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분야 : 초등학생 무용참여자의 집단따돌림 경험과 교우관계의 의사소통 및 지각된 소외감 간의 관계

논문상세정보
' 사회과학분야 : 초등학생 무용참여자의 집단따돌림 경험과 교우관계의 의사소통 및 지각된 소외감 간의 관계'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mmunicationandasenseofisolation
  • dancing
  • group bullying
  • perpetration
  • victimization
  • 가해
  • 무용
  • 소외감
  • 의사소통
  • 집단따돌림
  • 피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60 0

0.0%

' 사회과학분야 : 초등학생 무용참여자의 집단따돌림 경험과 교우관계의 의사소통 및 지각된 소외감 간의 관계' 의 참고문헌

  • 학업성취와 애착유형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강승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학생들의 집단괴롭힘 관련경험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탐색: 초・중・고등학생간 비교를중심으로
    김혜원 한국교육심리학회 15 (1) : 183 ~ 210 [2001]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2013). 법률 제11690호, 2013.3.23, 타법개정. 제2조 “학교폭력”의 정의 개정
    [2013]
  •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병 실태 조사
    신성웅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 (1) : 124 ~ 143 [2000]
  • 학교폭력 실태조사 현황 및 개선방안: 조사 참여율 제고 및 결과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3 ~
  • 학교내 집단괴롭힘에 대한 일 연구 : 실태 및 피해-가해의 중첩성을 중심으로
    황성숙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 초중고 사이버폭력 증가: 피해학생 스트레스 ‘최악’
  •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유형에 따른 애착관계와 교우관계기술의 차이
    표내숙 교과교육학연구 12 (3) : 815 ~ 835 [2008]
  • 초등학생의 왕따(집단 따돌림 및 괴롭힘)현상에 관한 연구 : 98 ~ 109
    박경숙 [1998]
  •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사회성의 관계
    최은숙 한국교원대학교 [1999]
  • 초등학생의 생활무용 몰입경험과 또래애착 및 집단따돌림 경험의 관계
    현선희 한국체육학회지 46 (1) : 153 ~ 165 [2007]
  • 초등학생의 과외 자율 스포츠활동참가가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의권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 (2) : 191 ~ 201 [2003]
  • 초등학생의 가정폭력경험과 자아탄력성이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정성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초등학생들의 집단따돌림 경험과 자기능력지각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김강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초등학교 체육교과영역 중 무용교육에 관한 고찰
    한진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박사
  •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의 관계
    황경미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소정 성균관대학교 [2004]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따돌림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박미경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초등학교 고학년 또래집단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소외현상
    송주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체육활동이 아동의 집단따돌림과 외톨이 증후에 미치는 영향
    정기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박사
  •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자살생각에 있어서 생활체육참가의 긍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
    남승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0 (3) : 403 ~ 423 [2007]
  • 박사
  • 청소년의 스포츠참가와 또래관계 및 일탈행동의 관계
    서희진 한국체육학회지 42 (3) : 143 ~ 152 [2003]
  • 박사
  • 청소년들의 스포츠 참여가 집단따돌림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윤필규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5]
  • 집단따돌림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유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무용전공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과 무용연습량 연구
    강미선 한국체육학회지 43 (3) : 77 ~ 86 [2004]
  • 집단따돌림 지속의 결정요인 - 피해 아동의 대처 방식, 사회적지지 및 자아개념을
    손향숙 청소년학연구 12 (3) : 223 ~ 244 [2005]
  •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 지지
    이춘재 한국심리학회지 13 (1) : 65 ~ 80 [2000]
  • 집단괴롭힘의 가해와 피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변인들
    김혜원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14 (1) : 45 ~ 64 [2000]
  • 집단 따돌림의 발달적 변화와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조아미 청소년시설환경 5 (3) : 37 ~ 47 [2007]
  •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 아동의 관련 변인 분석 - 부모의 양육 행동과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
    박진영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0 (1) : 45 ~ 67 [2011]
  • 중․고등학교 댄스스포츠전공 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이 인지적 유연성과 또래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박지원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9 (1) : 79 ~ 91 [2013]
  • 유형별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발생원인의 비교: 사회관계모형 분석
    이경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5 (1) : 23 ~ 45 [2006]
  • 박사
  • 어린이와 청소년의 운동참여 행동 이해
    유생열 코칭능력개발지 4 (1) : 20 ~ 32 [2002]
  • 아마추어 골퍼들의 불안과 자신감 규준 개발
    김원배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6 (2) : 1 ~ 18 [2005]
  • 박사
  • 사회적 기술향상 집단상담이 아동의 공감능력, 자기노출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곽경련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사회문제와 심리학
    이훈구 법문사 민중서림 [2000]
  • 부모양육태도 및 아동학대피해와 집단따돌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저소득 지역의 중·고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김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 부모-자녀 관계, 자녀의 성숙도와 집단따돌림 피해정도간의 관계
    유지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 범인은 ‘괴물’아니었지만: 20명중 1명만 “친한친구 있다”
  • 방과후 조직적 체육활동이 초등학생 집단따돌림(왕따) 감소효과 분석
    손준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 (1) : 119 ~ 129 [2001]
  • 박사
  • 박사
  •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구본용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7]
  • 늘어나는 가출 청소년: 거리로 나오는 이유는
  • 낮엔 교실서 밤엔 카톡으로: 집단 욕설에 삶이 무너졌다
  • 구조방정식모델 : 개념과 이해
    우종필 한나래 아카데미 [2012]
  • 교우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예방에 미치는 효과
    홍기칠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7 : 169 ~ 209 [2002]
  • 고등학생의 스포츠참가와 소외 및 비행과의 관계
    강정호 한국체육학회지 42 (2) : 67 ~ 82 [2003]
  • 가족기능의 상실과 집단따돌림의 가해피해와의 관계
    김선애 지성과 창조 (10) : 221 ~ 244 [2007]
  • 舞踊藝術과 舞踊敎育이 人間形成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연구
    孫英埰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1]
  • ‘친구’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집단 따돌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정
    유승희 한국초등교육 23 (1) : 51 ~ 73 [2012]
  • ‘집단 따돌림’ 초등학생이 학교에 불질러
  • The social skills problems of victims of bullying : self, peer and teacher perceptions
    Fox ClaireL. Th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 (2) : 313 ~ 328 [2005]
  • The relationship of peer victimization to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in adolescence
    Storch, E. A. Child Study Journal 33 : 1 ~ 18 [2003]
  •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
    Olweus, 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315 ~ 341 [1992]
  • Self-esteem and its relationship to bullying behaviour
    O'Moore, M. Aggressive Behavior 27 : 269 ~ 283 [2001]
  •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방법
    성태제 21세기사 [2012]
  • SNS 범죄에 멍드는 한국사회-(3) “폭력보다 무서운 SNS 속 왕따”: 사이버불링에 떠는 청소년들
  •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among children involved in bullying
    Kumpulainen, K. Aggressive Behavior 27 : 102 ~ 110 [2001]
  • Parent/Child Concordance aboty Bullying Involvement and Family Characteristics Related to Bullying Peer Victimization
    Holt MelissaK. Journal of school violence 8 (1) : 42 ~ 63 [2009]
  •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Hair, J. F. Jr. Macmillam Publishing Company [2006]
  •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Coie, j. D. John Wiley & Sons [1998]
  • False confessions and individual differences : The importance of Victimization among youth
    Gisil H. 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 : 801 ~ 805 [2008]
  • Bullying in school :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Lane, D. A. School Psychology Today 5 : 54 ~ 57 [1989]
  •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Olweus, 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 (7) : 1171 ~ 1190 [1994]
  •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김계수 한나래 아카데미 [2008]
  • Adolescent Bullying Involvement and perceived Family, Peer and school Relations :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cross Race/Ethnicity
    Spriggs, A. L.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ociety for adolescent Medicine 41 (3) : 283 ~ 293 [2007]
  • 2013 학교폭력 실태보고서
  • 2011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개발 연구-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