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의 매체 간 의제설정

논문상세정보
' 트위터의 매체 간 의제설정'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학
  • content analysis
  • inter-mediaagendasetting
  • public opinion
  • tv debate
  • twitter
  • 내용 분석
  • 대선토론
  • 매체간의제설정
  • 여론
  • 트위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727 0

0.0%

' 트위터의 매체 간 의제설정' 의 참고문헌

  • 한국인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학
    장덕진 언론정보연구 48 (1) : 59 ~ 86 [2011]
  • 트위터(Twitter) 이용과 정치 참여 : 트위터 이용 형태를 중심으로
    민정식 언론과학연구 12 (2) : 274 ~ 303 [2012]
  • 여론과 미디어: 다원적 무지와 제3자 가설에 대한 연구
    김재범 한국언론학보 (31) : 63 ~ 86 [1994]
  • 스마트폰이 정치 참여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사례 그리고 거버넌스에 관한 소고
    강장묵 사이버사회문화 2 (1) : 147 ~ 163 [2011]
  • 소셜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정책환경
    박준 [2011]
  •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한국의 트위터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원태 언론정보연구 48 (2) : 44 ~ 79 [2011]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이 정치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2011년 10·26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사례
    최민재 언론과학연구 12 (2) : 502 ~ 533 [2012]
  •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인플루엔셜 랭킹
    박호성 정보과학회지 28 (3) : 24 ~ 30 [2010]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선거유권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태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상의 담론 분석을 통한 인지적⋅정서적 측면의 여론 변화 연구
    홍주현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9 (3) : 5 ~ 29 [2011]
  • 메시지 특성, 행위의 결과, 추구 가치에 기반한 리트윗 행위 :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김효동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 (3) : 131 ~ 140 [2013]
  • 누가 인터넷 토론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온라인 의견지도자의 속성
    이준웅 한국언론학보 51 (3) : 358 ~ 384 [2007]
  • http://www.segye.com/Articles/News/Politics/Article.asp?aid=20121204024673&subctg1=&subc tg2=&OutUrl=naver
  • http://www.koreanclick.com/information/info_d ata_view.php?id=294
  • http://review.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2/18/2012121800436.html
  • blog.globis.co.jp/hpri_english/2010/05./public-o pinion.html
  • biron.usc.edu/∼kumarsun/Reports/EE599.pdf
  • Tweet the debates
    D. A. Shamma ACM Multimedia Workshop on Social Media [2009]
  • The people’s choice: How the voter makes up his mind in a presidential campaign
    P. F. Lazarsfeld Columbia University Press [1944]
  • The Effect of The Internet on Homogeneity of The Media Agenda: A Test of The Fragmentation Thesis
    Jae Kook Lee J&MC Quarterly 84 (4) : 745 ~ 760 [2007]
  • SNS의 여론형성과정과 참여행태에 관한 고찰
    박상호 한국언론정보학보 58 (2) : 55 ~ 73 [2012]
  • SNS를 통한 구전 효과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 <써니 >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영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 (7) : 40 ~ 53 [2012]
  • Mapping the Blogosphere Professional and Citizen-Based Media in the Global News Arena
    S. D. Reese Journalism 8 (3) : 235 ~ 261 [2007]
  • Issue Publics on the Web: Applying Network Theory to the War Blogosphere
    Mark Tremayn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2 : 290 ~ 310 [2006]
  • Identifying Breakpoints in Public Opinion
    Cuneyt Gurcan Akcora 1st Workshop on Social Media Analytics [2010]
  •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O. Holsti Free Press [1969]
  •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B. Berelson Addison-Wesley [1952]
  • An emergent role for TV in social communication
    D. Williams European Interactive Television Conference [2009]
  • Agenda-Setting and the Internet: The Intermedia Influence of Internet Bulletin Boards on Newspaper Coverage of the 2000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B. Lee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15 : 57 ~ 71 [2005]
  • Agenda setting
    J. W. Dearing Sage [1998]
  • A Functional Analysis of French and South Korean Political Leaders’ Debates
    Y. Choi Speaker and Gavel 46 : 59 ~ 80 [2009]
  • 3D 영상의 입체성이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콘텐츠의 유인가와 각성도를 중심으로 -
    임소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 (6) : 211 ~ 22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