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시대에서의 이주법제의 방향에 관한 연구

논문상세정보
' 세계화시대에서의 이주법제의 방향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uslander
  • gesetzgebung
  • integration
  • migration
  • multiculturalismus
  • 다문화주의
  • 외국인
  • 이주
  • 입법
  • 통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23 0

0.0%

' 세계화시대에서의 이주법제의 방향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헌법학원론
    정종섭 박영사 [2012]
  • 헌법학
    성낙인 법문사 [2013]
  • 한국의 다문화연구의 현황
    전영준 다문화콘텐츠연구 (1)
  • 한국의 다문화가족지원법상 이주근로자와 그 가족의 기본권
    최경옥 공법학연구 12 (1) : 21 ~ 62 [2011]
  • 한국에서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권
    최경옥 공법학연구 13 (1) : 307 ~ 339 [2012]
  •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발전 방안 연구
    박종대 문화정책논총 28 (1) : 35 ~ 63 [2014]
  • 통일 전 독일연방공화국의 외국인 정책 - 장기적인 외국인 정책은 존재했는가?
    권형진 중앙사론 (36) : 363 ~ 416 [2012]
  • 출입국관리법상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에 대한 정책적 소고
    김종세 법과정책연구 13 (2) : 599 ~ 618 [2013]
  • 이주의 증가와 독일 이주민정책의 변화
    구춘권 국제.지역연구 21 (1) : 119 ~ 154 [2012]
  •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에이거(A.Ager)와 스트랭(A.Strang)의 사회통합 분석틀 적용
    이성순 사회과학연구 24 (3) : 161 ~ 185 [2013]
  • 외국인이주민의 사회통합 법제연구
    김정순 한국법제연구원 [2009]
  • 외국인근로자의 노동법적 지위 ― 단결활동에서의 제한과 차별금지를 중심으로 ―
    전윤구 노동법학 (42) : 249 ~ 277 [2012]
  • 사회통합 내지 공존을 위한 다문화가족법제 모색
    송오식 법학논총 33 (1) : 31 ~ 68 [2013]
  • 법률과 시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법률의 효력변화 -
    최윤철 토지공법연구 35 : 483 ~ 503 [2007]
  • 독일에 있어서의 “입법자의 법률개선의무”에 관한 논의
    崔潤哲 공법연구 31 (3) : 16 ~ 16 [2003]
  • 덴마크, 독일 그리고 한국의 사회통합프로그램 비교 연구
    김이천 독일언어문학 (57) : 159 ~ 185 [2012]
  • 대한민국 국적법의 현황과 문제점
    최윤철 일감법학 (17) : 3 ~ 35 [2010]
  • 다문화주의의 헌법적 수용에 관한 연구
    최윤철 공법연구 41 (2) : 1 ~ 31 [2012]
  •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전망 - 문화 형식(이해)의 변동을 중심으로
    최성환 철학탐구 24 : 287 ~ 310 [2008]
  • 다문화주의와 문화다양성 -다문화법제의 기본개념 분석-
    서윤호 일감법학 (23) : 283 ~ 321 [2012]
  • 다문화주의에서 시민통합으로: 네덜란드의 이민자 통합정책
    설동훈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 (1) : 207 ~ 238 [2013]
  • 다문화사회의 헌법적 가치와 규범인식
    김종세 법학연구 (45) : 1 ~ 21 [2012]
  • 다문화사회와 헌법
    김선택 헌법학연구 16 (2) : 1 ~ 41 [2010]
  • 다문화사회와 자유권적 기본권
    류시조 헌법학연구 16 (2) : 71 ~ 103 [2010]
  • 다문화사회와 인권법사상에 관한 연구
    문종욱 법학연구 (48) : 445 ~ 467 [2012]
  • 다문화사회와 사회적 기본권 - 헌법적 접근을 위한 시론 -
    전광석 헌법학연구 16 (2) : 105 ~ 146 [2010]
  •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입법적 대응 - 입법원칙을 바탕으로 -
    최윤철 저스티스 134 (2) : 273 ~ 297 [2013]
  •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김영란 한국사회 14 (1) : 3 ~ 30 [2013]
  • 다문화 시대 소수자의 ‘명칭’ 연구-결혼을 통해 이주한 여성 집단의 ‘명칭’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숙 한국학연구 (45) : 247 ~ 272 [2013]
  • 다문화 사회의 법제와 인권 패러다임
    송영현 법학연구 24 (1) : 43 ~ 77 [2013]
  • 귀화와 영주자격의 연결방안에 관한 연구: 영주권전치주의 도입과 관련하여
    송소영 입법학연구 (8) [2011]
  • 국제결혼중개업법에 관한 법적 규제
    이경희 한남법학연구 (창간)
  • 국민국가 속에서 국민의 자격-독일제국 성립부터 2차 대전의 패전까지-
    권형진 일감법학 (26) : 165 ~ 201 [2013]
  • 결혼 이민자를 위한 관련법의 비판적 고찰
    김영선 동아법학 (52) : 107 ~ 141 [2011]
  • 가족으로 들어온 한국의 “다문화주의” 실험
    양현아 저스티스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과정 개선 방안 : 독일 ‘통합과정’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박혜숙 인문학연구 (44) : 263 ~ 309 [2012]
  • Über Homogenitätspostulate und Integration
    Lübbe-Wolff, Gertrude Hohenheimer Tage zum Ausländerrecht 2010 : 19 ~ 30 [2011]
  • Multiculturalism
    Taylor, Charl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 Multicultural Citizenship
    Kymlicka, Will Oxford [1996]
  • Migrationsverwaltungsrecht
    Thym, Daniel Tübingen [2010]
  • Integration durch Recht
    Stadler Hohenheimer Tage zum Ausländerrecht 2010 : 31 ~ 45 [2011]
  • Global Migration Governance
    Betts, Alexander Oxford Press [2012]
  • Der Familienschutz im Spektrum des Ausländerrechts
    Welte, Hans-Peter Baden-Baden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