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교육 : 2년간의 추적 연구를 통한 Physical Computing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논문상세정보
' 컴퓨터활용교육 : 2년간의 추적 연구를 통한 Physical Computing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hysical computing
  • steam education
  • steam 교육
  • two-yearfollow-upstudy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88 1

0.0%

' 컴퓨터활용교육 : 2년간의 추적 연구를 통한 Physical Computing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의 참고문헌

  • 컴퓨팅 위기에 관한 소고
    김기응 정보과학회지 27 (2) : 26 ~ 29 [2009]
  • 초· 중등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과 필요성
    김갑수 정보과학회지 27 (2) : 34 ~ 42 [2009]
  •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백윤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 (4) : 149 ~ 171 [2011]
  • 손에 잡히는 스팀교육 : 9 ~ 10
    교육부 [2012]
  •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통계방법
    권대용 학지사 [2011]
  • 교육정보화백서, 15
    교육부 [2010]
  • 교육정보화백서
    교육부 [2011]
  • The Encyclopedia of Education 2nd ed
    Renninger, K. A. Macmillan : 704 ~ 707 [2003]
  • Test of science-realated attitudes: Hand-book
    Fraser, B. J.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Macquarie University [1981]
  • Pupils’ Attitudes to Science
    Ormerod, M. B. Humanities Press [1975]
  • Planning early for careers in science
    Tai, R. H. Science 312 (5777) : 1143 ~ 1144 [2006]
  • Hands on 센서 기반 고도화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김석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 (3) : 79 ~ 88 [2013]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st of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training learners
  • Defining Computational Thinking for K-12
    Stephenson, Chris CSTA Voice 7 (2) : 3 ~ 4 [2011]
  • Computational thinking
    Wing, J. M. Communications of the ACM 49 (3) : 33 ~ 35 [2006]
  • Committee on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2]
  • 2011년 업무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 "과학자 되고 싶다" 청소년100명에 2명뿐
    장세정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