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선 전기 불교계의 전염병 대응과 대민 구료

김수연 2022년
' 고려~조선 전기 불교계의 전염병 대응과 대민 구료'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uddhist Ritual
  • Buddhist ritual for the Beings of water and land)
  • Jaboksa(資福寺)
  • Maegol-sŭng (埋骨僧)
  • dharani
  • epidemic
  • medical supply
  • suryukjae(水陸齋
  • 매골승
  • 불교의례
  • 수륙재
  • 의료 인프라
  • 자복사
  • 전염병
  • 진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20 0

0.0%

' 고려~조선 전기 불교계의 전염병 대응과 대민 구료' 의 참고문헌

  • 한국 불교의학의 전래와 醫僧들의 활동에 관한 일고찰
    김성순 [2014]
  • 한국 고대의 질병관과 불교적 치유 방식
    김수연 [2021]
  • 치유 공간으로서의 한국고대 사찰-신라 흥륜사를 중심으로-
    이현숙 [2019]
  • 조선전기의 의료제도와 의술 [The Medical System and Therapies in Early Josŏn Dynasty]
  • 조선시대 매골승(埋骨僧)의 불교문화적 위치 재조명
    이종우 [2020]
  • 조선 초기 수도 한양의불교 사찰 건립과 불사 개설- 태조 이성계의 사찰 건립을 중심으로 -
    김윤주 [2017]
  • 전염병의 문화사 -고려시대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Cultural History of Epidemic]
  • 전염병의 문화사 -고려시대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 [Cultural History of Epidemic]
  • 의정의 『대당서역구법고승전』과 신라인
    김복순 [2015]
  • 역병과 한국 불교[Epidemics and Korean Buddhism]
  • 역병과 불교의례 –고려~조선전기를 중심으로 [Epidemic and Buddhist Ritual]
  •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Diary of a Pilgrimage to Tang in Search of the Law written by Ennin]
  • 신라 승려의 『금광명경』「제병품」 주석을통해 살펴본 한국 고대 불교의학
    오재근 [2016]
  • 시체를 매장했던 승려들 ─매골승(埋骨僧)과 삼매히지리(三昧聖)
    김성순 [2012]
  • 불교행사의 성행[Prevalence of Buddhist Rituals]
  • 복원적 고찰을 통한 진관사의 건축적 변화
    김수경 [2012]
  • 동아시아 병원의 기원
    이현숙 [2020]
  • 고려후기 불교 부인(符印)의 전개
    문상련 [2021]
  • 고려초기 구료제도의 형성 ―광종대와 성종대를 중심으로
    이경록 [2008]
  • 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edicine during Koryo Dynasty]
  • 고려시대 밀교 치유 문화의 양상과 특징
    김수연 [2021]
  • 고려시대 資福寺의 성립과 존재 양상
    한기문 [2011]
  • 고려시대 官僚制下의 의료와 民間의료
    이현숙 [2007]
  • 고려시대 占察法會의 설행과 의미 ,
    라정숙 [2017]
  • 고려시기 계수관(界首官)의 지방행정 기능과 위상
    구산우 [2002]
  • 고려 불교 의학의 한 단면-승려의 질병과 치료-
    이현숙 [2017]
  • 고려 국가불교의례와 경행(經行)
    강호선 [2019]
  • 고대 한국인의 질병관과 의료[Viewpoints of Diseases and Medical Care of Ancient Korean]
  • 高麗時期 術僧의 活動과 그 意味
    이병희 [2015]
  •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Koryŏ History]
  • 高麗史 [The History of the Koryŏ Dynasty]
  • 願堂 -해인사 원당암 아미타불 복장유물 특별전
  • 韓國醫學史硏究 -制度史를 中心으로[A Study on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 韓國醫學史[History of Medicine in Korea]
  • 韓國中世佛敎史硏究[A Study on Buddhist History in Medieval Korea]
  • 陀羅尼集經 T901
  • 關中創立戒壇圖經 T1892
  • 金光明最勝王經疏<輯逸>[Annotation of Golden Light Sutra Collected by Gyehyŏn An]
  • 燕山君日記『朝鮮王朝實錄』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 梵網經 T1484
  •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藥事 T1389
  • 東文選 [Selections of Refind Literature in the East]
  • 東國李相國集 [Collected Works of Minister Yi of Korea]
  • 朝鮮前期 對民 醫療와 醫書 編纂[Relief Activities and Publishment of the Medical Books in Early Joseon Period]
  • 日本佛敎の醫療史[History of Japanese Buddhist Medical Care]
  • 宣和奉使高麗圖經 [An Envoy’s Illustrated Account of Koryŏ]
  • 太祖實錄
  • 大正新修大藏經 [Revised Buddhist Canon compiled during the Taishō reign period]
  • 南海寄歸內法傳 T2125
  • 佛說灌頂七萬二千神王護比丘呪經 T1331
  • 世祖實錄
  • 三國遺事 [Memorabilia and Mi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 『文宗實錄』,
  • 《世宗實錄》,
  • 8세기 전반 일본 조정의 疫病 대응과 불교의술
    김송이 [2018]
  • 16~17세기 조선의 지방 醫局 운영: 경북 영주의 濟民樓를 중심으로
    김호 [2018]
  • 14세기 고려의 다라니신앙 경향과 그 성격-『금강경』 권말 수록 다라니를 중심으로-
    김수연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