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A 2006 과학성취도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 맥락요인의 영향력 분석
-
-
저자
염시창
강대중
-
제어번호
82609302
-
학술지명
교과교육학연구
-
권호사항
Vol.
15
No.
2
[
2011
]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81-304
-
언어
Korean
-
출판년도
2011
-
KDC
374.05
-
등재정보
KCI등재
-
소장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
판매처
'
PISA 2006 과학성취도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 맥락요인의 영향력 분석' 의 참고문헌
-
-
-
-
-
-
중학교 수학과학 성취도에 대한 학교-학생수준 배경변수들의 효과
김성숙
박도영
박정
교육평가연구 14 (1) : 127 ~ 149
[2001]
-
-
-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교육 맥락 변수의 연도별 효과분석
-
서울시 학교교육격차에 대한 다층모형분석
유한구
이혜숙
서울교육종단연구 정책 토론회발표집 : 3 ~ 41
[2011]
-
-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생의 시험불안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생의 시험불안 및 학업 성취도의 관계
-
부모의 성취압력과 청소년의 자기 불일치가 학업적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
-
-
-
-
-
-
고등학생들의 그래프 증력과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학업 성취도의 관계
-
-
-
고등학생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효과 과외효과의 비교 연구
-
-
Toward a More Appropriate Conceptualization of Research on School Effects : A Three-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
The politics, markets and America's schools
-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 issues and applications
-
PISA2006 결과분석 연구-과학적 소양,읽기 소양,수학적 소양수준 및 배경 변수 분석
-
-
박사
-
PISA 2006: Science competencies for tomorrow's world. Volumn 1: Analysis
-
-
MBL과학실험에서 모둠유형에 따른 성취도와 학생들의 관점 연구
-
-
-
Foundation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
-
Assessing Scientific, Reading and Mathematical Literacy: A framework for PISA 2006
-
'
PISA 2006 과학성취도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 맥락요인의 영향력 분석'
의 유사주제(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