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학 :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 진단 모형 개발

' 국어교육학 :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 진단 모형 개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dministrationassistancesystem
  • communication education
  • curriculum
  • delphi method
  • diagnostictool
  • professor
  • 교과과정
  • 교수자
  • 델파이 기법
  • 의사소통 교육
  • 진단도구
  • 행정지원체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47 0

0.0%

' 국어교육학 :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 진단 모형 개발' 의 참고문헌

  •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공학과 경영학을 중심으로
    곽진숙 교육평가연구 24 (3) : 567 ~ 593 [2011]
  • 의사소통교육 성과 진단
    정희모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3]
  • 의사소통 연구의 최근동향과 효과적 의사소통의 개념적 모형에 관한 탐색연구
    이군현 교육행정학연구 8 (2) : 1 ~ 13 [1991]
  •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박재승 새국어교육 11 (85) : 119 ~ 140 [2010]
  • 의사소통 개념의 비판교육학적 수용과 그 교육적 의미
    노상우 교육학연구 35 (4) : 7 ~ 52 [1997]
  • 사범대학 평가준거 개발 및 타당성 분석
    황영준 건국대학교 [2005]
  • 대학 학부 교양 과정 평가 준거 설정
    박창언 고등교육연구 12 (2) : 1 ~ 27 [2001]
  • 대학 순위평가의 국가간 비교 연구
    이영학 비교교육연구 17 (3) : 139 ~ 165 [2007]
  •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II)
    배상훈 [2012]
  •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평가 준거 개발 연구
    박혜림 교육과정연구 25 (3) : 109 ~ 132 [2007]
  • 교육-인적 자원 행정과 발전
  •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손동현 교양교육연구 3 (2) : 5 ~ 22 [2009]
  • 공업계 고등학교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
    이병욱 충남대학교 [2002]
  • 企業敎育機關 評價에 關한 探索的 硏究
    洪瑛蘭 고려대학교 [1998]
  • Rankings and Accountability in Higher Education:Uses and Misuses
    Vught, F.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France [2013]
  • Human performance technolog:A system-based field for the training and development profession
    Jacobs, R. ERIC Clearing house on Adul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1987]
  • Communication and Human Behavior
    Ruben, B. D. & Pearson Education, Inc. [2006]
  •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McMillan, J. H. Allyn & Bacon [2004]
  • Berlin Principles on Ranking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Lawshe, C. H. Personal Psychology 28 (4) : 563 ~ 575 [1975]
  • A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forensics and communication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Allen, M. Communication Education 48 (1) : 18 ~ 30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