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 텍스트의 적층구조와 진지왕,도화녀,비형랑 관련 설화의 결합원리

'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 텍스트의 적층구조와 진지왕,도화녀,비형랑 관련 설화의 결합원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도화녀비형랑>
  • bihyoungrang
  • dohwanyeo
  • dohwanyeoandbihyoungrang
  • doodletales
  • drivingawayevi
  • jinjiwang
  • jinjiwangtales
  • mokrangtales
  • peachtreetales
  • 『 삼국사기 』
  • 기저서사
  • 도목문배
  • 도목벽사
  • 도목설화
  • 도화녀
  • 두들설화
  • 목랑설화
  • 목신
  • 문신
  • 반-서사
  • 비형랑
  • 적층서사
  • 진지왕
  • 진지왕왕권설화
  • 진지왕폐위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3 0

0.0%

'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 텍스트의 적층구조와 진지왕,도화녀,비형랑 관련 설화의 결합원리' 의 참고문헌

  • 한국문학의 갈래이론
    조동일 집문당 : 1 ~ 372 [1992]
  • 한·중 문신 설화의 유형성 비교연구
    왕가용 대구대학교 [2012]
  • 특집1논문: 신라 '남궁(南宮)'의 성격- '남궁지인(南宮之印)'명 기와의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
    이현태 역사와 현실 81 (81) : 139 ~ 174 [2011]
  • 신라 왕경숲 조성에 있어서 주요 수종 선정에 관한 연구
    김윤하 한국조경학회지 32 (5) : 52 ~ 62 [2004]
  • 韓國說話文學의 硏究
    장덕순 서울대학교 출판부 : 1 ~ 570 [1970]
  • 韓國古典散文硏究, 장덕순 선생 화갑기념 논문집 : 1 ~ 515
    최래옥 [1981]
  • 三國遺事 卷第一 紀異 第一
  • 『三國遺事』 <桃花女 鼻荊郞 >의 신화적 특징과 그 의미
    엄기영 한국문화연구 25 : 37 ~ 60 [2013]
  • <도화녀·비형랑 > 설화에 나타난 두두리(豆豆里) 신앙의 지역화와 진지왕계 복권신화적 기능
    강은해 어문학 120 (120) : 111 ~ 139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