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및 해제 : 프로문학과 라디오드라마 -「항구의 하로밤」의 경우

논문상세정보
' 자료 및 해제 : 프로문학과 라디오드라마 -「항구의 하로밤」의 경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daptation
  • chongdaphoe
  • kimyosu
  • pakparyang
  • radio drama
  • 각색
  • 김여수
  • 라디오 드라마
  • 박팔양
  • 청답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04 0

0.0%

' 자료 및 해제 : 프로문학과 라디오드라마 -「항구의 하로밤」의 경우' 의 참고문헌

  • 항구의 하로밤
    김여수 여인 [1932]
  • 한국 근대 방송문예 연구
    서재길 서울대 [2007]
  • 진보적 여성 잡지의 지향과 좌절-1930년대 여성 잡지 『여인』
    서재길 근대서지 6 [2012]
  • 조선지광
  • 조선일보
    [1934]
  • 조선 무성영화의 활극성과 공연성에 대한 연구
    이순진 중앙대 [2009]
  • 조명희의 「낙동강」과 그 사상적 지반 ─낭만성의 기원
    이화진 국제어문 57 (57) : 253 ~ 277 [2013]
  • 조명희의 삶과 문학, 낭만성과 혁명성
    이정숙 국제한인문학연구 4 [2007]
  • 조명희 문학과 아나키즘 체험
    김흥식 어문논집 26 [1998]
  • 정지용 시 126편 다시읽기
    권영민 민음사 [2004]
  •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채트먼, 시모어 민음사 [1990]
  • 연극원론
    테니슨, G.B. 현대미학사 [1996]
  • 식민지 극장의 무성 영화 관람성(audienceship) - 청각장(場)의 문제를 중심으로
    백문임 한국언어문화 38 (38) : 43 ~ 68 [2009]
  • 시대상
  • 삼천리
  • 사회적 신념과 추상적 계몽주의-박팔양의 『정열의 도시』론
    강진호 상허학보 3 [1996]
  • 별건곤
  • 방랑의 수부와 이국 계집아이
    박팔양 조선일보 [1929]
  • 박팔양의 두 얼굴과 그 표정
    최삼룡 세계한국어문학 5 [2011]
  • 박팔양 시선집
    유성호 현대문학 [2009]
  • 박사
  • 매일신보
    [1910]
  • 동아일보
    [1937]
  • 극예술
  • 朴八陽시연구
    송기련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4]
  • 朴八陽 文學 硏究
    康好正 한성대 [1999]
  • ラジオの時代
    竹山昭子 世界思想社 [2002]
  • 「우리 옵바의 화로」등 임화의 단편 서사시에 대한 일고찰
    김성숙 현대문학의 연구 1 (31) : 189 ~ 214 [2007]
  • ‘空氣’와 ‘演劇’-초기의 라디오 예술론에 관한 小考
    서재길 한국문화 38 (38) : 113 ~ 135 [2006]
  • Wireless Imagination : Sound, Radio, and the Avant-garde
    Cory, Mark E. The MIT Press [1994]
  • Race for Empire: Koreans as Japanese and Japanese as Americans during World War II
    Fujitani, Takashi California U. Press [2011]
  • Dual Broadcasting and Diglossi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o Jaekil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3 (2) : 173 ~ 194 [2010]
  • A Forgotten Aesthetic Reportage in Colonial Korea 1920s-1930s
    박선영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19 (2) : 35 ~ 69 [2011]
  • <아리랑 >과 할리우드
    김상민 사이間SAI 14 (14) : 265 ~ 300 [2013]
  • 1930년대 잡지시장의 변동과 잡지 『비판』의 대응 : 경쟁하는 잡지들, 확산되는 문학
    유석환 사이間SAI 6 (6) : 239 ~ 271 [2009]
  • 1920∼1930년대 경성의 미디어 공간과 인텔리겐치아: 최승일(崔承一)의 경우
    이상길 언론정보연구 47 (1) : 121 ~ 16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