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학에서의 상상?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의 상상이론 비교

논문상세정보
' 현상학에서의 상상?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의 상상이론 비교'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husserl
  • imagination
  • merleau-ponty
  • perception
  • sartre
  • 메를로-퐁티
  • 사르트르
  • 상상
  • 지각
  • 후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44 0

0.0%

' 현상학에서의 상상?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의 상상이론 비교' 의 참고문헌

  • 후설의 상상(Phantasie) 개념의 특성과 의미
    김희봉 철학과 현상학 연구 (56) : 67 ~ 98 [2013]
  • 현상학
    Marx, W. 서광사 [1989]
  • 현대 사진 속 ‘상상적인 것’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모리스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김화자 미학예술학연구 28 : 183 ~ 208 [2008]
  • 지각의 현상학
    Merleau-Ponty, M. 문학과지성사 [2002]
  • 존재와 무
    Sartre, J-P. 동서문화사 [2010]
  • 의미와 무의미
    Merleau-Ponty, M. 서광사 [1984]
  •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식론
    장영란 서광사 [2000]
  • 상상의 현상학
    김재철 철학논총 1 (47) : 35 ~ 60 [2007]
  • 상상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승억 철학과 현상학 연구 (51) : 67 ~ 85 [2011]
  • 상상력
    Sartre, J-P. 기파랑 [2004]
  • 사르트르의 현상적 신체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비판
    강미라 대동철학 (61) : 283 ~ 310 [2012]
  •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과 미술 비평 경우
    지영래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1 : 583 ~ 606 [2007]
  • 빈센트의 구두
    박정자 기파랑 [2005]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Merleau-Ponty, M. 동문선 [2004]
  • 미학지평에서 본, 메를로-퐁티의 내재적 초월의 현상학과 들루즈의 철저 내재주의 경험론
    신인섭 철학연구 (98) : 205 ~ 239 [2012]
  • 메를로-퐁티와 정신분석학 -꿈과 상상적인 것을 중심으로-
    정지은 철학과 현상학 연구 (40) : 151 ~ 179 [2009]
  • 메를로-퐁티와 세잔 ― 지각으로서의 회화 ―
    신인섭 철학 (96) : 29 ~ 53 [2008]
  • 눈과 마음
    Merleau-Ponty, M. 마음산책 [2008]
  • 꿈의 현상학
    홍성하 철학과 현상학 연구 (23) : 101 ~ 120 [2004]
  • 근대의 상상력 이론: 상상력의 기능과 근원
    강동수 철학논총 3 (45) : 3 ~ 26 [2006]
  • 경험과 판단
    E. Husser 민음사 [2009]
  • 간접적인 언어와 침묵의 목소리
    Merleau-Ponty, M. 책세상 [2005]
  • The Retrieval of the Beautiful : thinking through Merleau-Ponty’s aesthetics
    Johnson, G. A.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10]
  • Résumés de cours, Collège de France 1952-1960
    Merleau-Ponty, M. Gallimard [1966]
  • Phantasia, conscience d’image, souvenir : de la phénoménologie des présentifications intuitives : textes posthumes
    E. Husserl [2002]
  •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 introduction à l'archétypologie générale
    Durand, G. Dunod [1992]
  •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 introduction à l'archétypologie générale
    Durant, G Dunod [1992]
  • Idées directrices pour une phénoménologie et une philosopie phenoménologique pures
    E. Husserl Gallimard [1950]
  • Flesh and Nature : Understanding Merleau-Ponty’s Relational Ontology
    Bannon, B. E. Research in Phenomenology 41 : 327 ~ 357 [2011]
  • De l’être de phénomène: l’ontologie de Merleau-Pon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