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다문화 소통 맥락 중심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박정미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다문화 소통 맥락 중심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다문화
  • 한국문화교육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70 0

0.0%

' 다문화 소통 맥락 중심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의 참고문헌

  • 「상호문화적 연구대상으로서의 민요」
    이해경 「한국민요학」 제 26집, 한국민요학회, pp.197~216 [2009]
  • 협동학습과 협력학습 구조 비교분석
    강인구 「한국교육문제연구」 제18호,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pp. 183~197 [2003]
  •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김숙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한국의 여성 결혼이주자정책: 상호문화주의적 조망과 함의
    김경숙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p.21~33 [2014]
  •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의 방향
    권오경 「어문론총」 45, 한국문학언어학회, pp. 389~431 [2006]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권오경 「언어와 문화」 5-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 49~72 [2009]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탐색-소위 ‘다문화 교육’을 넘어
    지현숙 「한국언어문화학」 7-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 261~290 [2010]
  •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동 방안
    장미영 「국어문학」, Vol.54 No.-, 국어문학회, pp.307~333 [2013]
  • 박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배재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윤여탁 「언어와 문화」7-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163~181 [2011]
  •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민현식 「한국언어문화학」3-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 137~180 [2006]
  •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정영근 「교육철학연구」 Vol.44, 한국교육철학학회, pp.113~137 [2009]
  • 한국사회언어학회 엮음, 『문화와 의사소통의 사회언어학』
    한국문화사 [2007]
  •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고전문학 활용 방안 -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접점’ 찾기 -
    조현우 「시학과 언어학」 28, 시학과 언어학회, pp.163~191 [2014]
  •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강승혜 「한국언어문화학」9-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pp.1~38 [2012]
  •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다문화교육 용어사전』
    교육과학사 [2014]
  • 한국 사회의 다문화교육 지향과 실행 전략
    김용신(Yong Sin Kim) 「사회과교육」 48-1, 사회과교육연구, pp.13~25 [2009]
  •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박노자 「한국어 교육」 11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63~88 [2000]
  •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현직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강인애 주현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9-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pp. 1~34 [2009]
  •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과 이론
    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pp. 29~40 [2001]
  • 학교의 이중 언어수업과 상호문화교육 - 독일 베를린의 공립학교 이중 언어수업 실험모형을 중심으로 -
    정영근 「교육의 이론과 실천」 14권1호, 한독교육학회,pp.167~185 [2009]
  •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소경희 「교육과정연구」25(3), 한국교육과정학회, pp.1~21 [2007]
  • 학교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준거와 실례 - 독일의 학교수업 사례를 참조하여 -
    정영근 「교육의 이론과 실천」 14권2호, 한독교육학회,pp.159~180 [2009]
  •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박주희 정진경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2-1, 한국심리학회, pp.1~21 [2008]
  •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요소 분석과 방향 연구 - 미국 교과서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이윤정 「새국어교육」85, 한국국어교육학회, pp.213~245 [2010]
  • 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
    김성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질적연구방법론 Ⅱ Methods
    김영천 아카데미프레스 [2013]
  • 지구촌 시대와 문화콘텐츠
    이기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 유네스코, 『문화다양성과 문화 간의 대화』, 유네스코 세계보고서
    집문당 [2010]
  • 우정사업본부 www
    koreapost.go.kr
  • 우리안의 차별과 배제, 일상적 삶에서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장원순 「사회과교육」 13-3, 사회과교육연구, pp. 27~46 [2006]
  • 외국인을 위한 문학 교육 방법 연구
    나정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 문 [2008]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왕연 「언어와 문화」 Vol.6 No.3,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 201~238. [2010]
  •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윤여탁 한국문화사 [2007]
  • 왜 구성주의인가
    강인애 문음사 [1997]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인문언어학의 전망과 과제-언어 문화의 다면적 접근(인문언어학총서 1)』
    박이정 [2011]
  • 언어행위론에 관한 일고찰 : 소통학과 권력론을 중심으로
    이효성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5, 한국소통학회, pp.40~78 [2014]
  • 안전행정부 www
    mogaha.go.kr
  • 세계화시대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해석학적 문제들
    홍경자 「해석학연구」 29집, 한국해석학회, pp.137~160 [2012]
  • 세계화시대 상호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한국의 세계화 교육에 대한 반성적 고찰-
    정영근 「교육의 이론과 실천」 6권1호 , 한독교육학회,pp.1~20 [2001]
  • 성찰적 문화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리시 교육
    정현선 「국어교육학 연구」14, 국어교육학회, pp. 387~408 [2002]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BK21 역량기반교육혁신연구사업단 BK21핵심역량연구센터 공저, 『역량 기반 교육』
    교육과학사 [2010]
  • 생태학적으로 타당한 독서 교육을 위하여
    이성영 「한국초등국어교육」Vol.- No.2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 123~156 [2003]
  • 생태학적 국어교육관과 국어교육 평가
    최현섭 「한국초등국어교육」Vol.- No.10, 한국초등국어교육, pp.1~11 [1994]
  • 생태학적 국어교육 -듣기 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김윤옥 「청람어문교육」 31,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pp.33~51 [2005]
  •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신헌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pp. 219-237 [2010]
  • 생태학의 관점에 따른 인터넷 매체언어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김성희 「국어교육학연구」제43집, 국어교육학회, pp.99~123 [2012]
  • 생태학 담론을 통한 국어교육의 설계
    김혜숙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 생태주의적 문학교육을 위한 지향: 국어교육과의 관계적 관점에서
    이재형 「비평문학」 제46호, pp.333~358 [2012]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 관점의 국어 교과서 제재 분석
    김건우 김규훈 김혜숙 「한국언어문화학」11-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27~52 [2014]
  • 상호문화교육의 일반교육학적 고찰
    정영근 「교육철학연구」 Vol.37, 교육철학회, pp. 29~42 [2006]
  •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인격적(person) 존재로서 인간”의 관점에서-
    김철 「교육철학」 42,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pp.87~107 [2008]
  • 사이'의 세기와 상호문화 교육
    정영근 「교육의 이론과 실천」Vol.12 No.1, 한독교육학회, pp. 257~272 [2007]
  •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장인실 「교육과정연구」 24권4호, 한국교육과정학회, pp.27~53 [2006]
  • 문화체육관광부 www
    mcst.go.kr
  • 문화적응 이론의 전개와 현황
    양계민 정진경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3-1, 한국심리학회, pp.101~136 [2004]
  • 문화교육의 역사적 고찰 및 수업설계의 방향성 모색
    민춘기 「독어교육」60,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pp.237~262 [2014]
  • 문화간 훈련의 이론과 방법
    정진경 「한국심리학회지: 일반」24-1, 한국심리학회, pp.185~215 [2005]
  • 문화간 의사소통의 이해
    유수연 한국문화사 [2008]
  • 문화간 비즈니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가능성 연구
    하수권 「독어교육」 37,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pp. 89~114 [2006]
  •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학 교육 방법
    이선이 「한국어교육」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 153~171. [2003]
  • 문식성 학습과 평가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곽춘옥 「국어교육학연구」18, 국어교육학회, pp.5~34 [2004]
  • 매체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박정미 「한국어문화교육」 8-2, 한국어문화교육학회, pp.49~70 [2014]
  • 리터러시 개념의 확장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김대희 「어문연구」 3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 477~500 [2006]
  • 담화 화용론
    송경숙 한국문화사 [2003]
  • 다큐멘터리의 언어적 창의성 연구
    윤여탁 이상아 「국어교육연구」 제31집, 국어교육학회, pp. 169~197. [2013]
  • 박사
    다문화주의 관점에서의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이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다문화사회의 이해
    김경식 신정 [2012]
  • 다문화교육의 이해
    김선미 한국문화사 [2008]
  • 박사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김상돈 김상돈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0]
  • 다문화관련한국어교육학연구의쟁점
    강현화 「배달말」49권0호, 배달말학회, pp.375~399 [2011]
  •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한)국어교육 학위 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심상민 「새국어교육」 98, 한국국어교육학회 pp.153~183 [2014]
  • 다문화 시대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과제
    최정순 「이중언어학」 37, 이중언어학회, pp. 287~316 [2008]
  • 다문화 사회에서의 언어 교육의 과제
    성기철 한국언어문화학 5-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1~26 [2008]
  • 다문화 사회 소통 문제와 한국어 교육의 과제”, 「한국초등교육」 21-1
    양태식 서울대학교초등교육연구소, pp. 49~66 [2010]
  •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따른 문제
    김선미 「사회과교육학연구」 제4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pp.63~81 [2000]
  •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
    원진숙 서울: 사회평론 [2010]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문화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문식성의 교육 내용 요소 및 실현 양상 분석
    최숙기 「새국어교육」94, 한국국어교육학회, pp. 31~81 [2013]
  • 국어 교과서 다문화 제재 선정에 관한 연구
    최숙기 「독서연구」18, 한국독서학회. pp. 287~319 [2007]
  • 국가인권위원회 www
    humanrights.go.kr
  • 공유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법
    김동환 「국어교육학연구」31, 국어교육학회, pp.297~321 [2008]
  • 『한국어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 분석을 통 한 개정 방안 연구(중앙다문화교육센터 연구보고서)』
    조영달 서울: 교육과학 기술부 [2009]
  •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정한업 교육과학사 [2014]
  •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정한업 한울 [2010]
  • 『다중모드 문식성-문식성 교육 연구』
    옥현진 한국문화사, pp.224~253 [2008]
  • 『구성주의 문학교육론』
    이상구 박이정 [2006]
  • “현대단편소설을 활용한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인지의미론적 접근을 중심으로ㅡ”
    이희정 임유미 「언어와 문화」 9-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271~299 [2013]
  • “한국어문화교육에서의 다문화적 접근 방안–문화 간 의사소통 중심 문화교육”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13차 학술대회의 발표문 참조 [2012]
  •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연구”
    신윤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한국어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민현식 「한국언어문화학」 5-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 115~150 [2008]
  •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윤영 「언어와 문화」 9-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215~243 [2013]
  • “한국어교육에서 상호문화학습의 실천”
    김옥선 「언어와 문화」 3- 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181~202 [2007]
  •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학-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제 문제”
    황인교 「이화어문논집」 제22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pp.5~29 [2004]
  • “한국어교육 : 한국어교육 연구의 균형화와 전문화를 위하여”
    최정순 「새국어교육」Vol.92 No.-, 한국국어교육학회, pp.367~391 [2012]
  • “한국어 비언어적 행위의 특징과 한국어교육 연구”
    조현용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pp. 269~295 [2007]
  • “한국어 문화교육 자료로서의 텍스트 선정에 관한 일고(一考)”
    심상민 「국어교육」 144,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pp.491~515 [2014]
  • “한국어 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최정순 「한국고전연구」27, 한국고전연구학회, pp. 5~28 [2013]
  • “한국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과제:다문화 가정 학생의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최용기 「國文學論集」 Vol.22 No.-,,檀國大學校 國語國文學科, pp. 551~583 [2013]
  •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해와실천과제”
    송진숙 송진영 「한국사상과 문화」 62권, 한국사상문화학회, pp.331~347 [2012]
  •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방법”
    황인교 「학술대회 발표집」 Vol.2014 No.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19~41 [2014]
  • “한국 문화 교육 접근 방법 연구”
    최주열 「언어와 문화」 4-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pp. 203~222 [2008]
  •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
    권동택 이주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pp.69~85 [2013]
  •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
    권낙원 「학습자중심 교육연구」창간호, 학습자중심교육학회보,pp.5~7 [2000]
  •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을 위한 철학적 연구”
    길형석 「학습자중심 교육연구」 창간호, 학습자중심 교과교육학회, pp. 1~27 [1999]
  • “초등학교 읽기 영역의 생태학적 평가 방안 개발:저학년 읽기 영역 평가를 중심으로”
    신헌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Vol.4-No.2,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pp.33~64 [2004]
  • “초등 사회 교과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와 3, 4학년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문혜숙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1]
  • “지구화시대의 문화 넘나들기-문화교육 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 문학교육의 방향”
    정영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8권2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pp.1~20 [2007]
  • “이질감과 친근감 : 상호문화성의 양면성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0
    박인철 한국현상학회, pp. 67~117 [2011]
  • “이제 상호문화(interculturality)도 말해 보자”
    주광순 「철학과현실」92호, 철학문화연구소 [2012]
  •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에 관한 다각적 검토”
    이승연 「이중언어학」 제55호, 이중언어학회, pp. 219~247 [2014]
  • “영상문학의 현실과 생태학적 국어교육”
    송희복 「한국초등국어교육」Vol.-No.2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 177~194 [2003]
  • “세계화시대의 문화정체성 문제”
    홍경자 「해석학연구」 18, 한국해석학회, pp.159~183 [2006]
  • “상호문화성의 현상학: 문화중심주의를 넘어 상호문화성으로”
    최재식 「철학과 현상학 연구」30, 한국현상학회, pp. 1~30 [2006]
  • “상호문화성의 연출과 탐색 -한독 문학작품과 영화-”
    김숙희 「뷔히너와 현대문학」 31, 한국뷔히너학회, pp.173~201 [2008]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ㆍ장ㆍ자본의 상호형성 메커니즘 - 이론적 고찰과 경험적 연구의 활성화 방안”
    이성회 「교육사회학연구」23-2, 한국교육사회학, pp.151~171 [2013]
  • “미디어 문식성을 반영한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박인기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0년도 학술연구보고서」, 한국교원대학교 [2000]
  • “미국 초등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조미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사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기호 교육 방안”
    박정미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교육과정연구> 26권4호
    정혜승 한국교육과정학회, pp.149~172 [2008]
  • “로컬리티와 다문화의 대화성 : 자기서사 구성하기”
    문재원 「인문연구 」71,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35~66 [2014]
  • “독일의 상호문화성 정책의 논거들”
    김화임 「독일교육」 51,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pp. 455~476 [2011]
  • “독문학 : 이민문학과 상호문화성 교육 - 불라디미르 카미너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최윤영 「독어교육」 36권0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pp.393~417 [2006]
  • “다문화주의 관점에서의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
    이지은 「청소년문화포럼」18,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pp.21~56 [2008]
  • “다문화적 소통 맥락에서의 상호문화성에 대한 기능적 역할 재고”
    국제한국어교육학회년 10월 18일) 제42차 학술대회 발표문의 내용 참조 [2014]
  • “다문화사회의 (한)국어 수업: 다문화시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자료”
    권순희 「국어교육학연구」38, 국어교육학회, pp.33~70 [2010]
  •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국어 능력의 개념 탐색-상호문 화적 소통을 이론적 근간으로”
    김규훈 김혜숙 「국어교육」144, 한국어교육학회,pp.307~340 [2014]
  • “다문화교육을 위한 콘텐츠의 개발과 교사교육의 방향”
    김중순 「국언어문화학」 7-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81~116 [2010]
  • “다문화교육을 위한 문학 제재 선정 원리 탐색”
    김미혜 「한국언어문화학」7-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 23~46 [2010]
  • “다문화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현실과 방법론”
    윤여탁 「교육연구와 실천」 Vol.75,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pp.91~94 [2009]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학습경험에 따른 정체성 구성에 관한 연구”
    손민호 조현영 「교육문화연구」 19(3),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pp.141~173 [2013]
  • “다문화 사회에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문학과 언어」Vol.33 No.-
    정수진 한국문화융합학회, pp. 31~51 [2011]
  •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박인기 「국어교육학연구」 37, 국어교육학회 pp.137~158 [2010]
  • “국어과 창의, 인성교육의 실행 원리 탐색:국어과 핵심역량의 개념화를 바탕으로”
    김규훈 김혜숙 「국어교육」144, 한국어교육학회,pp.409~448 [2013]
  • “국어 교육과 교과 교육 : 국어교육과 타 교과교육의 상호성”
    박인기 「국어교육」 Vol-No.120, 한국어교육학회, pp.1~30 [2006]
  • “교육에 대한 철학적 연구 방법”
    허보영 「最高管理者課程論文集」 Vol.15 No.-,慶尙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pp. 159~170 [1999]
  • “경계와 상호문화성:상호문화 철학의 기본 과제”
    최현덕 「코키토」 66, 부산대학교인문학연구소, pp.301~329 [2009]
  • “『삼국유사』의 설화를 통해 본 <토착-외래>의 관계 유형”
    박진태 「국어교육」134, 한국어교육학회, pp.243~265 [2011]
  •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현직 국어 교사들의 인식
    최영인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pp.523~561 [2012]
  • www
    교육부 moe.go.kr
  • West, R. & Turner, L.(2007), Introducing Communication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 Boston: McGraw Hill.
  • UNESCO(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10 December, http://www.un.org/en/documents/udhr.
  • Theodorson, S. & Theodorson, A.(1969), A modern dictionary of sociology, New York: Cassell.
  • Simmel, G.(1950), The stranger.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9, pp.499~507.
  • Samovar & Richard E. Porter,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Fifth Edition, 정현숙 외 옮김(2007),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Larry A.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Peter Adler(1972), Culture shock and the crosscultural learning experience, Reading in Intercultural Education(12), Pittsburgh: Intercultural Communication Network.
  • Oberg., K.(1960), Cultural shock : Adjustment to new cultural environment. Practical Anthropology, 7, pp.177~182.
  • Newcomb, T.(1996), An Approach to the study of Communicative Acts. In A. Smith(Ed.), Communication and Culture,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pp.66~79.
  • Moran, Teaching Culture : perspectives in practice, 정동빈 외 공역(2004), 『문화교육』
    Patric R. 경문사 [2001]
  • McQuail, D.(1975), Communication, London: Longman.
  • McClelland, D.C.(1993), Introduction : In L. M. Spencer & S. M. Spencer(1993), Competence at work,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 McClelland, D.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pp.1~14.
  • Marysia Johnson, (A)philosoph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김 희숙 문은주 옮김(2011), 『외국어 습득 원리의 이해-비고츠키의 사 회문화론과 언어습득』
    한국문화사 [2003]
  •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 the extensions of man. (2nd ed), 박정규 옮김(2001),『맥루한 1, 미디어의 이해-인간의 확 장』
    커뮤니케이션북스 [1964]
  • Mall , 김정현 엮음, 주광순 외 옮김(2010),『상호철학의 논리와 실천』
    Claudia Bickmann R. A 시와 진실 [2010]
  • L’homme Nomade, 이효숙 옮김(2005), 『호모 노마드-유목하는 인간』
    Jacques Attali 웅진 지식하우스 [2003]
  • Luhmann, N.(1995), Social Systems, Califonia : Stanford University Press.
  • Klineberg, O. & Hull, W. F.(1979), At a foreign university: An international study of adaptation and coping. New York: praeger.
  • Joshua Meyrowitz(1993), Image of Media : Hidden Ferment and Harmony in the Field, Journal of Communication 43(3).
  • Jonassen, D. H.(1991), Evaluating constructivistic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31(9), pp.28~33.
  • Johnson & Frank P. Johnson,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Eighth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박인우 외(2004), 협동학습을 위한 참여적 학습자
    David W. 아카데미프레스 [2003]
  • John Fiske,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Routledge, 강태완 김선남 옮김(2001),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1990]
  • James A. Banks,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4th ed, 모경환 외 역(2008), 『다문화교육 입문』
    서울:아카데미프레스 [2008]
  • James A. Banks(2006), Cultural diversity and education: Foundation, curriculum, and teaching. Peason Education, Inc.
  • James A. Banks(1993b), Multicultu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goals. In J.A. Banks & C. A. M. Banks(eds),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pp. 3-28). Boston: Allyn and Bacon.
  • J.G. 헤르더의 '민족Nation' 개념 이해
    김완균 「독어교육」 39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pp.183~207 [2007]
  • J. Luckman, Transcultural Communication in Nursing, New York: Delmar Publishers, 1999(66).
  • Hoben. J.(1954), English communication at Colgate re-examined, Journal of Communication, 4, pp. 76~86.
  • Hanvey, R. G.(1976), An Attainable Global Perspective from The American Forum for Global Education, 2004, New York.
  • H. Douglas Brown,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Third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권오량 김영숙 옮김(2008), 『원리에 의한 교수: 언어교육에의 상호작용적 접근법(제3판)』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7]
  • H. Douglas Brown,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Fifth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이흥수 외 옮김(2007),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제5판-』
    (주)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07]
  • H. Douglas Brown(1994),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Gutierrez, A. R.(2001), Historical and social science research on Mexican Americans. In A. J. Banks & M. C. Banks(Eds),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pp.203-202). CA: Jossy-Bass, Inc. Publishers.
  • Grant, L.(1993), Race and schooling of young girls. In J. Wrigley(ed.),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pp. 91-114), London: Falmer Press.
  • Gerlach, Luther, P. & Virginia, H. Hine.(1973), Lifeway Leap, Minneapolis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Ernst von Glasersfelt(1996), Introduction of Constructivism,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Newyork and london.: Columbia University).
  • Eli Hinkel, Culture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김덕영 옮김(2009), 『문화와 제2언어 교수 학습』
    한국문화사 [1999]
  • EBS 한국교육방송공사 www
    ebs.co.kr
  • Dipinto, V. M. & Turner, S. V.(1997), Students and teacher as Co-conspiratorsin learning,. Retrieved 2009, May 10 from 1997/dipinto_sp97.pdf.
  • Dewey, J.(1958), Experience and natur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Original work published 1925 )
  • Dewey, J.(1911), Development MW, Vol.6, pp.420~422.
  • Derry, S., & Lesgold, A.(1996), Toward a situated social practice model for instructional design, In D.C Berliner & R.C. Calfee(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NY: Macmillan.
  • Dalgano, B.(1998), Choosing leaner activities for specific learning outcomes: A tool for constructivist computer assisted learning design. In C. McBeath&R. Atkinson (Eds.), Planning for Progress, Partnership and Profit: Proceedings EdTech’98. Perth: Australi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 Cultur Theorie~1918), 김덕영 배정희 옮김(2007), 『게오르그 짐멜의 문화이론』
    Georg Simmel 도서출판 길 [1900]
  •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Fosnot, Catherine Twomey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조부경 외 역(2006),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양서원 [1996]
  • Church. A. T.(1982), Sojourner adjustment, Psychological Bulletin, 36, pp.631~639.
  • Christian Salmon, La machine fabriquer des histoires et formater les esprits, Editions La D couverte, 류은영 옮김(2010), 『스토리텔링 : 이야기를 만들어 정신을 포맷하는 장치』
    현실문화 [2008]
  • Catherine Twomey Fosnot(1996), Constructivism: A Psychological Theory of Learning, Catherine Twomey Fosnot(ed),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Newyork and london.: Columbia University).
  • Bruffee, K.A.(1995), Sharing our toys: Cooperative learning versus collaborative learning. Change 27(1), pp.12~18.
  • Brooks Peterson, Cultural Intelligence, 현대경제연구원 옮김(2006), 『문화지능』
    청림출판 [2004]
  • Benedict Anderson, Imagined communities :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윤형숙 역(2003),『상상의 공동체-민주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출판사 [2002]
  • Alfred Holzbrecher, Studium Kompakt: Interkulturelle P dagogik, 정기섭 오영훈 김영순 이문기 변경원 옮김(2014),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교사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북코리아 [2004]
  • Alexander, T. M.(1987). John Dewey's theory of art, experience, and nature : the horizons of feeling. Alban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