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지역성과 문화권

이근호 2014년
' 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지역성과 문화권'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南冥學派
  • 性理??派
  • 文化圈
  • 退溪學派
  • 남명학파
  • 문화권
  • 성리학학파
  • 율곡학파
  • 지역성
  • 퇴계학파
  • 栗谷學派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625 0

0.0%

' 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지역성과 문화권' 의 참고문헌

  • 호서지역 서원의 지역적 특성과 정치적 성격― 숙종대 노소론계 서원을 중심으로 -
    이해준 국학연구 1 (11) : 27 ~ 54 [2007]
  • 호남지역 서원의 지역적 특성과 정치적 성격―나주羅州 경현서원景賢書院을 중심으로-
    김문택 국학연구 1 (11) : 55 ~ 86 [2007]
  •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고영진 혜안 [2007]
  • 학봉 김성일과 안동지역의 퇴계학파
    권오영 한국의 철학 28 [2000]
  • 진산한기두박사화갑기념 한국종교사상의 재조명 하
    윤사순 [1993]
  • 조선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
    권오영 돌베개 [2003]
  •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8]
  • 조선후기 내포지역 <사마방목 > 입록추이와 지역엘리트
    이연숙 지방사와 지방문화 7 (2) : 41 ~ 100 [2004]
  • 조선후기 內浦지역 書院 祠宇의 建立과 運營의 性格
    이정우 지방사와 지방문화 7 (1) : 7 ~ 46 [2004]
  • 조선중기의 문집편간과 문파형성
    서정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7]
  • 조선시대 선비정신 연구-統意識을 中心으로-
    최봉영 정신문화연구 (가을) [1983]
  • 조선시대 서원연구
    정만조 집문당 [1997]
  • 정치사의 맥락에서 본 남명학파의 계승양상-밀양․창녕․영산지역을 중심으로-
    박병련 장서각 6 [2001]
  • 인조 효종대 산인세력의 형성과 진출
    김세봉 동양학 24 (1) [1994]
  • 월천 조목의 도산서원 종향논의 -17세기 영남사족 동향의 일단-
    이상현 북악사론 8 [2001]
  • 월천 조목과 예안지역의 퇴계학파
    정만조 한국의 철학 28 [2000]
  • 우암송시열의 문묘 및 서원종사
    최근묵 백제연구 15 [1985]
  • 우암 송시열의 생애와 사상
    지두환 한국사상과 문화 12 [2001]
  • 우암 송시열 평전 1~3
    지두환 충북대 우암연구소 [2007]
  •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수건 일조각 [1995]
  • 역사속의 전라도
    이해준 다지리 [1999]
  • 여주이씨 星湖家門의 거주지 변천
    이근호 성호학보 5 [2008]
  • 서애 류성룡과 안동․상주지역의 퇴계학파
    김호종 한국의 철학 28 [2000]
  • 남명학파와 진주(문화)권의 성격
    정만조 장서각 6 [2001]
  • 남명학과 영남 강우․강안 지역 사림의 동향
    박병련 국학연구 7 [2005]
  • 남명 조식의 학풍과 남명문인의 활동
    신병주 합천임란사 2 [2001]
  • 기묘사화와 16세기 전반의 호남학파
    이해준 전통과 현실 2 [1992]
  • 갈암 이현일과 영해지역의 퇴계학맥
    박홍식 퇴계학과 유교문화 28 [2000]
  • 藥泉集
  • 茶山詩文集
  • 湖西士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16-17세기 湖西士族과 書院의 동향을 중심으로
    全用宇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4]
  • 江岸學과 高靈 儒學에 대한 試論
    정우락 퇴계학과 유교문화 43 (43) : 39 ~ 94 [2008]
  • 星湖全集
    李瀷 [1922]
  • 擇里志
  • 宋時烈의 道峯書院의 入享論爭과 그 政治的 性格
    조준호 조선시대사학보 23 (23) : 87 ~ 118 [2002]
  • 南冥學派의 形成과 展開 : 사상과 학파의 추이를 중심으로
    李相弼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 『퇴계집』의 初刊과 월천·서애시비
    서정문 북악사론 3 [1993]
  • 『계암일록』을 통해본 김령의 정치인식
    이근호 국역본 계암일록 발간 기념 학술대회자료집 [2013]
  • 『陶山及門諸賢錄』의 집성과 간행에 대하여
    김종석 한국의 철학 28 [2000]
  • 『陶山及門諸賢錄』과 퇴계 학통제자의 범위
    김종석 한국의 철학 26 [1999]
  • 『檜淵及門諸賢錄』소고
    권연웅 한국의 철학 13 [1985]
  • 18세기 경상우도 사림과 鄭希亮亂
    이재철 대구사학 31 [1986]
  • 18세기 강우지역 남명학파의 분포와 동향
    이상필 남명학연구 11 [2001]
  • 17~18세기 재지 노․소론의 분쟁과 서원건립의 성격 -충청도 논산지방 광산김씨와 파평윤씨를 중심으로-
    이정우 진단학보 88 [1999]
  • 17세기 후반 산인세력의 동향-송시열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세봉 사학지 27 [1994]
  • 17세기 초 영남학파의 분기와 장현광의 학적 위상
    정만조 여헌장현광연구 [2009]
  • 17세기 중엽 파평윤씨 노종파의 종약과 종학
    이해준 충북사학 11 (12) [2000]
  • 17세기 전반 京華士族의 人的關係網 -《 世舊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
    이근호 서울학연구 38 (38) : 151 ~ 194 [2010]
  • 박사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김학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 17-18세기 충주지방 서원과 사족의 당파적 성격
    이정우 한국사연구 109 [2000]
  • 16세기 호남사림의 활동과 학문
    고영진 남명학연구 3 [1993]
  • 16-17세기 호남사림의 존재형태에 대한 일고찰-특히 鄭介淸의 문인집단과 紫山書院의 치폐사건을 중심으로
    김동수 역사학연구 7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