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자
최지영
-
제어번호
99617009
-
학술지명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
권호사항
Vol.
1
No.
2
[
2009
]
-
발행처
한국교육심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9
-
언어
Korean
-
출판년도
2009
-
KDC
370.18
-
소장기관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
판매처
'
협동학습상황에서의 교사 경험의 성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
동일주제 총논문수 |
논문피인용 총횟수 |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
14,658
|
0
|
|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주제 |
주제별 논문수 |
주제별 피인용횟수 |
주제별 논문영향력 |
주제분류(KDC/DDC) |
교육학
|
15,032
|
0
|
|
계 |
|
15,032
|
0
|
|
* 다른 주제어 보유 논문에서 피인용된 횟수 |
0
|
|
'
협동학습상황에서의 교사 경험의 성찰' 의 참고문헌
-
박사
-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동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함 메타분석
-
-
-
컴퓨터 교과에서 협동학습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
초등학교 전 일과의 협동활동(두레활동)이 인성발달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초등사회과의 JigsawIII 협동학습효과에 관한 문화기술지 분석
-
박사
-
-
-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쳬육 예비교사 문화의 비판적 이해
-
인터넷 활용 협동학습을 위한 교사역학에 관한 사례연구
-
앵커드 수업에서 교수모델과 소집단 구성에 따른 학습자 활동 및 성취도 분석
-
-
별이 빛나는 밤 1: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 의 세계
-
-
-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
-
-
-
교직과정 교과내용 재선방안 연구: 교육심리학 강좌개발을 중심으로
-
괴롭힘 상황에서의 참여자 역할 및 관계적 공격행동 지각유형에 따른 도덕판단려과 사회적 상호의존성
-
The resolution of conflict
-
Survey of actual and preferred use of cooperative learning among exemplar teachers
-
Student teams and achievement divisions
-
Learners for Life: Student Approaches to Learning
-
Jon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8th Ed.)
-
Implementing a research-based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
-
Effects of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goal structures onachievement: A meta-analysis
-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 meta-Analysis
-
Cooperative learning as part of a comprehensive classroom program designed to promote prosocial development
-
Cooperative learning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science self-efficacy
-
Cooperation in the multiethnic classroom : The impact of cooperative group work on soci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s
-
-
Autoethnography,personal narrative,reflexivity: Researcher as subject in Handbook of Qualitative Rserach,2nd ed.
-
Autoethnography as method: Raising cultural consciousness of self and others
-
-
-
Auto-ethnography: Paradigms,problems and prospects
-
An examination of teacher thinking during a collaborative effort to improve elementary cooperative learning literacy instruction
-
An ethnographic inquiry of cooperative learning implementation
-
-
A Measure of Cooperative, Competitive,and Individualistic Predispositions
'
협동학습상황에서의 교사 경험의 성찰'
의 유사주제(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