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유가사의 所知事에 관한 고찰

안유숙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초기 유가사의 所知事에 관한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4종도리
  • Four applications(yukti)
  • Object of meditation
  • Tathatā
  • jñeya-vastu(所知事)
  • vyāp y ālambana(遍滿所緣)
  • 명상의 대상
  • 변만소연(遍滿所緣)
  • 소지사(所知事)
  • 진여(眞如)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 0

0.0%

' 초기 유가사의 所知事에 관한 고찰' 의 참고문헌

  • 해심밀경소(T21)
  • 해심밀경(T16)
  • 잡아함경 T2
  • 인도불교 초기 유식문헌에서의 언어와 실재와의 관계_瑜伽師地論의 三性과 五事를 중심으로
    안성두 [2007]
  • 유식학의 지관수행-『유가론』의 <지관쌍운>을 중심으로-
    안성두 [2010]
  • 유식과 유가행(『シリ-ズ大乘佛敎 7』)
  • 유식과 유가행(『シリ-ズ大乘佛敎 7』)
  • 유가행파에 있어 견도설
    안성두 [2002]
  • 유가론(T30)
  • 요가수행자의 불교적 바탕
  • 오온과 유식-대승오온론 역주(『大乘五蘊論』を讀む』)
  • 성문지
    안성두 [2021]
  • 섭대승론(T31)
  • 보살지(Bodhisattvabhūmi)
    안성두 [2015]
  • 대승아비달마잡집론(T31)
  •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T36)
  • 대반야바라밀다경(T5)
  • 구사론소(T41)
  • 解深密經「分別瑜伽品」における影像說
  • 瑜伽論硏究
  • 所知障の所知とは何か
  • 所知障と定障
  • 影像門の唯識說と本質の觀念
  • 大乘莊嚴經論硏究
  • 大乘莊嚴經論の硏究
  • 大乘莊嚴經論(新國譯大藏經, 瑜伽唯識部12)
  • 唯識性(vijñaptimātratā)개념의 유래에 대한 최근의 논의의 검토
    안성두 [2004]
  • 唯識の哲學
  • 初期唯識思想の硏究
  • ŚBh=Śrāvakabhūmi of Ācāya Asaṅgaed, Vol.ⅩⅣ
    [1973]
  • Ybh or YBh(Bh): The Yogācārabhūmi of Ācārya Asaṇga Part1
  • 2019년 11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