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 소재 서사의 궤적과 이태준의 『황진이』

논문상세정보
' 황진이 소재 서사의 궤적과 이태준의 『황진이』'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hwang,jinee"
  • 1930년대
  • free will
  • narrative method
  • taejunleesnovel
  • third-personsperspective
  • writersconsciousness
  • 「황진이」
  • 고려
  • 신문 연재소설
  • 이태준
  • 자유의지
  • 조선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30 0

0.0%

' 황진이 소재 서사의 궤적과 이태준의 『황진이』' 의 참고문헌

  • 황진이의 양면성과 현대적 변용
    최동호 어문논집 18 [1977]
  • 황진이의 시에 나타난 만남의 실존주의교육학적 의미
    백승화 한국교육사상학회 학술논문집 48 [2010]
  • 황진이의 삶, 사랑(愛) 그리고 교육
    문미희 한국교육학연구 17 (1) : 57 ~ 81 [2011]
  • 황진이 재조명
    안남연 한국어문학연구 49 [2007]
  • 황진이 연구
    김용숙 창학사 [1985]
  • 황진이 시조에 나타난 표현기교의 고찰
    박철순 목멱어문 4 [1991]
  • 황진이 소재 역사소설의 사적 고찰
    장선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0]
  • 황진이 설화의 문학적 연구
    이동준 어문학 60 [1997]
  • 황진이 관련 자료
    장시광 동방학 3 [1997]
  • 황진이
    이태준 깊은샘 [1999]
  • 홍석중의 황진이 연구
    전현례 문예시학 17 [2006]
  • 현대영화가 ‘황진이’를 소환하고 재현하는 방식- <황진이 >(배창호, 1986)와 <황진이 >(장윤현, 2007)를 중심으로-
    이현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5 (15) : 93 ~ 122 [2007]
  • 해동염사 서
    차상찬 한성도서주식회사 [1942]
  • 한국신문사
    최준 일조각 [1960]
  • 한국소설사
    이재선 민음사 [2000]
  • 한국근대소설연구
    이주형 창작과비평사 [1995]
  • 추락한 민간신문
    홍랑 제일선 [1933]
  •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
    강동진 한길사 [1980]
  • 이태준의 정신적 문화주의
    김택호 월인 [2003]
  • 이태준의 『황진이』에 나타난 ‘고려’의 성격
    안미영 비교문학 (44) : 165 ~ 191 [2008]
  • 박사
    이태준의 <황진이 >연구
    이 건 祥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이호숙 깊은샘 [2004]
  • 이태준 신문연재소설 연구 : 독자 공감요소를 중심으로
    최소영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 이야기 문맥을 고려한 황진이 시조의 새로운 해석
    임주탁 우리말글 38 : 199 ~ 228 [2006]
  • 원작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묘사 차이에 따른 인물 캐릭터 이미지-영화 "황진이"와 드라마 "황진이" 비교를 중심으로
    신은영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4 (3) [2008]
  • 우리 문화 컨텐츠를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캐릭터 분석을 통한 국내 캐릭터의 문제점 극복을 위한 연구
    김시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 역사적 인물의 소설적 형상화
    이병렬 숭실어문 14 [1998]
  • 역사인물소설 창작방법론 서설 - 이태준의 장편소설 < <황진이 > >를 중심으로 -
    김탁환 한국언어문화 22 : 23 ~ 41 [2002]
  • 역사드라마의 장르와 유형변화
    주창윤 한국언어문화 (28) : 401 ~ 418 [2005]
  • 어우야담(於于野談)
  • 식민지의 적자들-조선적인 것과 한국 근대사의 굴절된 이면들
    공임순 푸른 역사 [2005]
  • 수촌만록(水村漫錄)
  • 송도인물지(松都人物志)
  • 송도기이(松都記異)
  • 소설 <황진이 > 연구 - 이태준, 홍석중, 전경린의 『황진이』를 대상으로 -
    명형대 한국문학논총 (50) : 471 ~ 500 [2008]
  •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
  •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김진 현실문화연구 [1999]
  • 상허문학독본 평론
    이태준 서음출판사 [1988]
  • 살아 있는 신화, 황진이
    김경연 대훈 [2006]
  • 살아 있는 신화 황진이
    김종회 대훈 [2006]
  • 북한의 문화와 예술
    박태상 깊은샘 [2004]
  • 문장강화
    이태준 창작과비평사 [2004]
  • 드라마 <황진이 > 의 대중코드 읽기
    신선원 민족문화연구소 35 [2007]
  • 남북한 역사소설의 거리-『황진이』를 중심으로
    황국명 한국학논집 32 [2005]
  • 남북한 문학 속에 투영된 여성미 비교고찰 - 김탁환의 나, 황진이와홍석중의 황진이를 중심으로
    전명희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15 (2) : 217 ~ 244 [2007]
  • 금계필담(錦溪筆談)
  • 고려의 혼인제와 여성의 삶
    권순형 혜안 [2006]
  • 고려의 여성과 문화
    김창현 신서원 [2007]
  • 개경의 생활사
    한국역사연구회 휴머니스트 [2007]
  • 黃眞伊 시조의 멋과 풍류
    김연옥 새국어교육 63 : 209 ~ 222 [2002]
  • 黃眞伊 時調의 離別 形象化와 對應樣相
    김성문 시조학논총 (30) : 319 ~ 332 [2009]
  • ‘황진이’의 서사적 변형과 생산에 관한 고찰
    김경연 동남어문논집 21 [2006]
  • ‘황진이’ 담론의 형성 방식과 여성의 재현
    우미영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9 (3) : 163 ~ 189 [2005]
  • ‘황진이 이야기’의 의미 생성과 변모
    윤분희 우리말글 34 : 151 ~ 184 [2005]
  • ‘황진이 서사’를 다룬 남과 북의 역사소설, 그 허구적 진실 - 홍석중과 김탁환의 ‘황진이 서사’를 중심으로
    고명철 시민인문학 (16) : 43 ~ 66 [2009]
  • 박사
  • 1930년대 후반기 시의 전통지향적 미의식 연구 : 문장파 자연시를 중심으로
    崔承浩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 1930년대 후반 근대인식의 틀과 미의식
    김예림 소명출판 [2004]
  • '허난설헌'과 '황진이'의 문학에 대한 페미니즘 연구
    하성란 강남어문 9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