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강현

년도별 발표논문

검색결과
제목 활용도 공유도 영향력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예측시 직무열의의 중요성
신강현 오인수 한국심리학회[2004]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정서표현규칙이 직무열의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감시의 조절효과
백승근 이종현 원정선 신강현 한국심리학회[2008]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조직의 정서 표현규칙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노동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완석 한영석 유지훈 신강현 백승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2010]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개인-직무 부합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LMX의 조 절효과
신강현 허창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2012]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관계: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김완석 한영석 신강현 김원형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2008]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서비스 장면에서 감정이입(정서전염, 공감배려)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신강현 허창구 조중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2013]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관련 태도에미치는 영향:개인적 성취감의 매개효과
노혜미 유태용 신강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2007]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정서노동 예측 시 성격 5 요인과직무환경변수의 역할: 미국 호텔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김재연 허창구 이랑 신강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2006]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자율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김원형 허창구 이종현 신강현 한국건강심리학회[2007]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 모델에서정서노동전략의 역할-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김완석 이랑 신강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2006]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 소직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신강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2003]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정서 노동이 직무 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율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원형 신강현 한국경영학회[2008]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소진척도(MBI_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신강현 [2003]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개인, 직무 부합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LMX의 조절효과
신강현 허창구 한국심리학회[2012]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정서노동 예측시 성격 5요인과 직무환경변수의 역할
김재연 허창구 이랑 신강현 한국심리학회[2006]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 관계,
김완석 한영석 신강현 김원형 한국심리학회[2008]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산업 및 조직 심리학회: 학술발표 2;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예측시 직무열의의 중요성
신강현 오인수 한국심리학회[2004]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서비스직 종업원의 정서노동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된 조절 효과 검증: 스트레스 교류모형과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 로”
백승근 허창구 신강현 한국심리학회[2011]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Job engagementand job burnoutin a South Korean sample
신강현 Kansas State University[2003]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서비스 장면에서 감정이입(정서전염,공 감배려)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신강현 허창구 조중연 한국심리학회[2013]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강현 허창구 이철희 [2012]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 구성개념을 중심으로
신강현 [2004]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 : 구성개념을 중심으로
신강현 [2004] Google Scholar네이버 전문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