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속 개념의 변천 양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 통속 개념의 변천 양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belles-lettres
  • common sense
  • commonness
  • concept
  • liberation
  • mass
  • nation
  • people
  • popular literature
  • tong-sok
  • vulgar
  • 개념
  • 공통성
  • 국민
  • 대중
  • 대중문학
  • 상식
  • 순수문학
  • 인민
  • 저급
  • 통속
  • 해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633 0

0.0%

' 통속 개념의 변천 양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의 참고문헌

  • 해방직후의 문학운동론
    신형기 화다 [1988]
  • 해방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화대중화 담론과 조직적 실천
    박정선 어문학 93 (93) [2006]
  • 해방공간의 비평문학
    김외곤 태학사 [1991]
  • 해방3년의 비평문학
    신형기 세계 [1988]
  •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
    이봉범 한국근대문학연구 22 (22) : 7 ~ 57 [2010]
  •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기원과 원인 2
    박명림 나남 : 373 ~ 378 [2003]
  •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영인편
    황호덕 박문사 [2012]
  • 한국근대대중소설비평론
    조성면 조성면 태학사 [1997]
  • 한국 근대 신어사전
    한림과학원 선인 [2010]
  • 키워드
    레이먼드 윌리엄스 민음사 [2010]
  • 창조
  • 중등조선어사전
    문세영 삼문사 [1948]
  • 조선일보
    [1934]
  • 조선어사전
    문세영 朝鮮語辭典刊行會 [1938]
  • 잡지 [문예]의 성격과 위상
    이봉범 상허학보 17 : 196 ~ 227 [2006]
  • 이태준문학전집 15-무서록
    이태준 깊은샘 : 78 ~ 79 [1999]
  • 음란과 혁명
    권명아 책세상 : 32 ~ [2013]
  • 웹으로 보는 한영자뎐 1.0, 저작권위원회제호 D-2008-000027-2
  • 우리말사전
    문세영 삼문사 [1951]
  • 에로 그로 넌센스 - 근대적 자극의 탄생
    소래섭 살림 [2005]
  • 신청년의 신문학론
    천두슈 한길사 [2012]
  • 신천지
  • 식민지제국 일본의 문화통합
    고마고메 다케시 역사비평사 : 126 ~ 137 [2007]
  •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허수 역사문제연구 14 (1) : 133 ~ 193 [2010]
  • 식민지 학교 공간의 형성과 변화
    이기훈 역사문제연구 17 [2007]
  • 식민지 근대성과 소설의 양식
    박헌호 소명출판 [2004]
  • 시문독본
    최남선 경진문화 [2009]
  • 소설신수
    쓰보우치 쇼요 고려대출판부 : 123 ~ [2007]
  • 세속화 예찬
    조르조 아감벤 난장 [2010]
  • 서울신문
    [2014]
  • 삼천리
  • 비평적 글쓰기의 계보: 한국 근대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강용훈 소명출판 [2013]
  • 별건곤
  • 백민
  • 문학의 논리
    임화문학예술전집편찬위 소명출판 : 306 ~ 323 [2009]
  • 문학
    [1999]
  • 매일신보
    [1910]
  • 동아일보
    [1937]
  • 동광
    [1931]
  • 대한매일신보
    [1907]
  • 대중지성의 시대
    천정환 푸른역사 [2008]
  • 다중
    안토니오 네그리 세종서적 [2008]
  • 노블과 식민지― 염상섭소설의 통속과 반통속
    한기형 대동문화연구 82 (82) : 175 ~ 208 [2013]
  • 남북국가 수립기 인민과 국민 개념의 분화
    김성보 한국사연구 144 (144) : 69 ~ 95 [2009]
  • 김팔봉문학전집Ⅰ: 이론과 비평
    김기진 문학과 지성사 [1988]
  • 근대의 사회적 상상
    찰스 테일러 이음 [2010]
  • 근대 네이션과 그 표상들
    황호덕 소명출판 : 306 ~ 307 [2005]
  • 국민·인민·시민
    박명규 소화 : 104 ~ [2009]
  • 공통 감각론
    나카무라 유지로 민음사 : 17 ~ 67 [2003]
  • 경향신문
    [1946]
  • 개벽
  •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황호덕 박문사 [2012]
  • 1920~30년대 식민지 지식인의 '대중' 인식
    허수 역사와 현실 77 (77) : 321 ~ 384 [2010]
  • 박사
  • 18세기 ‘時’와 ‘俗’ 관련 용어의 변화와 그 의미
    이경구 한국실학연구 (15) : 65 ~ 10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