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금초 시조 연구

인용/피인용
' 윤금초 시조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eroticism
  • lengthening
  • modern sijo
  • modernity
  • omnibussijo
  • openperception
  • saseolsijo
  • satirical
  • serialsijo
  • yoongeum-cho
  • 사설시조
  • 에로티시즘
  • 연작시조
  • 열린의식
  • 옴니버스시조
  • 윤금초
  • 장형화
  • 풍자
  • 현대성
  • 현대시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337 0

0.0%

' 윤금초 시조 연구' 의 참고문헌

  • 현대시조의 실험정신과 포용력
    황치복 시조시학 (봄) : 110 ~ 122 [2011]
  • 현대시조의 생태학적 연구
    하경화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현대시조의 꽃을 개량하는 언어 농사꾼
    권성훈 시조시학 (봄) : 165 ~ 174 [2013]
  • 현대시조와 심미적 체험
    박철희 문학사상 : 398 ~ 404 [1991]
  • 현대시조쓰기
    윤금초 새문사 [2010]
  • 현대시론
    김영철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3]
  • 해남 나들이
    윤금초 민음사 [1993]
  • 할미새가 꿈꾸는 세계
    윤금초 문학사상 : 67 ~ 69 [1999]
  • 한국 현대시조 작가론Ⅱ
    이지엽 태학사 : 147 ~ 164 [2007]
  • 한국 현대시와 에로티시즘
    전미정 새미 [2002]
  • 텁텁한 맛, 텁텁한 인심
    윤금초 월간조선 : 610 ~ 617 [1993]
  • 질라래비훨훨
    윤금초 시인생각 [2013]
  • 주제의 개혁
    김제현 현대문학 : 425 ~ 427 [1987]
  • 주몽의 하늘
    윤금초 문학수첩 [2004]
  • 제3회 한국시조대상 수상작품집
    유성호 고요아침 : 52 ~ 68 [2013]
  • 장르론
    Paul Hernadi 문장 [1983]
  • 이어도 사나, 이어도 사나
    윤금초 고요아침 [2003]
  • 윤금초의 민중의식
    유재영 시문학 : 141 ~ 142 [1982]
  • 윤금초 시조의 미메시스적 연구
    최승호 우리말글 36 : 399 ~ 423 [2006]
  • 박사
    윤금초 시조 연구
    문명인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8]
  • 열린 예술작품 : 카오스모스의 시학
    Umberto Eco 새물결 [2006]
  • 언어예술작품론
    Wolfgang Kayser 예림기획 [1982]
  • 어초문답
    김상일 한국문학 : 319 ~ [1978]
  • 어초문답
    윤금초 지식산업사 [1997]
  • 어초문답
    장순하 지식산업사 : 131 ~ 145 [1977]
  • 어초문답
    조병무 지식산업사 : 146 ~ 160 [1977]
  • 아달린의 방
    이송희 새미 : 210 ~ 222 [2013]
  • 신동문 전기시의 연작 형식 -『 풍선과제삼포복』의불연속적시리즈성을중심으로
    노지영 서강인문논총 (27) : 5 ~ 39 [2010]
  • 시조의 형식실험과 현대성의 모색 양상 연구
    홍성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 시조의 다양성을 제시
    이태극 월간독서 : 84 ~ 85 [1978]
  • 시조는 혁신하자
    이병기 『동아일보』, 1.23~24 [1932]
  • 시인과 상황의식
    정시운 현대시학 : 102 ~ 108 [1983]
  • 섬세한 언어 자의식과 첨예한 양식적 실천
    유성호 시선 (봄) : 183 ~ 201 [2013]
  • 서술성을 통한 현대시조의 양식론적 확장
    유성호 불교문예 (봄) : 45 ~ 62 [2005]
  • 산문시와 사설시조의 거리
    박영주 정형시학 (하반기) : 91 ~ 107 [2012]
  • 분출하는 힘
    홍성란 시평 (봄) : 67 ~ 70 [2001]
  • 문학인의 사명은 저항의식
    장수현 유심 (여름) : 398 ~ 416 [2003]
  • 무엇을 위한 시조 형식인가
    장경렬 문학과 지성사 : 87 ~ 109 [1997]
  • 무슨 말 꿍쳐두었니?
    윤금초 책만드는집 [2011]
  • 땅끝
    김동식 태학사 : 121 ~ 132 [2001]
  • 땅끝
    윤금초 태학사 [2000]
  • 뉴스피플
    최종찬 뉴스피플 : 36 ~ 39 [2001]
  • 네 사람의 얼굴
    윤금초 문학과 지성사 [1983]
  • 네 사람의 노래
    윤금초 문학과 지성사 [2012]
  • 네 사람의 노래
    정과리 문학과 지성사 : 128 ~ 162 [2012]
  • ‘홍어 삼합’의 경지-나에게 말 걸기
    윤금초 시조시학 (봄) : 93 ~ 109 [2011]
  • ‘개펄’의 문제성, 기타
    이우걸 한국문학 : 364 ~ 366 [1983]
  • 2005 신나는 예술여행
    윤금초 열린시조학회 : 5 ~ 17 [2005]
  • 1990년대 문학의 담론
    조남현 문예출판사 [1998]
  • 1930년대 연작 형식의 유형에 관한 고찰 -「烏瞰圖」와 「氣象圖」를 대상으로
    최도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3 (2) : 255 ~ 28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