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前期 신성관념의 성립과 정착과정

논문상세정보
' 고구려 前期 신성관념의 성립과 정착과정'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
  • 10월제전
  • danu
  • dongmyeongfestival
  • foundationtale
  • founderjumongawareness
  • foundershrine
  • kingdaemushin
  • landoftheheavenlydescendants
  • octobernationalfestival
  • shrinerituals
  • shrinesystem
  • 건국설화
  • 단우
  • 대무신왕
  • 동명제
  • 묘사의례
  • 묘사제도
  • 시조묘
  • 주몽시조의식
  • 천손국의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78 0

0.0%

' 고구려 前期 신성관념의 성립과 정착과정' 의 참고문헌

  • 흉노
    사와다 이사오 아이필드 [2007]
  • 한국 고대인의 천문우주관
    김일권 강좌 한국고대사 8 [2002]
  • 한국 고대의 제천의례
    서영대 한국사시민강좌 45 [2009]
  • 초기 고구려역사 연구
    김기흥 동북아역사재단 [2008]
  • 중국어 역사음운론을 통한 고구려신화에 반영된 언어자료 분석-東明朱蒙 동음설 및 東盟東明 동음설을 중심으로
    장재웅 중국언어연구 (23) : 489 ~ 511 [2006]
  • 유라시아 초원제국의 샤머니즘
    박원길 민속원 [2001]
  • 박사
    삼국의 국가제의 연구
    박승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 삼국사기 제사지 연구
    신종원 사학연구 38 [1984]
  • 동아시아 여성신화
    김인희 집문당 [2003]
  • 동아시아 불교식 왕호 비교-4~8세기를 중심으로-
    조경철 한국고대사연구 (43) : 5 ~ 38 [2006]
  • 고조선·고구려사연구
    조법종 신서원 [2006]
  • 고구려인의 관념에 보이는 단군신화의 투영 맥락 : 비류부의 정치적 위상을 중심으로
    최일례 한국사상과 문화 (55) : 187 ~ 224 [2010]
  • 고구려의 사상과 문화
    서영대 고구려연구재단 [2005]
  • 고구려의 국가형성
    김기흥 동북아역사재단 [2005]
  • 고구려의 건국과 시조 숭배
    강경구 학연문화사 [2001]
  • 고구려역사연구
    劉子敏 연변대학출판사 [1996]
  • 고구려역사
    리지린 민족문화 [1995]
  • 고구려사연구
    리지린 [1976]
  • 고구려사 연구
    노태돈 사계절 [1999]
  • 고구려 초기의 왕위계승문제
    김광수 한국사연구 5 [1986]
  • 고구려 초기의 병력동원체계
    여호규 군사 36 [1998]
  • 박사
  • 고구려 시조묘 제사 연구
    강진원 한국사론 54 [2008]
  • 고구려 시조명 ‘東明’의 성립과정
    이원배 한국사연구 (146) : 1 ~ 30 [2009]
  • 고구려 사회의 檀君認識과 종교문화적 특징
    조법종 韓國古代史硏究 21 [2001]
  • 고구려 동맹제 서설
    강경구 백산학보 68 [2004]
  • 고구려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이도학 서경문화사 [2006]
  • 고구려 건국신화의 연구
    김화경 진단학보 86 [1998]
  • 고구려 東盟의 정치의례적 성격과 기능
    이정빈 한국고대사연구 (41) : 169 ~ 198 [2006]
  • 고구려 建國神話와 祭儀
    윤성용 한국고대사연구 (39) : 5 ~ 30 [2005]
  • 고구려 世界觀念의 확립과정 탐구
    윤상열 고구려발해연구 41 : 73 ~ 106 [2011]
  • 고구려 5那部의 성립과정과 영역 검토
    조영광 대구사학 98 : 33 ~ 70 [2010]
  • 高句麗의 解氏王과 高氏王
    金賢淑 大丘史學 47 [1994]
  • 高句麗의 國母信仰
    채미하 북방사논총 12 [2006]
  • 高句麗의 國家祭祀―東盟을 중심으로―
    徐永大 한국사연구 120 (120) : 1 ~ 32 [2003]
  • 高句麗國相考
    盧重國 韓國學報 16 [1979]
  • 高句麗の五族について
    三品彰英 朝鮮學報 6 [1954]
  • 高句麗-古代-集權國家의 成立에 관한 硏究
    金光洙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 高句麗 초기 桂婁部의 神堂과 宗廟
    이재성 전통문화논총 6 [2008]
  • 高句麗 東明王廟의 成立過程
    강경구 韓國古代史硏究 18 [2000]
  • 高句麗 建國神話의 검토
    金基興 韓國史硏究 113 [2001]
  • 高句麗 初期의 王統變化와 朱蒙 始祖認識의 成立
    이귀숙 역사교육논집 93 (39) : 129 ~ 174 [2007]
  • 高句麗 初期의 王位繼承原理와 古鄒加
    여호규 동방학지 (150) : 139 ~ 196 [2010]
  • 韓國宗敎史 資料로서의 《三國志》東夷傳
    徐永大 한국학연구 3 [1991]
  • 韓國古代의 建國神話와 祭儀
    金杜珍 一潮閣 [1999]
  • 韓國古代社會硏究
    金哲俊 서울大學校 出版部 [1975]
  • 韓國古代史의 硏究
    李弘稙 新丘文化社 [1971]
  • 祭儀를 通해서 본 高句麗의 正體性
    박승범 고구려발해연구 (18) : 433 ~ 468 [2004]
  • 百濟의 東明神話와 東明墓
    盧明鎬 歷史學硏究 10 [1981]
  • 百濟의 五帝信仰과 그 意味
    徐永大 韓國古代史硏究 20 [2000]
  • 百濟 始祖傳承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고찰
    林起煥 百濟硏究 28 [1998]
  • 河伯女신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 국가형성기의 상황
    조영광 北方史論叢 12 [2006]
  • 日本古代の傳承と東アジア-佐. 伯有淸先生古稀記念
    神崎勝 吉川弘文館 [1995]
  • 古代東アジアの日本と朝鮮
    坂元義種 吉川弘文館 [1978]
  • 古代朝鮮史序說-王者と宗敎-
    井上秀雄 東出版寧樂社 [1978]
  • 三國時代의 「始祖」 認識과 그 變遷
    李鍾泰 國民大學校 大學院 [1997]
  • 『歷史와 實學』 32 (上)-大湖李隆助敎授停年紀念號-
    윤상열 歷史實學會 [2007]
  • 박사
  • 5세기 고구려의 신성관념(神聖觀念) 고찰‒능비와 모두루묘지에 나타난 표현을 중심으로 ‒
    윤상열 역사와 현실 (82) : 133 ~ 161 [2011]
  • 3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정책
    여호규 역사학보 (194) : 1 ~ 40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