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장경』과 문화콘텐츠 활용

최연주 2014년
' 『고려대장경』과 문화콘텐츠 활용'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아시아(아세아)
  • buddhistculturalheritage
  • creation
  • cultural content
  • popularbooks
  • thetripitakakoreana
  • 『고려대장경』
  • 創作物
  • 大衆書籍
  • 문화콘텐츠
  • 불교문화유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26 3

0.0%

' 『고려대장경』과 문화콘텐츠 활용' 의 참고문헌

  • 현대 예술 속의 불교
    유동환 예문서원 [2009]
  •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 한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진현종 들녘 [1997]
  • 한국중세불교사연구
    허흥식 일조각 [1997]
  • 한국불교사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조계종출판사 [2011]
  • 한국 전통 문화유산 콘텐츠개발 현황과 과제
    유동환 국학연구 1 (12) : 5 ~ 50 [2008]
  • 팔만대장경에 숨어 있는 108가지 이야기
    진현종 혜윰 [1997]
  •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사업화 방향에 대한 담론
    김시범 인문콘텐츠 (27) : 171 ~ 180 [2012]
  • 인문학과 문화기술의 상생을 위한 과제
    최희수 인문콘텐츠 (27) : 233 ~ 244 [2012]
  • 우화로 읽는 팔만대장경
    진현종 컬쳐북스 [2011]
  • 왜 고려는 팔만대장경을 만들었을까
    최연주 ㈜자음과모음 [2011]
  • 역사소비를 위한 역사교육의 프레임 전환
    박순준 역사와경계 (68) : 1 ~ 51 [2008]
  • 소설 대장경
    조정래 민족과문화사 [1991]
  • 불교문화콘텐츠학의 연구방향과 교육방법 고찰
    이재수 종교문화연구 (20) : 243 ~ 278 [2013]
  • 문화콘텐츠 그 경쾌한 상상력
    송원찬 북코리아 [2010]
  •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 성과와 비전
    이병국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
    노영희 건국대출판부 [2006]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재콘텐츠연구소
  • 대장경, 천년의 지혜를 담은 그릇
    오윤희 불광출판사 [2011]
  • 나무에 새겨진 팔만대장경의 비밀
    박상진 김영사 [2007]
  • 고려시대 미정보화 자료의 현황과 전산화 방안 -묘지명, 일반 금석문을 중심으로-
    최연주 한국중세사연구 (30) : 41 ~ 82 [2011]
  • 고려시대 대장경·문집·고문서 자료의 정보화 현황과 전산화 방안
    최영호 한국중세사연구 (30) : 83 ~ 116 [2011]
  •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의 디지털화와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전략
    강순애 古書 (15) [2012]
  •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시스템
  • 고려 초조대장경 세상을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
  • 고구려 벽화 연구의 현황과 콘텐츠 개발
    박진호 동북아역사 재단 [2009]
  • 江華京板󰡔高麗大藏經󰡕의 연구현황과 문화콘텐츠 개발방향
    최영호 경남발전 (116) [2011]
  •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판각공간과 海印寺의 역할
    최영호 문물연구 21 (21) : 31 ~ 62 [2012]
  • 大藏經 往來의 文化史的 意義
    조동일 동아시아 比較文化 [2000]
  • 刻成人을 통해 본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彫成
    최연주 동아시아불교문화 (15) : 175 ~ 203 [2013]
  • <고려대장경 >의 불교문화콘텐츠 활용 방향
    최연주 동아시아불교문화 (7) : 31 ~ 59 [2011]
  • 2012 연구보고서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