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의 문식력 향상을 위한 전자칠판 입력 강화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논문상세정보
'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의 문식력 향상을 위한 전자칠판 입력 강화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과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29 1

0.0%

' 초등영어 학습부진학생의 문식력 향상을 위한 전자칠판 입력 강화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의 참고문헌

  •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9]
  • 초등영어지도법
    이완기 문진미디어 [2010]
  • 초등 영어교육 10년의 성과 분석을 통한 초?중등 영어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
    [2006]
  • 초기 영어읽기능력 평가 도구 K-DIBELS 문항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 청각적 입력 강화에 의한 청각 기억의 효과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학술대화 발표 논문집 : 147 ~ 150 [2012]
  • 전자칠판을 이용한 초등영어 상호작용적 수업의 효과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저학력 학생의 학력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2006]
  • 내용언어 통합수업에서 전자칠판을 이용한 입력강화 방안
    영어교과교육 11 (1) : 113 ~ 140 [2012]
  • 교육과정 및 교과서 읽기 내용 분석을 통한 초등영어 읽기 접근방법의 고찰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2 (2) : 167 ~ 190 [2005]
  • Toward a technology for assessing basic early literacy skills
    School Psychology Review 25 : 215 ~ 227 [1996]
  • Speaking to many minds: On the relevance ofdifferent types of language information for the L2 learner
    Sharwood Smith,M. Second Language Research 7 (2) : 118 ~ 132 [1991]
  • NLPTools를 이용한 코퍼스 분석과 활용
    케임브리지 [2007]
  • Learning disability
    Houghton Mifflin Co [1981]
  • Input enhancement in instructed SLA
    Studies in Second Language Research 7 : 118 ~ 132 [1993]
  • Consciousness-raising and the second languagelearner
    Sharwood Smith Applied Linguistics 2 : 159 ~ 168 [1981]
  • Assessing early literacy skills in a problem-solving model: Dynamic indicators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 In Advanced applications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Guilford : 113 ~ 142 [1998]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부분 수정 고시(제2008-148호, ‘08.9.11, 제2008-160호, ’08.12.26)에 따른 초등학교 3, 4, 5, 6학년(영어)/중고등학교(보건)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검정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