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한 읽기교수가 학습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 학업성취, 학업기대, 수업태도를 중심으로

황리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황리리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UDL-Based Reading Instruction on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형태사항 30 cm: 132p: 삽화,표
    • 일반주기 지도교수:신현기,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 96-104
    • 학위논문사항 2015. 8, 특수교육학과 학습장애아교육전공, 단국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 DDC 371.926, 22
    • 발행지 용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단국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한 읽기교수가 학습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 학업성취, 학업기대, 수업태도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인의 성취의식: 토착심리 탐구. 문화심리학총서 제 7권. 교육과학사
    김의철 박영신 서울 [2013]
  • 학업적 자기효능감: 이론과 현장연구. 학지사
    김아영 서울 [2007]
  •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분석
    김애화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2), 265-299 [2006]
  •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그래픽조직자의 이론적 근거와 적용
    강옥려 특수교육, 3(1),5-29 [2004]
  • 학습장애의 개념, 분류, 진단. 현장특수교육
    정대영 1998년 여름호 [1998]
  • 학습장애아동의 교육실태와 교수전략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장민정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0]
  • 학습장애: 이론과 실제. 학지사
  •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적 통합
    손승현 학습장애연구, 3(2), 93-108 [2006]
  • 학습장애 학생과 경도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초등 수학교과 교수적 수정 방안 분석
    서유진 학습장애연구, 8(2) [2011]
  • 특수교육과 교과교육의 목표. 강경숙 등, 특수교육 교과교육론(pp.71-104). 교육과학사
    남윤석 경기 [2008]
  • 특수교육 장면에서의 UDL적용: 교수 방법적 실제에 대한 토론
    손지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12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7-64 [2012]
  • 특수교육 장면에서의 UDL 적용: 교수 방법적 실제
    한경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2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7-48 [2012]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백은희 임은숙 특수아동교육연구, 13(4), 211-227 [2011]
  • 통합교육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모든 이들을 위한 통합교육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박혜준 통합교육연구, 5(2), 103-128 [2010]
  •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에 근거한 보편적 교육과정 설계의 가능성 탐색
    정주영 지적장애연구, 12(2), 249-281 [2012]
  • 통합교육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ULD)를 적용한 중학교 정보 컴퓨터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수업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옥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초등학교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웹 활용 글쓰기 통합 수업의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 활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박해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 초등 사회 미치 과학과 교수적 수정 적용 연구 분석
    박윤정 한경근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5(2), 85-107 [2014]
  •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문화심리학총서 제 3권. 교육과학사
    김의철 박영신 서울 [2001]
  • 자기효능감 및 관련변인과 국어 학업성취도: 특성화고등학교 남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정연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자기효능감 및 관련변인과 국어 학업 성취도: 여자중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이명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자기효능감 및 관련 변인과 국어 학업성취도: 특성화 고등학교 여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김선율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자기효능감 및 관련 변인과 국어 학업성취도: 일반계 고등학교 남녀 학생을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윤광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자기감독 중재가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과제수행 행동 및 읽기 성취에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정혜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학습설계로의 전환을 위한 통합교육 교육과정의 검토. 지체 ?중복 ?
    신현기 건강장애연구, 54(3), 1-29 [2011]
  • 이야기구조 학습전략이 읽기부진학생의 독해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남미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의미단위 띄어 읽기 전략 교수가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김소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의미단위 끊어 읽기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장애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정성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미술 감상활동이 시각장애학교 초등학생의 감상태도 및 학습행동과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박계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4]
  •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과학 교수 ? 학습 자료가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유선해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0]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수학 교수-학습이 시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비참여행동과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혜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수업 과정에서 교사와 장애학생들의 교수 학습활동에 관한 탐색. 석사학위논문
    김자원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과학 수업이 중학교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과학학업성취고, 수업참여도 및 교수?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권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 보편적 학습설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과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신형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한경근 특수아동교육연구,16(4), 83-102 [2014]
  • 보편적 학습설계 국어수업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 수업참여도, 사회적 기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김은영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5]
  •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수학교과 학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우영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통합 미술수업이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박주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초등 과학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과학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조선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학습 성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이경란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보편적 학습 설계: 교사 전문가들을 위한 지침서. 아카데미프레스
    노준석 서울 [2006]
  • 보편적 학습 설계(UDL) 원리에 기초한 자기조절 학습 촉진 전략의 효과: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행동과 일반학생들의 국어와 학업 성취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배혜원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0]
  • 보편적 설계 학습 스포츠교육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강동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보편적 교수·학습설계가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에 주는 함의
    곽승철 중복지체부자유연구, 53(4), 1-29 [2010]
  • 문장작성전략 교수와 학습장애 학생 : 연구 검증된 실제
    김윤옥 국제세미나자료집,(9), 123-142 [2002]
  • 모든 학생의 접근권과 학습이 가능한 보편적 교육과정 설계 방안
    김용욱 윤광보 한국특수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 [2001]
  • 또래 감독을 통한 학습활동이 학습장애아의 수업참여행동과 기초 학습에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이현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UDL 지원 그래픽 조직자 프로토타임 설계. 석사학위논문
    이경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 교육과학기술부 학습장애학생 선정 조건 및 절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 교육과학기술부 2012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2]
  • 교실에서의 동기
    김아영 교육심리연구, 17(1), 5-36 [2003]
  • Schunk, D. H. (1984). Self-efficacy perspective on achievement behavior. Educational Psychologist, 19, 48-58.
  • Rose, D., Meyer, A., & Hichcock, C. (2005). The Universally Designed Classroom. The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 Rose, D. & Meyer, A. (2002). Teaching every student in the digital age: Universal Designfor Learn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Development.
  • Roberts, G., Torgesen, J. K., Boardman, A., & Scammacca, N. (2008). Evidence-basedstrategies for reading instruction of olde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 Practice, 23, 63-69.
  • Rao, K., Ok, M. W., & Bryant, B. R. (2014). A Review of Research on Universal DesignEducational Model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35(3). 153-166.
  • Rao, K., & Tanners, A. (2011). Curb cuts in cyberspace: Universal instructional design foronline course. Journal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Disability, 24(3), 211-229.
  • Proctor, C. P., Dalton, B., & Grisham, D. L. (2011). Scaffolding English language learnersand struggling readers in a universal literacy environment with embedded strategyinstruction and vocabulary support.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39, 71-93.
  • Parker, D. R., Robinson, L. E., & Hannafin, R. D. (2008). "Blending" technology andeffective pedagogy in a core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Computingin Teacher Education, 24, 49-54.
  • Pace, D., & Schwartz, D. (2008). Accessibility in post secondary education: Application ofUDL to college curriculum. Us-china Education Review, 5(12), 20-26.
  • National Reading Panel. (2000). Teaching children to read: An evidence-basedassessment of the scientific research literature o reading and itsimplication for reading instruction. Washington DC: National Institute of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 National Center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2009). UDL associatedreseach evidence. Retieved July 23, 2010, from http://www.udlcenter.org/aboutudl/ udlguidelines.
  • Narkon, D. E., & Wells, J. C. (2013).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for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DL Enhanced StoryMapping. Preventing School Failure, Alternative Education for Childrenand Youth, 57(4), 231-239.
  • Meo (2008). Curriculum Planning for All Learner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Learning(UDL) to a High School Reading Comprehension Program. Preventing School Failure: Alternative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52(2), 21-30.
  • McGuire-Schwartz, M. E., & Arndt, J. S. (2007). Transforming universal designfor learning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rom college classroomto early childhood classroom.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Education, 28(2), 127-139.
  • Marino, M. T. (2009). Understanding how adolesc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utilize technology-based tools. Exceptionality, 17, 88-102.
  • Lieber, J., Horn, E., Palmer, S., & Fleming, K. (2008). Access to the generaleducation curriculum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Children’s schoolsuccess. Exceptionality, 16(1), 18-32.
  • Kortering, L. J., McClannon, T. W., & Braziel, P. M. (2008). Universal design forlearning: A look at what algebra and biology students with and withouthigh incidence conditions are saying.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29,352-363.
  • King-Sears, M. (2009).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echnology and pedagogy.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32(4), 199-201.
  • Justice, L. M., & Kaderavek, J. (2002). Using shared storybook reading topromote emergent literacy.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4, 8-13.
  • Hitchcock, C., Meyer, A., Rose, D., & Jackson, R. (2002). Providing access to the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5(2), 8-17.
  • Hall, T. E., Meyer, A., & Rose, D. H. (2012).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he Classroom: Practical Application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Gersten, R., Fuchs. L. S., Williams, J. P., & Baker, S. (2001). Teaching readingcomprehension strategies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view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21, 279-320.
  • Gardrnen, D., & Whittaker, C. (2006). Planning differentiated, multiculturalinstruction for secondary inclusive classrooms. Teaching ExceptionalChildren, 38(3), 15.
  • Gardill, M, C., & Jitendra, A. K. (1999). Advanced story map instruction: Effects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3, 2-17.
  • Edyburn, D. L. (2010). Would you recogniz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f yousaw it? Ten propositions for new directions for the second decade ofUDL.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33(1), 33-41.
  • Dymond, S. K., Renzaglid, A., Rosenstein, A., Chun, E. J., Banks, R. A.,Niswander, V., & Gilson, C. L. (2006). Using a participatory actionresearch approach to create a univerally design inclusive high schoolscience course: A case study.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 withSevere Disabilties(RPSD), 31(4), 293-308.
  • Drue E. Narkon., & Jenny C. Wells. (2013).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for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DL Enhanced Story Mapping. Preventing School Failure. 57(4), 231-239.
  • Dimino, J. A., Gersten, R. M., Carnine, D., & Blake, G. (1990). Story grammar:An approach for promoting at-risk secondary students' comprehension ofliteratur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1(1), 19-32.
  •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05).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 guidefor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Pearso Merrill Prentice Hall.
  • Chard, D. J., Vaughn, S., & Tyler, B. J. (2002). A synthesis of research oneffective interventions for building fluency with elementary students with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5, 386-406.
  • CAST (2014i). Planning for All Learners(PAL). Retrieved August 9, 2014, fromhttp://www.cast.org/teachingeverystudent/toolkits/tk_procedures.cfm?tk_id=21.
  • CAST (2014g). UDL lesson planning form. Retrieved August 9, 2014, fromhttp://www.cast.org/teachingeverystudent/toolkts/downloads/PAL_lessonplanningform.pdf.
  • CAST (2014f). UDL solutions finder. Retrieved August 9, 2014, , fromhttp://www.cast.org/teachingeverystudent/tools/udlsolutionsfinder.cfm.
  • CAST (2014e). Curriculum barriers with assessment form. Retrieved August 9,2014, fromhttp://www.cast.org/teachingeverystudent/toolkits/downloads/PAL_curriculumbarriers.doc.
  • CAST (2014d). UDL class profile maker. Retrieved August 7, 2014, fromhttp://www.cast.org/teachingeverystudent/tools/classprofile.cfm.
  • CAST (2014c). Lesson analysis template. Retrieved August 7, 2014, fromhttp://www.cast.org/teachingeverystudent/toolkits/downloads/PAL_udllessonanalysis.pdf.
  • CAST (2014b). UDL goal setter. Retrieved August 6, 2014, fromhttp://www.cast.org/teachingeverystudent/tools/udlgoalsetter .cfm.
  • CAST (2014a). UDL Guidelines-Version 2.0. Retrieved August 6, 2014, fromhttp://www.udlcenter.org/aboutudl/udlguidelines.
  • Bryant, D. P., Baughn, S., Linan-Thompson, S., Ugel, N., Hamff, A., & Hougen, M. (2000). Reading outcomes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in generaleducation middle school content area classes. Learning Disabilities Quarterly, 23(3),24-38.
  • Browder, D. M., Mims, P. J., Spooner, F., Ahlgrim-Delzell, L., & Lee, A. (2008). Teachingelementary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shared stories.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 with Severe Disabilties, 33(1-2), 3-12.
  • Basham, J. D., Israel, M, Graden, J., Poth, R., & Winston, M. (2010). A comprehensiveapproach to RTI: Embedd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echnology.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33(4), 243-255.
  • Armbruster, B. B., & Anderson, T. H. (1988). On selecting "considerate content areatextbook.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9(1), 47-52.
  • Acrey, C., Johnstone, C., & Milligan, C. (2005). Using universal design to unlock thepotential for academic achievement of at-risk learners. Teaching ExeptionalChildren, 38(2), 22-31.
  • Abell, M. M., Jung, E., & Taylor, M. (2011).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instructional environments in the context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14, 171-185.
  • (초등학교) 국어 교사용 지도서 3~4학년군: [2009개정 교육과정]. 4-1
    교육부 서울:미래엔 [2014]
  •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 4-2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서울: 미래엔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