대안적 연구방법론의 탐색
    임철일 『교육학연구』33권 3호, 한국교육학회, pp.215-219 [1995]
  •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임철일 경기: 교육과학사, p.17, p.57,p.60, p.131, pp.376-377 [2012]
  • 교수매체 효과성 연구의 쟁점과 방향
    홍기칠 『초등교육연구』제17집 제1호, 한국초등교육학회, p.62 [2004]
  • 결정지향적인 교육공학 연구방법론: 개발연구를 중심으로
    정재삼 『교육공학연구』제13권 제2호, 한국교육공학회, p.342 [1997]
  • 道德敎育의 統合的 接近法으로서 構成主義的 人格敎育에 관한 硏究
    정창우(Jeong Chang-Woo) 『도덕교육연구』제15권 1호, 한국도덕교육학회,pp.101-102, pp.118-119 [2003]
  •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백영균 서울:학지사, p.254 [2012]
  • 『심리학의 힘 P』
    전우영 서울: 북하우스. p.119 [2012]
  • 『수업설계의 원리』
    Gagne, Robert Mills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p.21 [2007]
  •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정창우 경기: 교육과학사, p.66,p.328 [2009]
  • 『도덕과교육론』
    유병열 경기: 양서원, pp.758-761 [2011]
  • 『교육공학의 이해』
    나일주 서울: 학지사, pp.97-100, p.101,p.150, p.202 [2000]
  •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박숙희 서울: 학지사, p.186 [2002]
  • “효율적인 ICT 활용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메타데이터”
    김훈희 『한국정보교육학회 발표자료』, p.697 [2004]
  • 박사
  • “파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도덕 교육적 함의에 관한 연구”
    정창우 『도덕윤리과교육』제13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p.219, p.221 [2001]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수준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도덕성 검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백현기 『디지털정책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p.52-64 [2006]
  • “컴퓨터과학 교육을 위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재무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61 [2011]
  • “초등학교 초임 교사를 위한 교수 체제 모형의 개발 연구”
    임철일 『교육공학연구』제26권 제4호, 한국교육공학회, p.142 [2010]
  • “초등학교 도덕과 역할놀이 수업을 위한 스마트 포토툰 메이킹툴 개발과 적용”
    이인태 『초등도덕교육』제42집,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180, p.196 [2013]
  •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 절차에 관한 연구”
    유병열 『한국초등교육』제20권 제2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국어교육연구소, p.11 [2010]
  • “중?고등학교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의 콘텐츠 개발 방향”
    안종욱 『사회과교육』제52권 3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p.126 [2013]
  • “인터넷 통신언어 예절의 교육방향 모색: 어문교육과 도덕교육의 관점 비교를 중심으로”
    임상수 『윤리연구』제99호, 한국윤리학회, pp.196-199 [2014]
  •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실실천의연계방안 - 교육대학원 논문을 중심으로 - ”
    이용숙 『열린교육연구』제12권 제1호, 한국열린교육학회, pp.365-366 [2004]
  •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법적 내용지식(TAPCK)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성경희 『사회과교육』제51권 2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p.57 [2012]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도덕수업용자기평가도구 개발”
    이인태 『초등도덕교육』제39집,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312, p.314 [2012]
  • “리눅스와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분석한 소셜 저작 시스템의 성공요소에 대한 연구”
    이봉규 이서영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제13권 제4호, 한국인터넷정보학회, pp.74-77 [2012]
  • “도덕판단력 측정에 대한 고찰 : DIT와 MJT를 중심으로”
    김항인 『도덕윤리과교육』제12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pp.231-235 [2000]
  • “도덕적 탐구 수업 모형에 기반 한 통합적 인격교육의 가능성과 쟁점”
    손경원 『윤리교육연구』제27집, 한국윤리교육학회,pp.65-68 [2012]
  • “도덕적 사고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
    김혜숙 『윤리교육연구』제24집, 한국윤리교육학회, pp.6-7 [2011]
  • “도덕적 동기화 요소로서 도덕적 상상력에 관한 연구”
    신현우 『윤리연구』제87호, 한국윤리학회, pp.192-193 [2012]
  • “도덕적 개념탐구의 확장”
    김혜숙 『초등도덕교육』제36집,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32 [2011]
  • “도덕과에서 ‘좋은 수업’의 의미 및 조건에 관한 연구",『도덕윤리과교육』제22호
    정창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p.178 [2006]
  • “도덕과 수업에서의 효율적인 예화제시방법 연구”
    임상수 『윤리교육연구』제10집, 한국윤리교육학회, pp.70-88 [2006]
  • “도덕과 수업모형별 특성을 반영한 발문 기법”
    임상수 『윤리교육연구』제29집, 한국윤리교육학회, pp.222-231 [2013]
  • “도덕과 교육에서 교육공학활용의 현황과 발전방향”
    김항인 『도덕윤리과교육』26권,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p.72, pp.73-74 [2008]
  •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 지식의 재구조화”
    김국현 『한국윤리학회 2012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p.48 [2012]
  • “도덕과 교과교육학의 정립근거 탐구 : 교수내용지식(PCK)을 중심으로”
    정탁준 『윤리연구』제75호, 한국윤리학회, p.180 [2008]
  • “도덕?윤리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새로운 접근 -교과교육학적지식(PCK)과 실행연구를 중심으로-”
    하정혜 『윤리연구』제67호, 한국윤리학회, p.101 [2007]
  • “도덕?윤리과 교수학습 자료론", 『도덕과교육학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새로운 지평 탐색』
    차우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p.444, pp.454-457 [2012]
  • “도덕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연구”
    정탁준 『윤리연구』제84호, 한국윤리학회, pp.109-110 [2012]
  • “대학생의 Gregorc학습양식과 학습전략 사용 및 교수방법선호의 관계 분석”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제9권 제2호,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pp.38-39, p.51 [2009]
  • “내용요소제시 이론에 대한 소개”
    백성혜 양일호 이재천 홍성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제14권 2호, 한국과학교육학회, pp.243-245 [1994]
  • “나바에츠(D. Narvaez)의 도덕적 전문성 모형 연구”
    김하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0 [2013]
  • “나바에츠 도덕발달 이론의 특성과 도덕교육적 함의”
    정창우 『도덕윤리과교육』제37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p.351 [2012]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사회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7-3-1, pp.61-62 [2007]
  • “가네와 메릴의 교수이론 비교”
    왕정수 『교육과정연구』Vol.17No.2, 한국교육과정학회, pp.297-298 [1999]
  •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every day morality and moral expertise”
    Lapsley, D. K. Narvaez, D. in Lapsely, D. K. &Power, F. C.(eds), Character Psychology and CharacterEduc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정창우 역(2008),『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경기: 인간사랑, pp.271-275 [2005]
  • “The emotional dog and its rational tail: A socialintuitionist approach to moral judgement”
    Haidt, J. PsychologicalReview, 108. 강인구 역(2003),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 경기: 서현사, pp.44-46 [2001]
  • “The Meaning & Measure of Moral JudgementCompetence: A Dual Aspect Model”
    Lind, G. Contemporary Philosophical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Moral Development andEducation, Hampton Press. 박병기 외 역(2013), 『도덕철학과도덕심리학』, 경기: 인간사랑, pp.313-341 [2008]
  • “ICT를 활용한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유병열 은정희 『한국초등교육』13권 2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국어교육연구소, pp.80-97, pp.78-79 [2001]
  • “Gregorc 학습 스타일을 적용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개발”
    이재무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제17권 제4호, 한국정보교육학회, p.385 [2013]
  • “College, Character, and SocialResponsibility: Moral Learning through Experience”
    Brandenberger, J. W. in Lapsely,D. K. & Power, F. C.(eds), Character Psychology and CharacterEduc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정창우 역(2008),『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경기: 인간사랑, pp.273-275 [2005]
  • “4구성요소 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본 도덕발달 연구의 지향점”
    서미옥 『중등교육연구』제53집 제2호,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p.160 [2005]
  • http:www
    kfta.or.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홈페이지)
  • http://www.vark-learn.com (시각?청각?
    운동감각 문해능력에 관한 설문조사)
  • http://www.kbs.co.kr/1tv/sisa/happytopia/vod/review/index.html (KBS
    TV동화 행복한 세상)
  • http://tpack.org (What is TPACK?, TPACK Surveys)
  • http://terms
    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어-플랫폼)
  • http://cee.nd.edu/schools/research/index.shtml (The CEE school approachis based on the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Model)
  • You, D. & Bebeau. M. J.(2013), “The independence of James Rest'scomponents of morality: evidence from a professional ethicscurriculum study”, Ethics and Education, p.1, p.7, pp.8-13.
  • Walker, L. J.(2002), “The Model and the Measure: an appraisal of theMinnesota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J ournal of MoralEducation, 31(3), pp.355-358, p.359.
  • Tripp, S. D. & Bichelmeyer, B.(1990), "Rapid prototyping: An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Educational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38(1), pp.41-43.
  • Traer, R.(2013), Doing Environmental Ethics Second Edition,Westview Press, p.9.
  • Thoma, S. J. & Bebeau, M. J.(2013), "Moral Motivation and The FourComponent Model", in Heinrichs, K. et al.(eds), Handbook ofMoral Motivation: Theories, Models, Applications, SensePublishers, p.49, p.52, p.54, pp.59-61.
  • The SystematicDesign of Instruction, Pearson Education. 김동식 외 역(2009),『체제적 교수설계』
    Carey, J. M. Carey, L. C. Dick, W.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p.3, p.7, pp.11-13 [2009]
  • Social and EmotionalLearning in the Classroom : Promoting Mental Health andAcademic Success, Guilford Publications. 신현숙 역(2011), 『사회정서학습 정신건강과 학업적 성공의 증진』
    Gueldner, B. A. Merrell, K. W. 경기: 교육과학사,pp.30-34 [2010]
  •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Bandura.A CambridgeUniversity Press. 윤운성 외 역(2004),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자기효능감』, 서울: 학지사, pp.22-25, p.34 [1995]
  • Savery, J. R.(2009), "Problem-Based Approach to Instruction". Reigeluth, C. M. & Carr, A.(eds), Instructional DesignTheories and Models: Building a Common Knowledge (Vol. Ⅲ) , Routledge Publisher. pp.158-159.
  • Rest, J. et al.(2000), “A Neo-Kohlbergian Approach to MoralityResearch”,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29(4), pp.384-386,pp.386-389.
  • Rest, J. R., Moral Development: Advances in Rearch andTheory, Greenwood Publishing. 문용린 외 역(2008), 『도덕발달이론과 연구』
    서울: 학지사, pp.27-28, pp.29-34, p.36, p.118 [1980]
  • Rest, J. R. & Narvaez, D., “The four component of actingmorally”, in Kurtines, W. M. & Gewirtz, J. L.(eds), MoalDevelopment : An Introduction 1st Edition, Pearson Education. 문용린 역(2004),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서울: 학지사, p.488 [1995]
  • Rest, J. R. & Narvaez, D., Moral Development in theProfessions: Psychology and Applied Ethics, LawrenceErlbaum Associates, 문용린 외 역(2006), 『윤리경영시대의 전문직업인의 윤리발달과 연구』
    서울: 학지사, p.58 [1994]
  • Pachler, N. & Redondo, A.(2014), “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Impact ofTechnology on Learning, Pedagogy, and Teacher Effectiveness”,Oon-seng Tan & Woon-Chia Liu(eds), Teacher Effectiveness :Capacity Building In A Complex Learning Era, p.272
  • Niess, M. L. et al.(2009), "Mathematics teacher TPACK standards anddevelopment model", Contemp Issues Technol Teacher Educ9(1), pp.4-24
  • Narvaez, D., Lapsley, D. K., Hagele, S., & Lasky, B.(2006), “Moralchronicity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ests of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ral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in Personality, 40, p.969.
  • Narvaez, D., Endicott, L., Bock, T., & Mitchell, C.(2001c), EthicalMotivation : Activity Booklet3 - Nurturing Character in theMiddle School Classroom, Department of Children, Familiesand Learning &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p.7-100.
  • Narvaez, D., Endicott, L., Bock, T. & Mitchell, C.(2001d), EthicalAction : Activity Booklet4 - Nurturing Character in theMiddle School Classroom, Department of Children, Familiesand Learning &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p.7-78.
  • Narvaez, D., Endicott, L., & Bock, T., & Mitchell, C.(2001b), EthicalJudgement : Activity Booklet2 - Nurturing Character in theMiddle School Classroom, Department of Children, Familiesand Learning &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p.7-99.
  • Narvaez, D., Endicott, L., & Bock, T., & Mitchell, C.(2001a), EthicalSensitivity : Activity Booklet1 - Nurturing Character in theMiddle School Classroom, Department of Children, Familiesand Learning &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p.7-78.
  • Narvaez, D.(2010), “Moral complexity: The fatal attraction oftruthiness and the importance of mature moral function”,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5(2), pp.170-171.
  • Narvaez, D.(2010), “Building a Sustaining Classroom Climate ForPurposeful Ethical Citizenship”, Lovat, T. et al.(eds),International Reasearch Handbook on Values Education andStudent Wellbeing, pp.659-661.
  • Narvaez, D.(2008b), “Human Flourishing and Moral Development:Cognitive Science and Neurobiological Perspectives on VirtueDevelopment”, in Nucci, L. & Narvaez, D.(eds), Handbook of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pp.319-320.
  • Narvaez, D.(2008a), “How cognitive and neurobiological sciencesinform values education for creatures like us”, in Aspin, D. &Chapman, J.(eds), Values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Philosophy, Policy, Practices. pp.138-139.
  • Narvaez, D. et al.(2003), Minnesota Community Voices and CharacterEducation FINAL REPORT AND EVALUATION,Department of Children, Families and Learning & theUniversity of Minnesota, pp.91-108.
  • Narvaez, D. & Lapsley, D. K.(2010), “Teaching Moral Charater: TwoAlternatives for Teacher Education", The Teacher Educator ,43, pp.165-167.
  • Narvaez, D. & Lapsley, D. K.(2009), “Moral identity and thedevelopment of moral character”, in Medin, D., Skitka, L.,Bartels, D., & Bauman, C.(eds), Moral Cognition andDecision-making, Vol. 50 of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Motivation series, pp.241-256, pp.257-259.
  • Narvaez, D. & Bock, T.(2002), “Moral Schemas and Tacit Judgementor How the Defining Issues Test is Supported by CognitiveScience”, The J ournal of Moral Education, 31(3), pp.298-299.
  • Movement of Thought in Modern Education,John Wiley & Sons. 정희숙 역(2006), 『현대교육사상』
    Kneller, G. F. 경기: 서광사, pp.182-183 [1984]
  • Morton K. R.(2006), “Defining features of moral sensitivity and moralmotivation: pathways to moral reasoning in medical students”,Journal of Moral Education, 35(3), pp.395-400.
  • Moral Imagination: Implications of CognitiveScience for Ethics
    Johnson, 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노양진 역(2008), 『도덕적 상상력: 체험주의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경기:서광사, pp.395-404 [1993]
  • Miller, L. M.(2005), “Using learning styles to evaluate computer-basedinstru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1, pp.288-289.
  • Merrill, M. D.(2009b), “First Principle of Instruction", in Reigeluth, C. M. & Carr, A.(eds),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Models: Building a Common Knowledge (Vol. Ⅲ) , RoutledgePublisher, pp.43-55.
  • Merrill, M. D.(2009a), “Finding e3 (effective, efficient and engaging)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49(3), p.20, pp.23-24.
  • Merrill, M. D.(2006). “Levels of instructional strategy”, EducationalTechnology, 46(4), pp.5-10.
  • Merrill, M. D.(2001), “Components of instruction toward a theoreticaltool for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Science, pp.298-300.
  • Merrill, M. D.(1994), Instructional Design Theory, EducationalTechnology Publications, pp.111-112, p.122.
  • Merrill, M. D.(1987), “The new Component Design Theory :instructional design for courseware authoring”, InstructionalScience 16, pp.20-23, pp.27-29.
  • Lapsley, D. K. & Hill, P. L.(2008), “On dual processing and heuristicapproaches to moral cognit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37(3), p.326.
  • Lacewing, M.(2013), “Expert to Intuition and its development : Aguide to the debate”, Topoi , pp.7-9.
  • Kozma, R. B.(1994), “Will media influence learning? reframing thedebat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42(2), p.16.
  • Kogalovsky, M. R.(2013), “Metadata in computer systems”,Programming and Computer Software, 39(3), p.184.
  • Koehler, M. J. & Mishra, P.(2009), “What is Technological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temporary Issues inTeacher Education, 9(1), p.62, pp.64-65, pp.66-67, p.420.
  • Koehler, M. J. & Mishra, P.(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College Record 108, Teacher College, Columbia University,pp.1020-1026.
  • Keller, J. M.(2008), “First principles of motivation to learn ande3-learning”, Distance Education, 29(2), pp.176-178.
  • Keller, J. M.(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Instructional Design”, J 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10(3), pp.4-5.
  • Jordan, J.(2007), “Taking the first step toward a moral action: Areview of moral sensitivity Measurement across domain”, The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8(3), p.325, pp.326-349.
  • Jones, M. K. et al.(1992), “Rapid prototyping in automated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Development, 40(4), pp.97-99.
  • Jonassen. D, H, & Land. S, M., Theoretical Foundations ofLearning Environments, Routledge. 한승연 외 역(2014), 『학습환경 설계의 이론적 이론적 기반』
    서울: 학지사, pp.21-46 [2012]
  • John, P. & Sutherland, R.(2005), “Affordance, opportunity andpedagogical imlication of ICT”, Educational Review, 57(4),pp.407-408.
  • Janssen, N. & Lazonder, A. R.(2015), “Implementing InnovativeTechnologies Through Lesson Plans: What Kind of Support DoTeachers Prefer?”, J Sci Education Technol , pp.6-10.
  • InstructionalTechnology and Media for Learning 10th edition, PearsonEducation. 이미자 외 역(2011), 『교육공학과 교수매체』
    Lowther, D. L. Russell, J. D. Smaldino, S. E. 서울:아카데미프레스, pp.7-9, p.56, p.59, p.65, pp.67-70, pp.72-76,pp.77-83, p.97 [2011]
  •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ew Paradigm of Instruction Theory (Vol. Ⅱ) . 최욱 외 역(2005),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Reigeluth, C. M. 서울: 아카데미프레스,pp.328-329, pp.528-530 [1999]
  • Hawk, T. M.(2007), “Using learning style instrument to Enhancestudent learning”, Decision Sciences J ournal of InnovativeEducation 5(1), pp.7-8, pp.12-13.
  • Hardy, S. A.(2006), “Identity, Reasoning, and Emotion: An EmpiricalComparison of Three Sources of Moral Motivation”, Motivationand Emotion, 30(3), pp.208-214.
  • Hardy, S. A. & Carlo, G.(2011), “Moral Identity: What Is It, HowDoes It Develop, and Is It Linked to Moral Action?”, ChildDevelopment Perspectives, 5(3), pp.212-216.
  • Handbook of Moral Development,Taylor & Francis. 김태훈 역(2010), 『도덕성 발달 핸드북 2』
    Killen, M. Smetana, J. 경기: 인간사랑. p.836 [2005]
  • Gudmundsdottir, S. & Shulman, L.(1987),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in Social Studies”, Scandinavian J ournal ofEducational Research, 31, pp.59-61, pp.66-68.
  • Ethics: Discovering Right and Wrong 6thEdition, Cengage Learning. 박찬구 외 역(2011), 『윤리학: 옳고그름의 발견』
    Pojman, L. P. 서울: 울력, pp30-32 [2009]
  • Cox, S. & Graham, C.(2009), “Diagramming TPACK in practice: usingan elaborated model of the TPACK framework to analyze anddepict teacher knowledge”, TechTrend, 53(5), pp.61-62, p.64.
  • Bebeau, M. J.(2002), “The Defining Issues Test and the FourComponent Model: contribution to education”, Journal of MoralEducation, 31(3), p.287.
  • Bebeau, M. J.(1993), “Designing an outcome-based ethics curriculumfor professional education: strategies and evidence ofeffectiveness”, Journal of Moral Education, 22(3), p.322.
  • Bebeau, M. J. & Thoma, S. J.(1999), “Intermediate Concepts and theConnection to Moral Education”, Educational PsychologyReview, 11(4), p.346.
  • ASSURE 이론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의모의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조희정 『유아교육연구』제33권 제3호, 한국유아교육학회,pp.94-101 [2013]
  • ASSURE 모형에 기반한 수업설계 경험이 수학교사의 TPACK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임해미 『수학교육학연구』제22권 제2호, 대한수학교육학회, p.181, pp189-196 [2012]
  • ARCS동기전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강물레 『교육공학연구』제22권 제4호, 한국교육공학회, pp.96-98 [2006]
  • ARCS 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가정,특징,그리고 이론적쟁점들
    송상호 『교육공학연구』제14권 제3호, 한국교육공학회,pp.156-157, pp.163-164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