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논문상세정보
'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과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38 7

0.0%

'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학교 인권교육의 과제' 의 참고문헌

  • 현대 시민교육의 목표로서 인권에 관한 연구
    송현정 [2004]
  •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2) 50 ~ 102 [2001]
  • 한국의 시민사회 발전과 인권 증진, 세계화와 인권
    159 ~ 189 [2004]
  • 한국에서의 인권개념 형성과 인권운동에 관한 연구
    [1999]
  • 한국에서의 시민사회 형성과 민주화과정에서의 역할
    안병준 외(편). 국가, 시민사회, 정치민주화 [1995]
  • 박사
  • 한국 시민사회의 성숙과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71 ~ 131 [2002]
  • 한국 시민사회와 이에 적합한 시민윤리교육
    [1999]
  •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 아시아의 시민사회 - 개념과 역사
    95 ~ 135 [2003]
  • 제4회 전국 청소년 사회참여 발표대회
    [2004]
  • 박사
  • 의리인가, 계약인가?: 인격주의와 개인주의의 갈등적 공존과 한국사회의 제문제, 현대 한국사회 성격 논쟁
    [2000]
  • 유교와 인권: 상호보완의 필요성에 대하여, 현대사회와 인권
    99 ~ 133 [1998]
  • 아이들의 인권, 세계의 약속
    [1997]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권, 세계화와 인권 발전
    27 ~ 48 [2004]
  • 아름다운 사회참여
    김원태 [2004]
  • 시민사회사상사 개관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13 ~ 43 [2002]
  • 세계화와 대안운동의 전개 - 생산 참여형 소비자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373 ~ 409 [2002]
  • 사회참여 체험교육
    [2001]
  •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최장집 [2010]
  • 동아시아의 성장과 인권담론, 현대사회와 인권
    19 ~ 49 [1998]
  • 깨어나 일어나
    [2000]
  • 교사를 위한 학교인권교육의 이해
  • 人權の 歷史 인권의 역사
    [1995]
  •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In Walzer, M.(Ed.). Toward a global civil society
    7 ~ 27 [1995]
  • The MIT Press
    Vickers [1988]
  • Effective elementary social studies
    Hoge [1996]
  • Civics for democracy, 우리는 참여와 행동을 통해 민주주의로 간다
    [2002]
  • 21세기 인권 개념의 변화와 NGO의 대응, 세계화와 인권 발전
    75 ~ 100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