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역사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의 이중 담론

'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의 이중 담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연극
  • collective memory
  • counterdiscourse
  • deep-rootedtree
  • dominantideology
  • double-voiceddiscourse
  • heroic(growth)narrative
  • history
  • lee-do
  • sejong
  • televisionhistorical-drama
  • thepublicdesire
  • 대중욕망
  • 뿌리깊은나무
  • 세종
  • 역사
  • 영웅(성장)서사
  • 이도
  • 이중담론
  • 저항담론
  • 지배 이데올로기
  • 집합기억
  • 텔레비전역사드라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22 1

0.0%

'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의 이중 담론' 의 참고문헌

  • 히스토리․미디어․스토리 -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에 대한 존재론적 試論
    박노현 한국문학연구 (43) : 125 ~ 157 [2012]
  • 훈민정음 창제에 나타난 세종의 이상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와 원전 해례본과의 비교를 통해-
    안상혁 인문과학 (49) : 117 ~ 139 [2012]
  • 한국인의 자화상, 드라마
    이영미 생각의 나무 [2008]
  • 팩션사극 <뿌리깊은 나무 >의 대중화 전략
    신원선 인문연구 (64) : 337 ~ 365 [2012]
  • 텔레비전 드라마와 역사적 상상력 - 역사-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중심으로
    박노현 한국문학연구 (44) : 387 ~ 414 [2013]
  • 텔레비전 드라마에서의 의적(義賊) 서사화 연구 - <일지매 >와 <돌아온 일지매 >를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극예술연구 (40) : 201 ~ 227 [2013]
  • 추리(推理)와 역사(歷史)의 변증법 : <별순검 > 시즌 1을 중심으로
    박명진 한국극예술연구 (35) : 331 ~ 363 [2012]
  • 전쟁 기억의 균열과 그 재현 - TV 드라마 <전우 > (2010)를 중심으로
    백소연 한국극예술연구 (37) : 167 ~ 198 [2012]
  • 이순신과 영웅의 쇄신-KBS 대하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을 중심으로
    윤진현 대중서사연구 (14) : 7 ~ 39 [2005]
  • 우리 안의 과거
    테사 모리스-스즈키 휴머니스트 [2006]
  • 역사적 인물 세종과 「뿌리 깊은 나무」의 성과
    조희정 안과밖:영미문학연구 (32) : 131 ~ 149 [2012]
  • 역사의 현재적 재현과 시기별 의미구성 차이 - TV 역사드라마 <대왕세종 >과 <뿌리 깊은 나무 >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백선기 기호학 연구 34 : 81 ~ 117 [2013]
  • 역사서사물 『뿌리 깊은 나무』의 서사 전략
    김종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7 (1) : 335 ~ 355 [2013]
  • 역사드라마의 포스트모더니즘 글쓰기 양상 연구
    박상완 문예시학 26 [2012]
  • 역사드라마의 장르사적 변화과정
    주창윤 한국극예술연구 25 : 371 ~ 400 [2007]
  • 역사드라마의 역사서술방식과 장르형성
    주창윤 한국언론학보 48 (1) : 166 ~ 188 [2004]
  • 역사드라마의 ‘징후적 독해’ : 거대담론과 작은 이야기의 공존 가능성으로서의 역사 드라마
    이은애 한국문예비평연구 (30) : 221 ~ 269 [2009]
  • 역사극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신역사주의적 해석 —1970~80년대 ‘한국적’ 역사극의 탄생과 연관하여—
    김기봉 드라마 연구 (34) : 5 ~ 33 [2011]
  • 역사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의 미학적 요소 분석
    이종수 미디어, 젠더 & 문화 (22) : 187 ~ 224 [2012]
  • 뿌리 깊은 나무 작가판 대본집 1~3
    김영현 북로그컴퍼니 [2012]
  • 뿌리 깊은 나무 1ㆍ2권
    이정명 밀리언하우스 [2006]
  •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 >의 판타지성과 하위주체 발화 양상
    고선희 국제어문 (55) : 75 ~ 115 [2012]
  • 드라마 <대장금 >에 나타난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
    김태연 어문연구 53 : 299 ~ 330 [2007]
  • 대중서사장르 연구 시론
    박유희 우리어문연구 (26) : 263 ~ 296 [2006]
  • 기억과 망각
    최문규 책세상 [2003]
  • 국가주의 집합기억의 재생산 일본역사교과서 파동을 중심으로
    이동후 언론과 사회 11 (2) : 72 ~ 110 [2003]
  • TV문화비평-사극의 시대
    이영미 황해문화 (74) [2012]
  • TV드라마의 역사적 인물 소환 전략 - <뿌리 깊은 나무 >를 중심으로 -
    이다운 인문학연구 41 (3) : 91 ~ 111 [2012]
  • TV드라마 <주몽 >에 나타난 영웅 신화의 형상화 방법
    배선애 한국극예술연구 25 : 287 ~ 333 [2007]
  • 박사
  • TV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 >와 이정명의 원작소설: 한류 사극의 세계화 전망
    전수용 문학과 영상 13 (4) : 795 ~ 835 [2012]
  • TV 드라마 <대장금 >에 나타난 ‘가능성으로서의 역사’ 구현 방식
    양근애 한국극예술연구 (28) : 309 ~ 343 [2008]
  • HDTV드라마 <돌아온 일지매 >의 서사 기법 고찰 - 이야기 전달 방식을 중심으로 -
    윤석진 한국문학연구 (37) : 547 ~ 578 [2009]
  • <뿌리 깊은 나무 > 24부
    김영현 SBS [2011]
  •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의 장르 변화 양상 고찰2
    윤석진 비평문학 (48) : 235 ~ 279 [2013]
  •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의 장르 변화 양상 고찰 1
    윤석진 한국극예술연구 (38) : 301 ~ 323 [2012]
  • 1960~70년대 한국문학과 지배-저항 이념의 헤게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