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동향 분석
홈
알림
이용안내
오류접수
API
서비스소개
인기 연구 키워드 :
인기 활용 키워드 :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제영
이승연
오인수
강태훈
류성창
2013년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공유도
영향력
논문상세정보
저자
정제영
이승연
오인수
강태훈
류성창
제어번호
99651314
학술지명
교육과학연구
권호사항
Vol. 44 No. 2 [ 2013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9-143
언어
Korean
출판년도
2013
KDC
370.5
등재정보
KCI등재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판매처
참고문헌( 32)
유사주제 논문( 15,031)
교육학 15,031건
인용/피인용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교육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658
10
0.0%
자세히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주제
주제별 논문수
주제별 피인용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
주제분류(KDC/DDC)
교육학
15,032
0
0.0%
계
15,032
0
0.0%
* 다른 주제어 보유 논문에서 피인용된 횟수
10
닫기
'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의 참고문헌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곽금주 ( Keum Joo Kwak )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2008]
한국의 왕따 및 학교폭력: 특징과 한국형 예방프로그램
곽금주
2006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 133 ~ 134
[2006]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2005]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또래지지 중심 집단따돌림 예방 프로그램 개발
권순영 ( Soon Young Kwon )
서기연 ( Ki Yeon Seo )
유형근 ( Hyeong Keun Yu )
아동교육 20 (2) : 131 ~ 146
[2011]
박사
집단 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지지프로그램의 효과
윤성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4]
중학생 집단따돌림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호영
오해영
미래청소년학회지 2 (1) : 47 ~ 59
[2005]
아동 청소년의 규범의식 교육을 위한 심리학적 연구
곽금주
[2003]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김창대
[2011]
방관자의 집단 특성에 따른 또래괴롭힘 참여 역할행동
서미정 ( Mi Jung Seo )
아동학회지
[2008]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공감과 공격성을 중심으로
오인수 ( In Soo Oh )
초등교육연구 23 (1) : 45 ~ 63
[2010]
Reliability, In Educational measurement
Feldt, L. S.
Macmillan : 105 ~ 146
[1989]
Reliability In R. L. Linn (Ed.)
Brennan
Feldt
[1989]
Reducing playground bullying and supporting beliefs:An experimental trial of the steps to respect program
Frey
[2005]
Participant role approach to school bullying: Implications forinterventions
Salmivalli
[1999]
Outcomes of a curriculum-basedanti-bullying intervention program on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
Andreou
Vlachou
[2008]
Observedreductions in school bullying, nonbullying aggression, and destructivebystander behavior: A longitudinal evaluation
Frey
Snell
Observedreductions in school bullying
[2009]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programs toreduce bullying: A systematic and meta-analytic review
Farrington
Ttofi
[2011]
Counseling children (8th ed.)
Henderson
Thompson
[2011]
Couns eling Child r en
Brooks/Cole Cengage Learning
[1993]
Contribution of personal and situational factors to bystanders'reactions to school bullying
Hazler
[2009]
Bystanders: An overlooked factor in peer abuse
Hazler
[1996]
Bystanders matter: Associationsbetween reinforcing, defending, and the frequency of bullying behavior inclassrooms
Poskiparta
Salmivalli
Bystanders matter: Associationsbetween reinforcing
[2011]
Bullying at school :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lweus, Dan
[1993]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1996]
Bullying among Australian school children:Reported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victims
Rigby
Slee
[1993]
Bullying Prevention
Horne
Orpinas
[2006]
Alpha coefficient forstratified-parallel tests
Cronbach
McKie
[1965]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bullying: The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peer pressure
Gini
Pozzoli
[2010]
A Large?Scale Evaluation of the KiVa Antibullying Program: Grades4?6
K?rn?
[2011]
2012년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 결과 중간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12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발표 보도자료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3]
2011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연구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2]
' 주변인 대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의 유사주제(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