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초기 자료에 나타난 ‘言文一致’의 사용 양상과 그 의미

' 20세기 초기 자료에 나타난 ‘言文一致’의 사용 양상과 그 의미'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colloquialstyle
  • earlymodernperiod
  • eon-munilchi(言文一致)
  • eon-munilchistyle
  • modernperiodofenlightenment
  •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 unity of speech and writing
  • 개화기
  • 구어체
  • 근대 계몽기
  • 언문불일치
  • 언문일치
  • 언문일치운동
  • 언문일치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01 0

0.0%

' 20세기 초기 자료에 나타난 ‘言文一致’의 사용 양상과 그 의미' 의 참고문헌

  • 현대문학사
    김윤식 민음사 [1973]
  • 현대 이전의 ‘飜譯’과 ‘諺解’에 대한 몇 고찰
    이현희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제 2회 국제학술대회: 한국어문학과 번역 [2013]
  • 한일근대소설과 언문일치 - 「放浪」과 「약한 자의 슬픔」의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안영희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4]
  • 한일 근대 언문일치체 소설의 비교 -『부운』(浮雲)과 『무정』(無情)의 시점 구조를 중심으로-
    박진수 일본연구 7 (1) : 91 ~ 105 [2002]
  • 한문학에서 민족적인 것과 세계적인 것 - 조선 후기 학자의 민족 언어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안대회 국문학과 문화 : 305 ~ 328 [2001]
  • 한글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문자생활
    백두현 서강인문논총 22 : 157 ~ 203 [2007]
  • 한국어 언문일치의 정체는 무엇인가?
    김미형 한글 (265) : 171 ~ 199 [2004]
  • 한국어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
    백두현 문학과언어 26 : 1 ~ 16 [2004]
  • 한국어 表記法의 변천과 原理
    이기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47 ~ 77 [1983]
  • 한국문학통사 3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 한국과 일본에서의 언문일치운동의 실상과 그 의미
    김채수 일본연구 (1) : 9 ~ 54 [2002]
  • 한국.일본의 소설과 ‘언문일치체'
    박진수 日本學硏究 21 : 135 ~ 152 [2007]
  • 한국 근대소설의 구어전통과 문체 형성
    양문규 소명출판 [2013]
  • 한국 근대 초기의 언어와 문학
    이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주시경과 언문일치
    정승철 한국학연구 12 : 33 ~ 49 [2003]
  • 조선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안대회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4) : 203 ~ 232 [2006]
  • 조선어원론
    안확 [1922]
  • 조선어법
    이규방 역대문법대계 : 1 ~ 29 [1922]
  • 인민의 탄생 : 공론장의 구조 변동
    송호근 민음사 [2011]
  • 우리말[韓國語] 명칭의 역사적 변천과 민족어 의식의 발달
    백두현 언어과학연구 1 (28) : 115 ~ 140 [2004]
  • 언문일치의 관념과 국문연구소의 훈민정음 변용 논리
    양근용 동아시아문화연구 42 : 189 ~ 210 [2007]
  • 소설에서 근대어문의 실현 경로 ―동아시아 보편문어에서 민족어문으로 이행하기까지
    임형택 대동문화연구 12 (58) : 9 ~ 42 [2007]
  • 문학의 기본 개념 2
    이보경 연세대학교출판부 [2003]
  • 말과 글에 대한 담론의 근대적 전환에 관한 연구
    김병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1
  • 김동인의 시점론과 언문일치
    정연희 현대소설연구 (23) : 207 ~ 226 [2004]
  • 김동인 문학의 세 가지 형식- 대동강의 사상과 감각을 중심으로
    김윤식 한국학보 11 (2) : 2 ~ 62 [1985]
  •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 - 한문맥과 근대 일본
    사이토 마레시 현실문화 [2010]
  • 근대국어학 형성기의 언어의식 연구
    양근용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 근대계몽기 신문의 문체와 한글 소설의 정착과정
    김영민 현대문학의 연구 (22) : 47 ~ 88 [2004]
  • 근대계몽기 문체 연구: 유길준을 중심으로
    김영민 동방학지 (148) : 391 ~ 428 [2009]
  • 근대계몽기 국한문체(國漢文體)의 발전과 한문의 위상
    임형택 민족문학사연구 14 (1) : 8 ~ 43 [1999]
  • 근대계몽기 국문 담론 양상과 언문일치
    김현정 어문연구 60 : 221 ~ 239 [2009]
  • 근대 계몽기 언문일치의 본질과 국한문체의 유형
    허재영 어문학 (114) : 441 ~ 467 [2011]
  • 국어연구의 발자취(I)
    이병근 서울대출판부 : 3 ~ 78 [1985]
  • 국어라는 사상: 근대 일본의 언어 인식
    이연숙 소명출판 [2006]
  • 국어 문체 변천사
    심재기 집문당 [1999]
  • 국문 글쓰기의 재탄생
    권영민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 구어의 재현과 언문일치
    류준필 문화과학 33 : 161 ~ 177 [2003]
  • 개화기의 한글 운동사
    이응호 성청사 [1975]
  • 개화기의 국문 연구
    이기문 일조각 : 13 ~ 34 [1970]
  • 개화기 국어 문체 연구
    민현식 국어국문학 111 : 37 ~ 61 [1994]
  • 개화계몽기 국어국문운동의 전개와 양상 - 언문일치를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노연숙 한국문화 (40) : 59 ~ 99 [2007]
  • 韓國과 日本의 言文一致運動
    김보은 日本學報 50 : 1 ~ 12 [2002]
  • 韓國方言資料集Ⅰ
  • 近代國語學의 形成에 관련된 國語觀 - 大韓帝國 時期를 중심으로 -
    이병근 한국문화 (32) : 1 ~ 33 [2003]
  • 近代 移行期의 東亞細亞의 自國語 認識과 自國語學의 成立
    양세욱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135 ~ 157 [2012]
  • 近代 移行期의 東亞細亞의 自國語 認識과 自國語學의 成立
    汪维辉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22 ~ 43 [2012]
  • 自山 安廓의 생애와 국어 연구
    정승철 진단학보 (116) : 241 ~ 265 [2012]
  • 現代 國漢 混用 文體의 定着과 語彙의 變化 - ‘單音節 漢字+하(하)-’형 用言의 경우
    한영균 國語學 (51) : 229 ~ 256 [2008]
  • 權悳奎의 생애와 그의 국어학적 업적에 대한 한 연구
    이현희 규장각 (41) : 87 ~ 156 [2012]
  • 朝鮮 士人의 言語文字 認識
    이군선 동방한문학 (33) : 35 ~ 54 [2007]
  • 文體 現代性 判別의 語彙的 準據와 그 變化 - 1890년대 1930년대 논설문의 한자어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
    한영균 구결연구 (23) : 305 ~ 342 [2009]
  • 兪吉濬의 國文觀과 社會思想
    고영근 어문연구(語文硏究) 33 (1) : 405 ~ 426 [2004]
  • 五四 백화문 운동과 언어 이데올로기 - 對待論적 해석의 가능성 初探
    이보경 중국현대문학 (39) : 58 ~ 73 [2006]
  • 20세기 국한문체의 형성과정
    임상석 지식산업사 [2008]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語文 인식 경향
    조성산 한국문화 (47) : 177 ~ 20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