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 이후 나례(儺禮)의 사습(私習)과산대도감패의 흥행 활동

논문상세정보
' 인조 이후 나례(儺禮)의 사습(私習)과산대도감패의 흥행 활동'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osun
  • mask dance
  • narye
  • popularity
  • sandae
  • seoul
  • talchum
  • theatre
  • troupe
  • 儺禮儺禮
  • 山臺
  • 山臺都監
  • 泮人
  • 私習
  • 邊人
  • 나례
  • 반인
  • 변인
  • 사습
  • 산대
  • 산대도감
  • 탈춤
  • 편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50 0

0.0%

' 인조 이후 나례(儺禮)의 사습(私習)과산대도감패의 흥행 활동' 의 참고문헌

  • 한국의 전통연희
    전경욱 학고재 [2004]
  • 한국의 가면극
    이두현 문화재관리국 [2013]
  • 한국연극사연구
    사진실 태학사 [1997]
  • 탈놀이의 역사적 연구
    전경욱 구비문학연구 5 [1997]
  • 추재기이
    안대회 한겨레출판 [2010]
  • 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
    강명관 민족문학사연구 2 [1992]
  • 조선연극사
    김재철 학예사 [1939]
  • 우리 고전 캐릭터의 모든 것 1
    사진실 휴머니스트 [2008]
  • 서울의 시정문화와 탈춤의 성장
    사진실 한국사 시민강좌 45 [2009]
  • 새벽강가에 해오라기 우는 소리(國譯 紀聞叢話) 上
    김동욱 아세아문화사 [2008]
  • 본산대놀이패에 대한 시각
    손태도 고전희곡연구 4 [2002]
  •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의 지역적 소통
    전경욱 한국민속학 37 : 269 ~ 311 [2003]
  • 문묘제례악과 양주별산대놀이
    전경욱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2004]
  • 무숙이타령(왈자타령) 연구
    김재철 한국학보 68 [1992]
  • 동아시아 민속극의 축제성
    임재해 보고사 [2008]
  • 궁중 정재(宮中呈才)의 공연공간과 연출원리
    사진실 한국음악연구 38 : 75 ~ 101 [2005]
  • 공연문화의 전통
    사진실 태학사 [2002]
  • 가면극과 그 놀이꾼의 역사적 전개
    전경욱 고전희곡연구 1 [2000]
  • 韓國의 民俗劇
    송석하 民俗學 4 (8) [1932]
  • 韓國民俗考
    송석하 일신사 [1960]
  • 韓國歌謠의 硏究
    김동욱 을유문화사 [1961]
  • 日本民俗學の ために
    秋葉隆 民間傳承の會 [1948]
  • 山臺탈놀이
    서연호 열화당 [1987]
  • 傳承音樂과 廣大
    송석하 동아일보 [1935]
  • 19~20세기 초 판소리 변모양상 연구
    김종철 서울대학교 [1993]
  • 18ㆍ19세기 탈춤꾼ㆍ山臺造成匠人 卓文漢 연구
    안대회 정신문화연구 33 (4) : 235 ~ 26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