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기 매의 포획과 활용

이병희 2022년
논문상세정보
' 고려시기 매의 포획과 활용'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Eungbang(鷹坊)
  • Falcon
  • Pheasant
  • Rabbit
  • ecologicalenvironment
  • falconry
  • fox
  • hunting
  • 매사냥
  • 사냥
  • 생태환경
  • 여우
  • 응방(鷹坊)
  • 토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7 0

0.0%

' 고려시기 매의 포획과 활용' 의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 • 몽 매의 어원과 상징성 연구
    김기선 [2010]
  • 조선후기 일본과의 매[鷹] 교역과 그 의미
    이승민 [2013]
  • 조선전기 매[鷹]의 사육과 활용
    이예슬 [2019]
  • 원 간섭기 국외유민(國外流民)의 쇄환(刷還)과 이리간(伊里干)의 설치
    김진곤 [2018]
  • 바람의 눈-한국의 맹금류와 매사냥-
    김연수 [2011]
  • 맹금(猛禽)과 매 사냥
    조삼래 [2008]
  • 매와 매사냥의 역사와 어휘 연구
    이봉일 [2017]
  • 매사육과 매 사냥을 위한 지침서, 『옹골방(鷹鶻方)』의 여정
    김방울 [2020]
  • 매사냥 調査報告書
    김선풍 [1993]
  • 동방견문록
  • 고려시대 양(羊)의 유입과 활용
    박새롬 [2020]
  • 고려시기 사냥의 성행(盛行)과 대책
    이병희 [2021]
  • 고려시기 사냥꾼 양수척과 정주사회
    이병희 [2022]
  • 고려 충렬왕대 鷹坊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재검토
    임형수 [2020]
  • 고구려의 매사냥
    전호태 [2014]
  • 高麗鷹坊의 弊政-主로 忠烈王대를 중심으로-
    朴洪培 [1986]
  • 高麗鷹坊考
    鄭鎭禹 [1979]
  • 高麗時期 不殺生과 不食肉
    이병희 [2021]
  • 高麗時代の鷹坊について
  • 高麗墓誌銘集成
    金龍善 [2012]
  • 高麗の鷹坊(1·2)
    旗田巍 [1935]
  • 高麗 忠烈王代의 政治狀況과 政治勢力의 性格
    李益柱 [1988]
  •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 河炫綱敎授定年紀念論叢 -
    李仁在 [2000]
  • 韓·日·東시베리아의 사냥-狩獵文化 比較誌-
    김광언 [2007]
  • 謹齋集
  • 端宗實錄
  • 物名考
    유희 [2019]
  • 牧隱詩藁
  • 燕山君日記
  • 校註國譯 鷹鶻方
    李兆年 [1994]
  • 東國李相國集
  • 成宗實錄
  • 慵齋叢話
  • 忠烈王代 營城伊里干 설치와 그 의미
    임지원 [2016]
  • 太宗實錄
  • 圃隱集
  • 四佳詩集
  • 及菴詩集
  • 中宗實錄
  • 世祖實錄
  • 『高麗史節要』,
  • 『靑莊館全書』
  • 『續東文選』
  • 『東文選』,
  • 『新增東國輿地勝覽』,
  • 《高麗史》,
  • 《世宗實錄》,
  • 16세기 후반 강원도 평강지역의 매사냥 실태와 그 성격
    김인규 [2003]
  • 1270~80년대 고려내 鷹坊 운영 및 대외무역
    이강한 [2009]