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술어 화제화 구문에 나타나는 동의의 ‘-하’

권경준 2022년
논문상세정보
' 서술어 화제화 구문에 나타나는 동의의 ‘-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redicate Topicalization Construction
  • affirmation
  • anaphor
  • contrastivetopic
  • polarity
  • verumfocus
  • 극성
  • 긍정
  • 대용어
  • 대조화제
  • 서술어 화제화 구문
  • 진리치 초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2 0

0.0%

' 서술어 화제화 구문에 나타나는 동의의 ‘-하’' 의 참고문헌

  • 현대러시아어의 대조화제와 ‘화제성’
    송은지 [2007]
  •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
    梁明姬 [1996]
  • 허사 ‘하-’의 세 가지 유형
    최기용 [2022]
  • 한국어 학술논문에 나타난 헤지(Hedge) 표현의 담화 전략에 따른 유형 분류 연구
    이금희 [2021]
  • 한국어 문법 체계에서의 ‘이다’의 정체성 – 기능동사 옹호론
    목정수 [2006]
  • 표준국어대사전 웹사전
  • 우리말샘 (웹사전)
  • 명사화의 의미특성에 대하여
    임홍빈 [1974]
  • 러시아어 술어 화제 구문의 통사적 파생
    권경준 [2020]
  • 동일 어간 반복 구문의 의미 특성-‘V-기는 V, V-기만 V’ 구문을 중심으로
    이수연 [2014]
  • 기능동사 “하-”에 대한 재론
    서정수 [1991]
  • 국어 항진명제에 대한 의미 연구
    이정애 [2010]
  • 국어 서술어(구)의 초점화와 주제화에 관한 연구 - ‘-기를, -기는’ 구성 중심으로
    이금희 [2015]
  • 「보조사의 의미론」
    임동훈 [2015]
  • “하다”; 그 대동사 설의 허실
    김영희 [1984]
  • ‘대조’ 의미의 언어학적 성격 —정보구조와 관련하여
    박철우 [2014]
  • ‘V-기’ 반복 구문의 유형과 그 형성 동기 및 과정
    이정훈 [2013]
  • Where semantics meets pragmatics
  • Two Different Types of Verb Phrase Fronting Constructions in Korean
    배수영 [2022]
  • The syntax of answers to polar questions in English and Swedish
  • The light verb construction in Korean
    Bak, Jaehee [2011]
  • The Syntax of Heads and Phrases: A Study of Verb (Phrase)Fronting
  • The Grammar of Copulas across Languages
  • Tautology as presumptive meaning
  • Syntax and Semantics, Vol. 3
  • Sopostavitel’nye tavtologii v russkom jazyke
  • Presumptive meanings. The Theory of General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s
  • Predicate doubling and parallel chain
    Aboh, E.O. [2009]
  • Predicate contrastive topic constructions: Implications for morho-syntax in Korean and copy theory of movement
  • Ob odnom tipe konstrukcij s povtorom glagola v russkom jazyke
  • Nominalization in the Japanese predicate doubling construction
  • Nominal repetitive constructions: The ‘tautology’controversy revisited
  • Motor oil is motor oil: an account of English nominal tautologies
  • Korean Copula Constructions: A Construction and Linearization Perspective
    Chan Chung [2002]
  • Formal approaches to Slavic linguistics: The Bloomington meeting
  • Formal Approaches to Slavic Linguistics: The Princeton Meeting
  • Constructions, their families and their neighborhoods: the case of durak durakom ‘a fool times two'
  • Comparative Germanic Syntax: The state of the art
  • Colloquial Jordanian Arabic tautologies
  • Chain resolution in Hebrew V(P)-frontingt
  • Categorization and its embodiment : Korean tautological constructions in Mental Spaces Theory
  • Boys will be boys: “Radical semantics vs. Radical pragmatics
  • Asymmetry in Grammar. Vol 1: Syntax and semantics
  • An alternative to remnant movement for partial predicate fronting
  • A study on predicate clefting
  • A pragmatic analysis of tautological utterances
  • "보조사의 기능과 정보구조"
    박철우 [2015]
  • "'은/는'과 종횡의 의미 관계"
    임동훈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