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상상력 학습에 기반한 시각적 문해력 함양 연구 : 대학교양 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경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상상력 학습에 기반한 시각적 문해력 함양 연구 : 대학교양 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maxin grene
  • 구성주의 예술교육
  • 대학 교양교육
  • 미술교육
  • 미적체험교육
  • 상상력 학습 (imaginative learning)
  •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 질적 사례연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17 1

0.0%

' 상상력 학습에 기반한 시각적 문해력 함양 연구 : 대학교양 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현상학적 자아에 기초한 학습자의미 재고에 따른 시각문화의 관계적이해 교육방안: 초등미술 교육중심으로
    박라미 미술교육논총, 20(1), 241-276 [2006]
  • 한해 6만 명이 대기오염으로 사망합니다
    http://www.jeski.org/bbs/board.php?bo_table=main 에서 2014년 1월10일 발췌 [2014]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창조적 에너지로 학교폭력을 넘어서다. 2012 문화예술교육 포럼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12]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http://eduup
    kcue.or.kr/eduhome/index.do 에서 2014년5월 16일 발췌 [2014]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http://konige
    kr/sub04_01.php 에서 2014년 5월 16일 발췌 [2014]
  • 프레이리의 생성적 교육과정 연구
    이흔정 한국교육학연구, 17(1), 82-97 [2011]
  • 질적연구설계: 상호 작용적 접근. (이명선, 김춘미, 고문희 역). 서울: 군자출판사
    Maxwell, J. A. (원저 2005 출판) [2009]
  •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조성남 서울: 그린출판사 [2011]
  • 질적사례연구
    고미영 서울: 청목 출판사 [2009]
  • 질적 연구의 최근 동향과 그 의미
    배은주 교육인류학연구, 11(2), 1-27 [2008]
  •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옮김). 서울: 학지사
    Creswell, J. W. (원 서출판 2007) [2010]
  •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조용환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존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이광준(티팟)
    이광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ighdee&logNo=42069247 에서 2014년 5월 10일 발췌 [2005]
  • 존 듀이(John Dewey)의 미학에서 "트랜스액션"(transaction)의 3중구조와 예술의 소재지(Locus)
    정순복 미학, 52, 339-372 [2007]
  • 조형예술의 기초교육을 위한 발상
    이정민 교양교육연구, 5(1), 135-169 [2011]
  •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발전방향
    주현재 교양교육연구, 7(4), 315-342 [2013]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과정 및 교과목 소개
    http://www.ewha.ac.kr/mbs/ewhakr/subview.jsp?id=ewhakr_050404010000에서 2014년 9월 20일 발췌 [2014]
  • 이성도 비주얼 리터러시의 미술교육적 접근: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의 제작과 활용을 중심으로
    박상돈 미술교육논총, 21(2),189-216 [2007]
  • 융합인재교육(STEAM)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 효과연구: 인포그래픽 동영상 만들기를 중심으로
    강인애 남미진 이재경 교육발전연구, 30(1), 19-40 [2014]
  • 유영만 자기생산(Autopoiesis) 관점에서 재해석한 예술교육 참여자의식 변화의 탐색적 연구: LCI(링컨센터 인스티튜트) 미적체험교육을 중심으로
    한지연 한국성인교육학회, 16(2), 111-146 [2013]
  • 우리나라 과학영재의 진로발달에 대한 질적 연구: 과학고등학교학생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이기순 이화여자 대학교 [2009]
  • 외국인들의 눈에는 한국인들도 유색인종입니다
    이제석 http://www.jeski.org/bbs/board.php?bo_table=tv 에서 2014년 1월 10일 발췌 [2014]
  •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강인애 (1998).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강인애 교육이론과 실천, 8(1), 23-49 [1997]
  • 예술작품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정신분석적 해석: 프로이드의 꿈 작업과 초현실주의 창조기법을 중심으로
    이창재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0(1), 35-61 [2008]
  •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백령 (역), 서울: 한길아트
    Bamford, A. (원저 2006년 출판) [2007]
  • 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예술과 지식의 문제: 존 듀이와 넬슨 굿맨을 중심으로
    김연희 미학예술학회, 25, 323-360 [2007]
  •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 인성교육
    미술교육논총, 32, 1-29 [2012]
  • 예술교육을 넘어서
    이동연 서울: 한길아트 [2008]
  •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적용 방안
    태진미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2010]
  • 영남대학교 기초교육대학 홈페이지
    http://cbs.yu.ac.kr/cbs/sub01_a.htm 에서2014년 8월 20일 발췌 [2014]
  • 연장대신 연필을
    http://www.jeski.org/bbs/board.php?bo_table=commercial에서 2014년 1월 10일 발췌 [2014]
  • 연세대학교 기초교양교육의 목적 및 교과목 개설
    http://www.yonsei.ac.kr/contents/sinuniv/sunivintro1.html 에서 2014년 8월 20일 발췌 [2014]
  • 심미적 체험 중심 고등학교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건국대학교
    윤종영 박사학위 논문 [2013]
  • 시각적문해력을 통해서 본 실험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워렌 레러의 실험 서적을 중심으로
    김지원 기초조형학연구, 14(5), 123-133 [2013]
  •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김정선 미술교육논총, 18(3), 29-44 [2004]
  • 시각적 문해력의 발견적 개념으로서의 재인식: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미술과 교육, 14(1), 43-71
  • 시각적 문해 활동이 아동의 시각적 문해력과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이창호 경북대학교 [2012]
  • 시각문화활동기반 수업의 교수설계원칙 및 학습효과: 대학 교직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육지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 시각문화의 미학
    김진엽 예술문화연구, 11(1), 191-206 [2001]
  • 숲속에서
    http://www.leewoolim.net 에서 년 1월 15일 발췌 [2014]
  • 숲길에서
    http://www.leewoolim.net 에서 2014년 1월 15일 발췌 [2008]
  • 선의미술, 그래픽 아트의 기원에 대한 고찰-관념적 추상기호를 중심으로
    오영재 한국영상학회, 8(3), 107-126 [2010]
  • 서울문화재단, 전미숙, 곽덕주, 최우정, 정연심 미적체험과 예술교육
    서울:이음 스토리 [2014]
  • 서울대학교 기초교양학부
    http://www.snu.ac.kr/basic-educationd 에서 2014년4월 15일 발췌 [2014]
  • 색채학(쉽게 이해하는)
    조현주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2]
  • 색채심리 마케팅
    채수명 서울; 국제출판사 [2002]
  • 새로운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시각문화교육의 가능성과 적용연구
    이지연 미술과 교육, 12(2), 61-78 [2011]
  •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교육
    손동현 교양교육연구, 1(1), 107-123 [2007]
  • 사립박물관협회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 기본교육프로그램 매뉴얼
    경기도: 사립박물관 협회 [2014]
  • 비판적사고 함양을 위한 시각문화 학습
    김지영 교양교육연구, 5(2), 39-57 [2011]
  • 미학사 Aesthetic; From Classical Greece to the Present. (이성훈
    Bearsley, M. C. 안원현 역) 서울: 이론과 실천(원저 1966년 출판) [1987]
  • 미적 태도, 미적 체험의 개념 이해와 미술교육적 논의
    이은적 조형교육,1, 189-209 [2003]
  • 미술대학 기초실기 교수활동에 반영된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요인. 박사학위논문
    최기호 서울대학교 [2012]
  • 미술교육에서 ‘visual literav’의 교육과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이해
    황연주 미술교육논총, 12(1), 183-197 [2001]
  • 미술교육과 문화
    김성숙 서울: 학지사 [2007]
  • 미술과 주도 융합인재교수 학습 계획안 개발 연구
    김해경 미술교육논총. 35,267-292 [2013]
  • 미술과 과학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과목 개발에서 미술 교육의 역할: 시각적 사고와 자기 표현
    신현경 미술교육논총, 18(1), 53-78 [2004]
  • 미술감상 수업 지도방안 연구
    김현주 기초조형학연구. 13(2). 171-181 [2012]
  • 미디아 리터러시(Media Literacy)교육: 비주얼(visual)리터러시, 텔레비전 리터러시, 컴퓨터 리터러시의 통합적 접근
    김영수 교육공학 연구, 3(1), 83-113 [1987]
  • 미국대학의 예술교양교육 사례
    김성희 김현철 이순종 열린지성, 31,http://oge.snu.ac.kr/site/func/view.htm?num=152&cate=curriculum에서 2014년 2월 5일 발췌 [2011]
  • 뮤지엄에서의 심미적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김수진 서울교육대학교 [2013]
  •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4(2), 1-27 [2001]
  •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에서 미적 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분석:지적, 정서적, 실천적 측면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설연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링컨센터 인스티튜트의 교육방법론 탐색
    박혜연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8, 79-99 [2013]
  • 이우림 http://www.leewoolim.net 에서 2014년 1월 15일 발췌 [2008]
  • 맥신 그린의 이론과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LCI를중심으로한 맥신 그린의 철학적 인식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노현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 마음으로 읽는 색채 심리. 서울: 미진사,백미현, 이희수 (2010). 링컨센터(LCI)의 교사 재교육에서 심미적 교육에 대한 고찰
    백낙선 문화예술교육연구, 5(3), 127-158 [2010]
  • 디즈니: 순수함과 거짓말. 성기완 역
    Giroux, H. 서울: 아침이슬 [2003]
  •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시각적 문해력 신장 프로그램구안
    김미수 이재경 한국열린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 103-108 [2013]
  • 대학혁신: 7대 유형별 전략
    류지성 서울:삼성경제연구소 [2006]
  • 대학은 오랜 시간 활용 할 수 있는 지식을 배우는 곳 대학교육 양질의 교양수업에서 답을 찾아야. 바이트, 2014
    손동현 4월 http://www.i-bait.com/search.php 에서 발췌 [2014]
  • 대학교육협의회 http://www
    kcue.or.kr/ 에서 2014년 6월 15일 발췌 [2014]
  • 대학교육에서 ‘교양’이란 무엇인가. 한겨례 오피니언. 2014년 5월 9일,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25105.html에서 2014
    도정일 8월 20일발췌 [2014]
  • 대학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
    김형숙 미술교육논총,24(1), 51-92 [2010]
  • 대학교육 혁신에 대한 체제적 사고: 학습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박수홍 교육사상연구, 19, 1-16 [2007]
  • 대학교양교육의 흐름과 발전방안: 전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순임 김현정 서명희 이효성 교양교육연구, 7(1), 11-39 [2013]
  • 대학교양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강창동 한국교육학연구, 18(2), 83-107 [2012]
  • 대학 교양과목 수업에서 음악테크놀로지 기반학습이 감성의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강인애 김은진 감성과학, 14(4), 513-524 [2011]
  • 다문화 교육으로서 음악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
    민경훈 예술교육연구, 7(1),93-111 [2009]
  • 기독교 청소년 교회교육을 위한 스마트 PBL 사례연구. 박사학위논문
    남선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김영천 이용숙 서울: 교육과학사 [2008]
  • 교육에 있어서 사례연구의 중요성
    박수연 교육과학연구. 26, 197-215 [1997]
  •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주요업무 계획발표
    http://www.mest.go.kr/web/38575/ko/board/list.do?bbsId=272에서 발췌 [2011]
  • 교육과정의 정치학
    조영달 서울: 교육과학사 [2001]
  • 교양과정으로서의 디자인교육에 대한 방향성 탐구
    방경란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0(2), 105-114 [2012]
  •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홈페이지 소개 http://hc
    khu.ac.kr/v2/01/index.phpdptj 에서 발췌 [2014]
  • 경험중심의 시각문화교육: 프레이리의 문해력 교육이 주는 시사점
    백윤소 미술과 교육, 14(2), 81-99 [2013]
  • 경험적 예술론에 관한 예술교육의 담론과 시사
    오은혜 문화예술교육연구,8(1), 61-76 [2013]
  • 『질적연구방법론』
    김영천 서울 :문음사 [2006]
  • [20세기를 다시 살피다](9) 억눌린 자를 위한 ‘의식화 교재’
    심성보 경향신문2004년 11월 19일. http://www.khan.co.kr/ 에서 발췌 [2004]
  • Yenawine, P. (2003). Jump Starting Visual Literacy: Thoughts on Image Selection. Art Education, 56(1), 6-12.
  • Yeh, H. T., & Lohr, L. (2010). Towards Evidence of visual literacy: assess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visuals. J ournal of visual literacy, 29(2), 183-197.
  • Williams, T. L.(2007)."Reading"the painting: Exploring visual literacy in the primary grades. Reading Teacher, 60(7), 636-642.
  • Weitz, M. (1956).The Role of Theory in Aesthetics. The J 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pp.27-35. Retrieved April. 13. 2014 from, http://www2.hawaii.edu/~freeman/courses/phil330/24.%20The%20Role%20of% 20Theory%20in%20Aesthetics.pdf
  • Variations on a blue guitar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문승호(역)(원저 년 출판). 블루 기타 변주곡: 맥신 그린박사의 링컨 센터 인스티튜트 강의록. 서울: 다빈치 [2001]
  • The educated imagination
    Frye, N.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이상우 역(원저 1964년 출판). 문학의 원형. 서울: 명지대학교 출판부 [1992]
  • The University : An Owner's Manual. 이형행역(1996). 대학, 갈등과 선택
    Rosovsky H.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990]
  • Technology forresting or corporate foresight?
    박용태 TM alive, 4, 2-9 [2013]
  • Taliaferro, D. M. (1998). In W. F. Pinar (ed.) The Passionate Mind of Maxine Greene: ‘I Am Not Yet (pp.89-98). Bristol, PA: Falmer Press, Taylor & Francis Inc.
  • Sturken, M. & Cartwright, L. (2001).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 sual cultu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April. 13. 2014 from, http://www.ise.virginia.edu/syllabi/F12/Chavez_ANTH3590Reading Images. pd.
  • Smith, R. A. (2004). Aesthetic education: Questions and issues. Handbook of res earch and policy in art education. 163-186.
  • Smith, R. A. (1968). Aesthetic criticism: The method of aesthetic education. Stud ies in Art education. 9(3). 12-31.
  • Smith, R. A. (1966). Film appreciation as aesthetic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orum. 30(4). 483-489.
  • Smilan, C. & Miraglia, KM. (2009). Authentic Art Integration. Art Education, 39-45.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artstarts.com.previewmysite.com /assets/uploads/files/pdf/research_papers__studies/art_teachers_as_leaders_of_ authentic_aart_integration.pdf.
  • Siegesmund, R. (1998). Why do we teach art today? Art education, 39(3), 197-2 14.
  • Seels, B. A. (1994). Visual literacy: The definition problem. In D. M. Moore & F. M. Dwyer (Eds.), Visual literacy: A spectrum of visual learning (pp. 97–112).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 Rautins, C. & Ibrahim, A. (2011). Wide-Awakenes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imagination, humanism, agency, and becom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ritical Pedagogy, 3(3). 24-36.
  • Power of color. 색의 힘: 컬러의 의미와 상징
    Harald, B. (이재만 역) 서울: 일진사. http://vtshome.org/research/articles-other-readings [2010]
  • Petterson, R. (1993). Visual information (2nd ed.).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 Pedagogy of the freedom: Ethics, democracy and civic courage. 사람대사람 역(원저 1998년 출판). 자유의 교육학
    Freire, P. 서울: 아침이슬 [2007]
  • Pedagogy of the Oppressed. 남경태 역(원저 1970년 출판). 페다 고지
    Freire, P. 서울: 그린비 [2002]
  • PBL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특징. 박사학위논문
    김현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 Moriarty, S. E. (1997). A conceptualmap of visualcommunication. Journal of Visual Literacy, 17(2), 9-24.
  • Moon, S, Rose, S, Black, A, Black, J, Hwang, Y, Lynn, L & Memoli, J. (2013). Releasing the Social Imagination: Art,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Citizenship in Education, Scientific Education Research, 4(3), 223-233.
  • Miller S. (2011). Demythologizing reality TV: Critical implications as a New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Critical Pedagogy, 3(3), 135-152.
  • Millard, E. & Marsh, J. (2001). Words with pictures: The role of visual literacy in writing and its implication for schooling. Reading literacy and languag e. 54-61. Retrieved May. 26. 2014 from, http://www.sbac.edu/~werned/D ATA/Brain%20research%20class/words%20with%20pictures.pdf.
  • Merrill, D. (1992). Constructivism and instructional design. In T. Duffy & D. Jon assen(Eds.).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A conversati on (pp. 99-11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 Martin, J. R. (1992). Critical thinking for a humane world. In S. P. Norris(Ed.), The generalizability of critical thinking: Multiple perspectives on an educa tional ideal.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Lofton. R (2010). A Curriculum of Possibilities: The Contributions of Maxine Greene, Exploring a Curriculum Theorist, 1-16.
  • Literacy: reading the word & the world. 허 준 역(원저 1987년 출판). 문해교육, 파울로 프레이리의 글 읽기와 세계 읽 기
    Freire, P. Macedo, D. P. 서울: 학이시습 [2014]
  • Lincoln Center Institute (2012). Entering the World of the Work of Art: A Guide for Designing an LCI Instructional Unit. Retrieved February 20, 2014, from http://www.casenex.com/ casenet/pages/virtualLibrary/ Readings/enteringTheWorldWorkofArt.pdf.
  • Lewis. J (2012). Pedagogy of the Imagination: Inventing New Forms of Peace Building and Social Justice, Peace Studies J ournal, 5(2), 1-3.
  •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 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 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박혜준, 이승연 역). 서울: 학 지사
    Seidman, E. (원저 2005 출판) [2009]
  • Housen, A. (2007). Art Viewing and Aesthetic Development: Designing for the Viewer. Visual Understanding in Education Visual Understanding in Education.
  • Holzer, M. F. (2007). Aesthetic education, inquiry, and the imagination. Retrieved March, 12, 2014, from http://www.imaginate.org.uk/wp-content/up loads/2013/01/Lincoln-Centre1.
  • Hirst, P. H. (1978). Liberal education. The encyclopedia of education, edited Mac kintosh, M., 2004, Images in geography: using hotographs, sketches and di agrams, in Scoffham, S.(ed.), Primary geography handbook, geographical a ssociation, sheffield, UK, 121-133. by L. C. Deighton; The Macmillan Co. & The Free Press.
  • Heath. G. (2008), Exploring the Imagination to Establish Frameworks for Learning, Stud Philos Educ, 27, 115-123.
  •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 Bass.
  • Greene, M.(1977). Toward Wide-Awakeness: An Argument for the Arts and Hu manities in Education. The Humanities and the curriculum, 79(1), 119-125.
  • Graham. A.(2009). The power of art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international stories project. Multicultural perspectives, 11(3), 155-161.
  • Gibson, M. A., & Larson, M. A. (2008). Journal for learning through the arts: A reasearch journal on integration in school and communites. visual arts and academic achivement, 3(1), 1-41.
  • Freedman (2000). “Socaial Perspectives on Art Education in the U.S.: Teaching Visual Culture in a Democracy”.Studies in Art Education 41(4), 314-329.
  • Fosnot, C. T. (1996). Constructivism: A psychological theory of learning. In C. T. Fosnot (Ed.),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pp. 8-33). New York: Teachers College University.
  • Flood, A. (2004). Defining the visually literate individual. Australian art education, 27(1), 72-84.
  • Felten, P. (2008). Visual Literacy. Change, 11(12), 60-63.
  • Feldman, E. (1976). Visual literacy.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10(3-4), 195-200.
  • Eisner, E. (1976). Reading and the creation of meaning..Claremont Reading Conference, 40th Yearbook, 1, 1-15.
  • Egan, K. & Judson, G. (2008). Values and imagination in teaching: With a Special Focus on Social Studie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41(2), 126-140.
  • Duncum, P. (2002). Clarify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rt education, 55(3), 6-11.
  • Duncan-Andrade, J. (2004). Your best friend or your worst enemy: Youth popular culture, pedagogy, and curriculum in urban classroom. The review of education, pedagogy, and cultural Studies, 26, 313-337.
  • Duffy, T. M. & Jonassen, D. H. (1992).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A conversation. Hi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Dondis, D. A. (1973). A primer of visual literacy, Cambridge: MIT Press.
  • Denzin, N. K. (1970). The Rees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ation to Sociological Methods, Chicago: Aldine.
  • Debes, J. L., & Williams, C. M. (1978). Visual literacy, languag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Center for Visual Literacy.
  • Debes, J. L. (1969). The loom of visual literacy. Audiovisual Instruction,14(8),25-27.
  • Debes, J. (1968). Some foundations of visual literacy. Audio visual instruction, 13, 961-964.
  • DeMoss, K., & Morris, T. (2002). How arts integration supports student learning: Students shed light on the connections, Arts intergration and learning, 1-25.
  • Clark-Baca, J. & Braden, R. (1991). Toward a conceptual map for visual literacy construcs. In D. G. Beauchamp, J. Clark-Baca, & R. A. Braden(Eds.), Investigating of visual literacy, 151-161. Rochester, NY: IVLA.
  •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 A Qualitative Approach. SF: Jossey-Bass Publishers. 허미화 역(원저 1988년 출판). 질적 사례 연구법
    Merriam, S. B. 서울: 양서원 [1994]
  • Callow, J. (2008). Show me: Principles for assessing Students 'Visual literacy. T he reading teacher, 61(8), 616-626.
  • Cairney H. (1995). Pathway to literacy. Cassell Wellington house, N.Y.
  • CSCL에서 협력적 성찰지원 도구의 효과 분석. 한양대학교
    이승희 박사학위 논문 [2002]
  • Brill, J. M. & Kim, D. (2007). Visual literacy defined-the results of a Delphi study: can IVLA (operationally) define visual literacy? Journal of Visual L iteracy, 27(1), 47-60. May 18. 2014 from, http://www.ohio.edu/visualliteracy/JVLISS UEARCHIVES/JVL27(1)/27_1_Brill_Kim_Branch. pdf.
  • Both, E. (2003). Seeking Definition: What is a Teaching Artist? Teaching Artist journal, 1(1). 5-12.
  • Bose, J. H. (2008). Aesthetic education: Philosophy and teaching artist practice at Lincoln Center Institute.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Dissertation of Doctor of Phlosophy.
  • Bamford, A. (2003). The visual literacy white paper. Adobe Systems Incorporated. Retrieved August. 16. 2014 from, http://wwwimages.adobe.com/content/ dam/Adobe/en/education/pdfs/visual-literacy-wp.pdf.
  • Bal, M. (2003). Visual essentialism and the object of visual culture. Journal of visual culture, 2(5), 5-32.
  • Avgerinou, M., & Ericson, J. (1997). A Review of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4), 280-291.
  • Avgerinou, M. (2007). Towards a visual literacy index. Journal of visual literacy, 27(1). 29-46.
  • Ausburn, L., & Ausburn, F. (1978). Visual literacy: Background, theory and Practice. PLET, 15(4), 291-297.
  • Association of College & Research Libraries (2011). Visual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Retrieved August. 20. 2013 Form http://www.ala.org/acrl/standards/visualliteracy.
  • Art as experience. New York: Minton. 이재언(역) (원저 1937년 출판). 존 듀 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Dewey, J. 서울: 책세상 [2003]
  • Ando kyoichiro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한국STEAM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상의 검토
    김정효 미술교육논총. 27(1),123-152 [2013]
  • Anderson, T. (2003). Roots, reasons, and structure: Fram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education, 1(3), 5-44.
  • Allsup. E. (2003). Praxis and the Possible Thoughts on the Writings of Maxine Greene and Paulo Freir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Review, 11(2), 157-169.
  • Abowitz, K. K. (2007). Moral perception through aesthetics engaging imagination s in educational ethics, 58(4), 287-298.
  • Abeles, H., Burton, J. M., & Horowitz, R. (2000). Learning in and through the arts: The question of transfer. Studies in Art Education, 41(3), 228-257.
  • Toward a playful pedagogy: Popular culture and the pleasures of transgression. Studies in Art Education, 50(3), 232-244.
  • The loom of visual literacy, Audiovisual instruction 14 (8): 25 -27.
  •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105(2), 19-25.
  • Releasing the imagination: Essays on education, the arts, and social change.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Retrieved August. 26. 2014 from, http://criticalperspectives2.wikispaces.com/file /view/Releasing+the+Imagination+Intro+%26+Ch+1.pdf.
  • In W. F. Pinar (ed.) The Passionate Mind of Maxine Greene: ‘I Am Not Yet (pp.256-257). Bristol, PA: Falmer Press, Taylor & Francis Inc.
  • Imagination, community and the school. The review of educatio, 15, 223-231.
  • Imagination and the Healing Arts, Retrieved August. 26. 2014 from, https://maxinegreene.org/uploads/library/imagination_ha.pdf.
  • Aesthetic literacy in general education. Philosophy and Educati on. 80th Year 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 rt. 1.
  • Aesthetic Education, Inquiry, and the Imagination. Retrieved February 20, 2014, from http://www.imaginate.org.uk/wp-content /uploads/2013/01/Lincoln-Centre1.pdf .
  •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rts;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 and practice. chapter 7. 110-131. Maxine Greene, Catherine Twomey Fos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