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역어 연구사

논문상세정보
' 강원도 지역어 연구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balancebetweentheregions
  • developingresearchmethodology
  • dialectresearch
  • diversifyingthefieldsofresearch
  • gangwonregionaldialect
  • 강원도지역어
  • 방언 연구
  • 연구방법론의개발
  • 연구분야의다양화
  • 지역간의균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204 1

0.0%

' 강원도 지역어 연구사' 의 참고문헌

  • 嶺東方言의 活用語尾에 對한 硏究
    咸泳世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 嶺東 嶺西의 言語分化 : 江原道의 言語地理學
    李翊燮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1]
  • 황해도 및 강원도 북부지역 친족명칭의 지리적 분화와 그 역사성
    곽충구 대동문화연구 30 : 309 ~ 332 [1995]
  • 화천지방의 방언 연구
    전성탁 논문집 23 : 67 ~ 86 [1983]
  • 홍천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윤혜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 형태론적 절단 현상과 대응 이론
    김옥영 형태론 10 (2) : 335 ~ 351 [2008]
  • 한국지명총람-2. 강원도
    한글학회 한글학회 [1967]
  •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정승철 태학사 [2013]
  • 한국의 발견-강원도
    이익섭 뿌리깊은나무 : 100 ~ 109 [1990]
  • 한국어방언학
    이상규 학연사 [2007]
  • 한국어 사회방언과 지역방언의 이해
    이주행 한국문화사 : 85 ~ 89 [2005]
  • 한국어 방언학 시론
    河野六郎 전남대출판부 [2012]
  • 한국어 방언 연구
    小倉進平 전남대출판부 [2009]
  • 한국방언자료집 Ⅱ(강원도 편)
  • 한국방언연구
    김형규 서울대출판부 [1974]
  • 한국방언사전
    최학근 현문사 [1987]
  • 한국문화사대계 V
    이숭녕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 324 ~ 411 [1967]
  • 한국구비문학대계 2-8, 9(강원도 영월군 편)
    김선풍 정문연 [1986]
  • 한국구비문학대계 2-6, 7(강원도 횡성군 편)
    서대석 정문연 [1980]
  • 한국구비문학대계 2-4, 5(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편)
    김선풍 정문연 [1980]
  • 한국구비문학대계 2-3(강원도 삼척군 편)
    김선풍 정문연 [1980]
  • 한국구비문학대계 2-2(강원도 춘천시 춘성군 편)
    서대석 정문연 [1980]
  • 한국구비문학대계 2-1(강원도 강릉 명주 편)
    김선풍 정문연 [1980]
  • 한국 어촌언어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이익섭 진단학보 42 : 61 ~ 97 [1976]
  • 학술답사보고서-강원도 정선군 편
  • 학술답사보고서-강원도 영월군 편
  • 학술답사보고서(강원도 정선군)
    한성대 국어국문학과 한성어문학 19 : 254 ~ 272 [2000]
  • 학술답사보고서(강원도 양양군)
    한성대 국어국문학과 한성어문학 15 : 259 ~ 279 [1996]
  • 평창지역어의 인체 어휘
    김남돈 초등국어교육 1 : 159 ~ 178 [1991]
  • 박사
    평창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임미숙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4]
  • 평창 지역어의 음운 연구-모음의 변동을 중심으로
    임미숙 청람어문교육 10 (1) : 112 ~ 132 [1993]
  • 평창 지역어의 움라우트 현상
    이미영 초등 국어교육 1 : 179 ~ 208 [1991]
  • 파생어형성과 음운론적 유사성 -강릉방언의 ‘X엥이’류 어휘항목을 중심으로-
    김옥영 방언학 (11) : 117 ~ 153 [2010]
  • 태백 방언 연구
    박진석 江陵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 태기산 주변지역 문화조사-방언부문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6 : 175 ~ 198 [1986]
  • 치악산 주변지역 문화조사-방언부문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7 : 137 ~ 164 [1987]
  • 춘천지역 지명 접미사에 대한 어휘론적 연구
    손주일 강원논총 8 [2000]
  • 춘천시 신북읍 지명어휘 DB와 명명 유연성의 특징
    심보경 언어과학연구 (33) : 151 ~ 178 [2005]
  • 춘천ㆍ춘성지역 문화조사-방언부문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9 : 133 ~ 156 [1989]
  • 철원지역 지명어의 형태 음운론적 특성에 대한 일고
    장영길 국어국문학논문집 17 : 139 ~ 154 [1996]
  • 철원지역 문화 조사-방언부문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8 : 213 ~ 233 [1988]
  • 철원지방 방언 연구
    전성탁 논문집 22 : 77 ~ 98 [1982]
  • 박사
    진부 방언 연구
    김미영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지역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 강원도 방언연구를 중심으로 -
    김옥영 동남어문논집 1 (30) : 47 ~ 76 [2010]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1(강원도 정선군)
    강등학 역락 [2013]
  •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0(강원도 평창군)
    황루시 역락 [2013]
  • 중부방언의 성격과 그 특징, 국어 방언연구의 현황과 전망-한국방언자료집의 완간을 기념하여
    곽충구 한국어문 4 : 1 ~ 39 [1997]
  • 중부방언의 경어법
    유구상 새국어생활 1 : 40 ~ 58 [1991]
  • 중부방언 연구에 대한 검토
    전광현 방언 1 : 72 ~ 79 [1979]
  • 중부방언
    박경래 새국어생활 8 : 31 ~ 50 [1998]
  • 조선언어지리학시고
    김병제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 조선어연구 3(북한 및 재외교민의 어문자료논총(4))
    최북추 역락 : 717 ~ 719 [2001]
  • 조선어방언학
    한영순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 244 ~ 249 [1967]
  • 조선어방언사전
  • 조선어 동서방언 비교연구
    황대화 한국문화사 [1998]
  • 조선말 지명(2)
    김규환 한글 5 (7) : 590 ~ [1937]
  • 조선고어방언사전
    정태진 민지사 [2006]
  • 제13회 학술답사보고서-강원도 영월군 일대
    한남대 국어국문학과 한남어문학 11 : 223 ~ 249 [1985]
  • 정선방언의 성조체계와 그 역사적 변천
    최영미 역락 [2010]
  • 정선방언의 성조 체계와 그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
    최영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 정선방언 운율유형에 관한 연구
    최영미 어문연구 73 : 127 ~ 160 [2012]
  • 정선방언 ‘가·다’류 동사의 성조형의 변화
    최영미 한말연구 (27) : 407 ~ 438 [2010]
  • 정선군 정선읍 및 신동읍 방언 어휘, 정선의 기층문화-정선읍, 신동읍의 수몰예정지역을 중심으로(한강 상류(정선읍ㆍ신동읍) 지역의 기층문화-관동대 국어국문학과 학술답사보고서)
    박성종 [1996]
  • 정선군 민속 기층조사
    박성종 정선문화원 [2002]
  • 정선 방언의 음운론 적 연구
    손웅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 정선 방언 성조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최영미 겨레어문학 (44) : 295 ~ 324 [2010]
  • 인제지방의 방언 연구
    전성탁 관동향토문화연구 5 : 55 ~ 83 [1987]
  • 박사
  • 원주지역어의 활용 어간의 활음화와 관련된 음운현상 - 구술발화 자료 중심으로
    김세환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11 (2) : 29 ~ 51 [2010]
  • 원주지역 한자어 지명에 대하여
    신경철 지명학 10 : 97 ~ 112 [2004]
  • 원주지역 지명의 後部語 語義에 대하여
    신경철 원주얼 3 : 22 ~ 34 [1991]
  • 원주지역 지명의 前部語 語義에 대하여
    신경철 원주얼 2 : 63 ~ 80 [1990]
  • 원주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서설
    신경철 원주얼 1 : 66 ~ 75 [1989]
  • 영월방언 조사 보고서
    강남대 국어국문학과 강남어문 9 : 281 ~ 284 [1996]
  • 영월군 영월읍 일대 방언, 영월군 전통민속 기층조사-관동대 국어국문학과 학술답사보고서
    박성종 [1998]
  • 영월·평창 지역의 농기구 어휘 연구
    강신규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영월 지역어의 연구와 특징
    김동언 강남대논문집 32 : 147 ~ 164 [1998]
  • 영서 남부지방의 고지명 연구
    원경렬 논문집 28 : 123 ~ 139 [1988]
  • 영동지역의 어촌언어
    박성종 강원 어촌지역 전설민속지 : 397 ~ 437 [1995]
  • 영동지방 지명에 대한 어원론적 연구-강릉ㆍ명주를 중심으로
    성광수 구비문학 4 : 63 ~ 95 [1980]
  • 영동지방 방언의 연구-음운현상을 중심으로
    전성탁 논문집 10 : 1 ~ 14 [1971]
  • 영동지방 漁民語 조사 연구
    김무헌 논문집 9 : 75 ~ 117 [1977]
  • 영동방언의 운율적 자질에 관한 연구
    문효근 인문과학 22 : 1 ~ 17 [1969]
  • 영동방언의 경어법 연구
    이익섭 논문집 6 : 49 ~ 67 [1974]
  • 영동방언의 ‘ㄱ’음 개재고-국어 음운사의 측면에서
    김무림 한남어문학 20 : 65 ~ 82 [1995]
  • 영동방언의 Suprasegmental Phoneme 체계-특히 문효근 교수의 소론과 관련하여
    이익섭 동대어문 2 : 17 ~ 25 [1972]
  • 영동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익섭 관동어문학 7 : 122 ~ 135 [1991]
  • 영동ㆍ영서의 언어분화-강원도의 언어지리학
    이익섭 서울대출판부 [1981]
  • 영동. 영서 방언의 어휘적 비교 연구
    문효근 인문과학 46 : 1 ~ 28 [1982]
  • 영동 북부방언의 운율 음소
    문효근 연세논총 9 : 1 ~ 27 [1972]
  • 영남ㆍ영동 방언의 성조
    김차균 한글 155 : 145 ~ 185 [1975]
  • 영남 방언 및 영동 방언에서 순행평성동화의 대조적 연구
    김차균 우리말글 29 : 1 ~ 105 [2003]
  • 언어형성 층위에 나타난 삼척방언의 정체성
    오정란 인문사회과학논문집 31 : 57 ~ 72 [2002]
  • 언어로 본 강릉의 정체성, 강릉 문화 정체성 연구
    이익섭 강릉문화예술진흥재단 : 68 ~ 92 [2002]
  • 양양지방의 방언 연구
    전성탁 관동향토문화연구 4 : 39 ~ 68 [1980]
  • 양구지방의 방언 연구
    전성탁 관동향토문화연구 6 : 53 ~ 86 [1988]
  • 시골말(38)-춘천ㆍ울진ㆍ강릉
    신숙철 한글 7-10 (72) : 202 ~ 205 [1939]
  • 시골말(37)-춘천ㆍ울진ㆍ강릉
    신숙철 한글 7-9 (71) : 181 ~ 182 [1939]
  • 속초방언에 대하여
    민현식 인문학보 11 : 195 ~ 237 [1991]
  • 속초 청호동의 방언 연구 : 함경남도 북청출신을 중심으로
    최승기 강릉대학교 대학원 [2000]
  • 섬강유역 향토 문화조사-방언부문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10 : 247 ~ 270 [1990]
  • 서평:이익섭 저, 「영동ㆍ영서의 언어분화-강원도의 언어지리학」
    이숭녕 방언 6 : 217 ~ 232 [1982]
  • 서평:김기설 교수의 「강릉지역지명유래」
    김선풍 강원민속학 10 : 173 ~ 174 [1994]
  • 서평: 박성종 ․ 전혜숙 편 『강릉방언사전』(태학사, 2009. pp. 652+x)
    이익섭 방언학 (13) : 157 ~ 194 [2011]
  • 새로 발굴한 방언(1)
    박경래 방언학 (7) : 181 ~ 209 [2008]
  • 삼척지역어의 장단과 고저에 대한 청취 실험 연구
    최영미 국어교육 (110) : 13 ~ 368 [2003]
  • 삼척지역어의 운소체계 연구
    최영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 삼척지역어의 성조 연구
    김봉국 서울대 [1998]
  • 삼척지방 방언의 특성과 표준어의 생활화 지도 방안
    박재문 논문집 2 : 25 ~ 40 [1970]
  • 삼척시 미로면 방언 어휘, 삼척시 미로지역의 기층문화-관동대 국어국문학과 학술답사보고서 : 179 ~ 234
    박성종 [1995]
  • 삼척방언과 창원방언 성조형의 비교
    김차균 어문연구 29 : 161 ~ 192 [1997]
  • 삼척방언과 울진방언 성조체계의 비교
    강흥구 언어학연구 8 : 5 ~ 39 [2004]
  • 삼척방언 연구
    전성탁 관동향토문화연구 2 : 67 ~ 100 [1978]
  • 삼척방언 성조와 음조에 대한 연구
    강흥구 개신어문연구 20 : 47 ~ 69 [2003]
  • 삼척 지역어의 조사 중가 현상에 대하여
    김봉국 우리말연구 (27) : 95 ~ 119 [2010]
  • 삼척 지역어의 상승조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고찰
    김봉국 관악어문연구 24 : 129 ~ 154 [1999]
  • 삼척 지역어의 격조사
    김봉국 어문학교육 41 : 65 ~ 85 [2010]
  • 박사
  • 삼척 방언과 울진창원 방언의 성조 체계 비교
    김차균 한글 (268) : 5 ~ 60 [2005]
  • 삼척 방언과 울진 방언 성조의 비교
    김차균 언어학 (22) : 123 ~ 169 [1998]
  • 살려 쓰고 싶은 내 고장 사투리-강릉방언을 중심으로
    이익섭 국어생활 7 : 138 ~ 144 [1986]
  • 북한강, 남한강 유역의 방언
    최윤현 국학자료원 : 429 ~ 451 [2002]
  • 북평지방의 지명 유래, 동해북평공단조성 지역문화유적발굴 조사보고서
    박성종 동해문화논총 1 [1996]
  • 봉평 방언 연구
    김소혜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변동 평성형 풀이씨의 특이 음조형과 영남 - 영동 방언 공통 조어 가설
    김차균 언어학 (25) : 101 ~ 136 [1999]
  • 방언학사전
    김봉국 태학사 : 29 ~ 38 [2001]
  • 방언학과 국어학
    박성종 태학사 : 61 ~ 116 [1998]
  • 방언학 사전
    방언연구회 태학사 [2001]
  • 방언집(자료총서 제2집
  • 방언이야기
    김봉국 태학사 : 271 ~ 279 [2007]
  • 방언의 사전적 수용
    곽충구 국어국문학 (147) : 193 ~ 220 [2007]
  • 방언사전
    김병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0]
  • 방언문법론의 현황과 과제
    문순덕 國語學 (54) : 455 ~ 486 [2009]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김옥영 새국어교육 (93) : 245 ~ 278 [2012]
  • 방언 영서 2
    우리마당터 우리마당터 [2006]
  • 방언 영서 1
    우리마당터 우리마당터 [2005]
  • 방언 영동 2
    우리마당터 우리마당터 [2006]
  • 방언 영동 1
    우리마당터 우리마당터 [2005]
  • 문법 연구와 자료(이익섭 선생 회갑기념논총)
    박경래 태학사 : 819 ~ 876 [1998]
  • 동해안지역의 방언과 구비문학연구
    김주원 영남대출판부 : 13 ~ 62 [2003]
  • 동해안방언의 어휘(Ⅱ)
    전광현 국문학논집 10 : 215 ~ 234 [1981]
  • 동해안방언의 어휘(Ⅰ)
    전광현 국문학논집 9 : 185 ~ 257 [1978]
  • 동해안방언연구-함북, 함남, 강원도의 일부 방언을 중심으로
    황대화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6]
  • 동해안 어촌 지역어의 음운론적 비교­-영덕, 울진, 삼척, 강릉 어촌 지역어를 중심으로­-
    오종갑 어문학 82 : 33 ~ 99 [2003]
  • 동해안 어촌 지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영덕, 울진, 삼척, 강릉을 중심으로
    남경란 한국말글학 21 : 37 ~ 72 [2004]
  • 동해안 세 방언의 성조 연구
    이문규 문학과언어 20 : 51 ~ 74 [1998]
  • 동해안 방언의 이중모음에 대하여
    이병근 진단학보 36 : 133 ~ 147 [1973]
  • 동해시 지명지
    박성종 동해문화원 [2000]
  • 동해시 지명연구 단상
    박성종 인문학연구 2 : 114 ~ 139 [1999]
  • 남북한의 방언 연구-그 현황과 과제
    한영균 경운출판사 : 41 ~ 62 [1992]
  • 남부방언군과 북부방언군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등어선 설정을 위한 방언 조사 연구
    최학근 국어방언연구 : 416 ~ 531 [1991]
  • 김유정의 언어적 특징-어휘를 중심으로
    박종철 강원문화연구 1 : 37 ~ 51 [1981]
  • 김유정 어휘 사전
    임무출 박이정 [2001]
  •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상대높임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김진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 국어사와 차자표기
    한영균 태학사 : 817 ~ 846 [1995]
  • 국어국문학회 50년
    곽충구 태학사 : 423 ~ 480 [2002]
  • 구수하게 살아 숨 쉬는 강릉사투리 맛보기
    김인기 한림출판사 [1998]
  • 고성지방 방언 연구
    전성탁 관동향토문화연구 3 : 41 ~ 69 [1979]
  • 고성군 지역 향토문화조사보고-방언부문
    박종철 강원문화연구 2 : 119 ~ 136 [1982]
  • 고성군 간성읍 및 거진읍의 방언, 고성지역의 기층문화-관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술답사보고서
    박성종 [1997]
  • 고성 지역어의 움라우트 현상
    최태영 숭실어문 10 : 1 ~ 16 [1993]
  • 경기ㆍ강원도 방언 연구
    김형규 학술원논문집 12 : 67 ~ 116 [1973]
  • 개정조선어방언학
    김영황 태학사 [2013]
  • 강원전통문화총서 4-방언
    남기탁 국학자료원 : 51 ~ 385 [2002]
  • 강원문화의 이해
    이익섭 한울아카데미 : 91 ~ 102 [2005]
  • 강원도방언의 특징과 그 연구
    이익섭 국어생활 10 : 61 ~ 71 [1987]
  • 강원도방언 연구-고성군을 중심으로
    박종철 숭실어문 1 : 85 ~ 108 [1984]
  • 강원도 홍천군 학술답사보고서(2)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강원문화연구 12 : 171 ~ 195 [1993]
  • 강원도 홍천군 학술답사보고서(1)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강원문화연구 11 : 293 ~ 341 [1992]
  • 강원도 홍천 방언의 음두체계 연구
    鄭鎬完 충남대학교 대학원 [1976]
  • 강원도 평창군 방언 조사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한성어문학 25 : 268 ~ 279 [2006]
  • 강원도 평창 지역어의 모습-방림면을 중심으로 (제3차 학술조사보고서)
  • 강원도 태백 지역의 언어-모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
    김봉국 한민족문화연구 (21) : 63 ~ 93 [2007]
  • 강원도 지명 연구의 현황과 과제
    심보경 어문논집 37 : 89 ~ 123 [2007]
  • 강원도 지명 연구의 동향과 과제-강원 영서지역을 중심으로
    심보경 강원문화사연구 8 : 71 ~ 86 [2003]
  • 강원도 정선지역의 언어 연구
    이병근 관악어문연구 27 : 31 ~ 78 [2002]
  • 강원도 정선군 학술답사보고서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강원문화연구 14 : 145 ~ 231 [1995]
  • 강원도 인제군 학술답사보고서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강원문화연구 9 : 157 ~ 223 [1989]
  • 강원도 인문학 기초 자료 조사 연구
    심보경 북스힐 [2005]
  • 강원도 원주군 학술답사보고서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강원문화연구 10 : 271 ~ 323 [1990]
  • 강원도 원주 지역어 연구
    신경철 논문집 9 : 1 ~ 24 [1990]
  • 강원도 영서 지역의 언어 분화
    盧明姬 새국어교육 (69) : 149 ~ 190 [2005]
  • 강원도 영서 지방의 언어분화
    이익섭 진단학보 48 : 91 ~ 128 [1979]
  • 강원도 영동지역의 방언
    박성종 제이앤씨 [2008]
  • 강원도 영동ㆍ영서 문화 비교연구-방언부문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6 : 95 ~ 112 [1986]
  • 강원도 영동ㆍ영서 교차지역 문화조사(Ⅱ)-방언부문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5 : 169 ~ 202 [1985]
  • 강원도 영동ㆍ영서 교차지역 문화조사 보고(Ⅰ)-방언부문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4 : 105 ~ 142 [1984]
  • 강원도 영동 방언의 음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이상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 강원도 어촌문화와 산촌문화의 인류학적 비교연구-방언부문(영동지역 방언과 영서지역 방언의 언어 차이에 대하여)
    남기탁 강원문화연구 10 : 163 ~ 178 [1990]
  • 강원도 양양군 학술답사보고서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강원문화연구 8 : 235 ~ 281 [1988]
  • 강원도 삼척군 학술답사보고서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강원문화연구 15 : 121 ~ 270 [1996]
  • 강원도 북부지역의 언어분화
    곽충구 동대논총 25 : 27 ~ 58 [1995]
  • 강원도 방언의 언어분화(I)-하향성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영균 인문논총 22 : 25 ~ 59 [2003]
  • 강원도 방언에 대한 고찰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14 : 105 ~ 129 [1995]
  • 강원도 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상복 강원문화연구 11 : 163 ~ 170 [1992]
  • 강원도 방언 연구(7-2)-화천군 방언의 음운을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10 : 45 ~ 75 [1992]
  • 강원도 방언 연구(7-1)-화천군 방언의 어휘를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9 : 57 ~ 78 [1991]
  • 강원도 방언 연구(6-2)-춘천ㆍ춘성군 방언의 음운을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8 : 51 ~ 75 [1990]
  • 강원도 방언 연구(6-1)-춘천ㆍ춘성군 방언의 어휘를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7 : 29 ~ 47 [1989]
  • 강원도 방언 연구(5-2)-홍천군 방언의 어휘를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6 : 33 ~ 51 [1988]
  • 강원도 방언 연구(5)-홍천군 방언의 음운을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5 : 29 ~ 54 [1987]
  • 강원도 방언 연구(4)-영서 남부방언의 어휘를 중심으로
    원훈의 논문집 22 : 45 ~ 76 [1982]
  • 강원도 방언 연구(3)-평창, 정선, 영월 등지의 어휘를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4 : 5 ~ 38 [1980]
  • 강원도 방언 연구(2)-평창, 정선, 영월 등지의 문법을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3 : 5 ~ 40 [1979]
  • 강원도 방언 연구(1)-평창, 정선, 영월 등지를 중심으로
    원훈의 관동향토문화연구 2 : 5 ~ 66 [1978]
  • 강원도 명주 방언 연구 : 389 ~ 410
    남기탁 [2002]
  • 박사
  • 박사
  • 강원도 동해안 방언 성조의 특성
    김주원 민족문화논총 27 : 249 ~ 283 [2003]
  •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
    김봉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 강원도 고성지역어의 공시음운론
    박용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 강원 홍천지역의 언어와 생활
    김봉국 태학사 [2011]
  • 강원 지역어의 사동·피동 연구
    은상현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강원 원주지역의 언어와 생활
    김봉국 태학사 [2007]
  • 강원 영동지방 방언에 대한 지역별 사례 분석
    박성종 강릉학보 (창간) : 67 ~ 84 [2004]
  • 강원 양양지역의 언어와 생활
    김봉국 태학사 [2008]
  • 강원 방언과 강원 문학 —문학 작품 속의 강원 방언의 특징—
    김봉국 영주어문 21 : 81 ~ 107 [2011]
  • 강원 방언 외래어의 성조형
    박숙희 어문학 (118) : 1 ~ 35 [2012]
  • 박사
  • 강릉지역 지명 유래의 유형 고찰
    김기설 강원민속학 10 : 43 ~ 82 [1994]
  • 강릉지역 지명 유래
    김기설 인해사 [1997]
  • 강릉지방의 방언 연구
    전성탁 논문집 5 (2) : 23 ~ 51 [1968]
  • 강릉지방 구전요를 찾아서
    김인기 (제2회 강릉사투리 학술세미나)강릉말의 개성과 그 가치 : 46 ~ 68 [2012]
  • 강릉의 언어적 특성
    이익섭 임영문화 5 : 79 ~ 84 [1981]
  • 강릉시사 上
    이익섭 강릉문화원 : 869 ~ 884 [1996]
  • 강릉사투리의 어원을 찾아서
    김인기 (제1회 강릉사투리 학술세미나)강릉사투리의 특성과 보존 과제 : 73 ~ 100 [2011]
  • 강릉사투리 자료집
    장정룡 동해안발전연구회 [1997]
  • 강릉사투리
    이익섭 태백 (42) : 100 ~ 105 [1990]
  • 강릉방언총람
    김인기 한림출판사 [2004]
  • 강릉방언의 형태음소론적 고찰-세대차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전혜숙 관동민속학 13 : 117 ~ 236 [1998]
  • 강릉방언의 형태론적 고찰
    전성탁 논문집 17 : 61 ~ 86 [1977]
  • 강릉방언의 초분절음소에 대한 고찰
    윤종남 한국어문학연구 22 : 355 ~ 382 [1987]
  • 강릉방언의 어휘
    전성탁 관동향토문화연구 7 : 49 ~ 66 [1989]
  • 강릉방언의 성립과 그 특징
    이익섭 강릉학보 (창간) : 59 ~ 66 [2004]
  • 강릉방언의 성격과 특징
    전혜숙 민족문화논총 25 : 75 ~ 102 [2002]
  • 강릉방언의 사회언어학적 연구-고유어와 경어법 사용의 분석을 중심으로
    연호택 관대논문집 22 (1) : 9 ~ 64 [1994]
  • 강릉방언의 개성과 그 가치
    이익섭 (제1회 강릉사투리 학술세미나)강릉사투리의 특성과 보존 과제 : 17 ~ 48 [2011]
  • 강릉방언사전
    박성종 태학사 [2009]
  • 강릉방언과 국어사전
    이익섭 國語學 (65) : 3 ~ 33 [2012]
  • 강릉방언 선어말어미의 구조 연구
    전혜숙 인문학연구 5 : 321 ~ 340 [2002]
  • 강릉방언 모음 실현의 특징과 원리
    김옥영 방언학 (15) : 5 ~ 46 [2012]
  • 강릉말의 보존 과제
    김봉국 (제1회 강릉사투리 학술세미나)강릉사투리의 특성과 보존 과제 : 49 ~ 72 [2011]
  • 강릉ㆍ삼척 지역어의 활음화
    김봉국 한국문화 26 : 1 ~ 33 [2000]
  • 강릉 사람의 뛰어난 조어력-의성ㆍ의태어를 중심으로
    이익섭 (제2회 강릉사투리 학술세미나)강릉말의 개성과 그 가치 : 29 ~ 45 [2012]
  • 강릉 방언의 형태음소론적 고찰
    이익섭 진단학보 34 : 97 ~ 119 [1972]
  • 강릉 방언의 청자대우법 연구
    柳志春 江陵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 강릉 방언의 이중(二重) 피․사동 접사 연구
    김옥영 국어국문학 (164) : 161 ~ 189 [2013]
  • 강릉 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김옥영 江陵大學校 大學院 [1998]
  • 강릉 방언 1음절 어간 풀이씨의 성조
    강흥구 한글 (270) : 5 ~ 63 [2005]
  • 體言 語幹末 中子音의 變化 樣相 - 東海岸 方言 및 咸北 六鎭 方言을 中心으로 -
    金鳳國 國語學 (45) : 17 ~ 40 [2005]
  • 襄陽方言의 고찰 : 音韻論을 중심으로
    金萬起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 洪川方言 硏究
    신동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76]
  • 江陸.三陟 地域語'-어/-아'系어미의 交替와 音韻現象
    金鳳國 어문연구(語文硏究) 29 (2) : 71 ~ 92 [2001]
  • 江陵方言의 超分節音素(Suprasegmental Phoneme)에 대한 考察
    尹鍾南 동국대 [1987]
  • 江陵方言의 變化에 대한 社會言語學的 硏究
    全惠叔 關東大學校 大學院 [1996]
  • 江原道 方言의 연구 : 橫城, 平昌, 寧越地方의 語彙를 中心으로
    權純一 고려대 [1976]
  • 江原道 地方의 山이름 硏究
    吉敏子 세종대 [1986]
  • 江原道 南部地域 方言 語幹末子音群의 音韻論
    金鳳國 國語學 39 : 173 ~ 200 [2002]
  • 朝鮮語方言の硏究(下ㆍ硏究篇)
    小倉進平 岩波書店 [1944]
  • 朝鮮語方言の硏究(上ㆍ資料篇)
    小倉進平 岩波書店 [1944]
  • 朝鮮方言學試攷-‘鋏’語攷
    河野六郎 東都書籍 [1945]
  • 方言 音韻論의 現況과 課題
    한성우 國語學 (54) : 353 ~ 382 [2009]
  • 嶺西方言
    小倉進平 文敎の朝鮮 (3월) : 2 ~ 12 [1928]
  • 嶺東方言
    小倉進平 고려서림 [1988]
  • 太白方言의 音韻論的 硏究
    崔敦國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 南部朝鮮の方言
    小倉進平 朝鮮史學會 [1924]
  • 三陟方言의 先語末語尾에 대한 연구
    尹吉子 關東大學校 大學院 [1995]
  • 三陟 地域語의 音韻 연구
    李相女 仁荷大學校 大學院 [1991]
  • ㄴ-첨가 현상의 제약: 강릉 지역어를 대상으로
    김옥영 음성음운형태론연구 14 (1) : 53 ~ 76 [2008]
  • 『셔유록』에 나타난 강릉 지역어의 특징
    김봉국 우리말연구 (30) : 197 ~ 211 [2012]
  • ‘아재’고-방언조사방법의 한 반성
    이익섭 동아문화 13 : 33 ~ 58 [1976]
  • ‘그저’의 담화 기능: 고려말과 강원도 양양 지역어에서
    이기갑 담화와 인지 14 (3) : 105 ~ 130 [2007]
  • ‘ㅎ’ 탈락 현상 연구:강릉 지역어를 중심으로
    김옥영 언어 30 (4) : 631 ~ 650 [2005]
  • 2013년도 강원 지역어 전사보고서(삼척, 평창, 인제)
  • 2012년도 강원 지역어 전사보고서(삼척, 원주, 양양, 홍천)
  • 2011년도 강원 지역어 조사보고서(정선)
  • 2010년도 강원 지역어 조사보고서(삼척, 원주, 양양, 홍천, 평창, 인제)
  • 2009년도 강원 지역어 조사보고서(인제)
  • 2008년도 강원 지역어 조사보고서(평창)
  • 2007년도 강원 지역어 조사보고서(홍천)
  • 2006년도 강원 지역어 조사보고서(양양)
  • 2005년도 경북ㆍ강원 지역어 조사보고서(경북 상주, 강원 원주)
  • 2004년 학술답사보고서(강원도 양구군)
    한성대 국어국문학과 한성어문학 24 : 201 ~ 212 [2005]
  • 1995학년도 국어교육과 언어 학술답사보고서-강원도 양양군 거마리지역
    우리말한사랑 동국어문학 7 : 317 ~ 343 [1995]
  • (증보)한국방언사전
    최학근 명문당 [1994]
  • (삼척ㆍ동해ㆍ태백권 사투리)강원도 영동남부지방 방언
    이경진 예문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