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述性과 文字性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談話와 文法 –메신저 대화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길임 2022년
논문상세정보
' 口述性과 文字性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談話와 文法 –메신저 대화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의 비교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Face-to-face conversation
  • Instant message
  • Instant messaging transmission unit
  • Instant messenger Corpus
  • Telephone conversation
  • 구어 면대면 대화
  • 구어 전화 대화
  • 말풍선 단위
  • 메신저 대화
  • 메신저 말뭉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 0

0.0%

' 口述性과 文字性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談話와 文法 –메신저 대화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의 비교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형태 분석을 위한 메신저 텍스트 처리 방안
    안의정 [2020]
  •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강범모 [1999]
  •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 문체, 유형 : 컴퓨터와 통계적 기법의 이용
    강범모 [2000]
  • 통신언어의 유형에 따른 언어학적 기능 연구
    박동근 [2001]
  • 텍스트 장르와 억양단위 통사 구조의 상관성 연구
    남길임 [2009]
  • 텍스트 장르에 따른 문장 확대 양상 연구학술개론서와 학술강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남길임 [2006]
  • 카카오톡 메신저의 소통 양상과 사회언어학적 특성
    강연임 [2017]
  • 인터넷 통신 언어의 확산과 한국어 연구의 확대
    이정복 [2009]
  • 대학생의 카카오톡 언어 사용 분석
    허상희 [2016]
  • 대중매체 언어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신문, 방송, 인터넷 통신 언어에 대한 최근 연구를 중심으로 -
    이선웅 [2009]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 [1996]
  • “제3의 구술성, ‘뉴 뉴미디어’ 시대 말의 현존 및 이용 양 식”
    이동후 [2010]
  • Variation across speech and writing
  • The linguistic sciences and language teaching
  • Spoken and written discourse in online interactions : A multimodal approach
  • SNS 메신저 ‘카카오톡’ 언어현상 연구
    최명원 [2012]
  • Orality and literacy
  • Language and the Internet
  • Identifying and describing functional discourse units in the BNC Spoken 2014
  • Halliday’s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 Fragmented Future
  • Discourse, Consciousness, and Time: The Flow and Displacement of Conscious Experience in Speaking and Writing
  • Always on: Language in an online and mobile world
  • A simplest systematics for the organ ization of turn-taking for conver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